리브레 위키

최근 편집: 2021년 9월 18일 (토) 19:17
나혜석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9월 18일 (토) 19:17 판 (→‎비판)

개요

리브레 위키(Libre Wiki)는 대한민국의 리브레 운영 협의회에서 운영하는 백과사전위키이다.

운영

  • 리브레 위키는 리브레 운영 협의회에서 운영되고 있다.
  • 위키 측에서 자체적으로 밝히는 입장에 따르면 6개월 임기의 감독관, 관리관, 검사관의 상호견제체제인 인터넷 민주주의로 운영하고 있다고 한다.
  • 저작권 보호 정책은 CC BY-SA 3.0을 따른다.
  • 업데이트 이력은 해당 문서 참조.

리브레위키 협동조합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은 영리 법인이지만 리브레 위키는 비영리이며, 리브레 위키가 비영리인 이유는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위키 운영을 위해 재투자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리브레 위키는 형식적으로는 영리이지만 사실상 비영리인 셈이다. 2018년 1월 15일 해체되고, 현재 리브레 운영 협의회라는 임의단체에서 운영하고있다.

기술 정보

리브레 위키는 미디어위키를 사용한 부분과 게시판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 둘은 리버티라는 이름의 같은 디자인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구분을 잘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미디어위키는 위키 부분을 구성한다.

리버티 스킨

리버티 스킨은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의 자회사인 Liberty LLC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리브레 위키의 미디어위키로 이루어진 부분의 기본 스킨이다.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를 사용하고 있으며[주 1] 주목할 만한 부분은 다음이 있다.

  • 배너 광고가 있다.
  • 소도구 확장기능을 사용중이며 다음 소도구는 기본 활성화되어 있다.
    • 주석 말풍선: 주석을 누르면 이동하지 않고 말풍선으로 나타나게 한다.
    • 문서 임시저장: 문서 편집 중 임시저장을 할 수 있다. 이는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다.
    • EditTools
  • '시리즈'와 '투어'라는 이름공간이 있다.
  • 일반 이름공간에서의 하위 문서를 허용하고 있다.
  • 사용자 토론 문서에 한하여 Structured Discussions를 사용하고 있다.
  • 문서에 다음 tv팟(현 카카오 TV) 동영상을 삽입하기 위한 TvPot이라는 확장기능이 자체제작되어 있다.
  • 시각편집기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한편 리브레 위키는 LibertyEngine이란 이름의 새로운 엔진을 만들어 미디어위키를 교체하려는 계획이 있다.

기타

역사

투표를 통해 리브레 위키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까지 엔하위키라는 이름을 썼으며 주소는 http://enhawiki.kr 였다.

비판

  • 서버가 불안하다.[출처 필요]
  • 이용자와 문서 수가 적다.
  • 사실 리브레도 소수자 혐오 성향에서 전혀 자유롭지 않다. 심지어 혐오적 서술이나 Hate Speech도 개별적인 제지를 '전혀' 안할 정도이다. 일부 소수자 혐오는 나무위키와 비슷하거나 심지어는 나무위키보다 못한 빻은 문서, 편집자도 존재한다. 이러한 문제는 2019년과 2020년을 기점으로 진짜 사회문화적으로 리버럴한 위키러들과 페미니스트들이 많이 빠져나가면서 심화되었다.
    • 리브레위키 개발자와 위키 이용자들이 특정 페미니스트 위키러에 대한 사이버 불링, 차별금지법 반대, 안티페미니즘적인 표현을 했다는 폭로가 있었다.##
      • 특히 리브레위키 정체성이 자유주의라서 차별금지법을 반대한다는 것은 말도 안되는 주장이다. 미국 민주당이나 독일의 FDP 같은 일반적인 리버럴 정당들은 차별금지법 지지를 표명하며 영국의 Lib Dems는 아예 당 강령에도 적혀있다.[주 2] 물론 캐나다 인민당같은 극우적 형태의 고전적 자유주의나 급진적인 우파 자유지상주의라면 이 주장이 성립될 수도 있으나, 정작 동일인이 황교안의 민부론 등 경제적 자유주의에 대해서는 되려 '극단적 자유지상주의'라며 부정적으로 평가했기 때문에 이 또한 성립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리브레 위키에서 '리브레'를 떼야 하는 것 아니냐는 비판을 받고 있다. ##
    • 자폐 당사자들을 '마음맹'으로 간주하는 내용을 상단에 적어두고, 이들을 대상으로 한 치료에 대한 비판적 기술 없이 다소 우호적으로 적거나, 자폐의 부정적 면만 추가하고 긍정적 면을 지우는 등 리버럴하지 않은 낮은 인권의식을 보인다.## 의사소통이 안되기 때문에 당사자의 의견이 반영될 수 없다며 자폐가 곧 저지능을 수반하는 것처럼 몰이해적이고 편파적인 서술이 작성되기도 했었다.# 심지어는 이러한 기술을 "사회의 피해를 고려해야 한다", "방에서 썩게 방치할 셈이냐" 등과 같은 논리로 정당화하고 있다. ##
      • 이것이 자유로운 위키 모토에 맞는 표현의 자유에 걸맞게 다양한 의견을 수용하기 위한 것이라고 보기 어려운 것은, 정작 나무위키에서도 등재되어 있는# 박가분의 자폐 혐오 발언에 대한 비판 항목은 통째로 지우는 검열을 행했다는 것이다.#

특징

나무위키와의 비교

  • 리브레 위키는 나무위키에 비해 파급력이 적다. 나무위키에 비해 규모도 상당히 작다. 문서 수는 약 20분의 1, 등록된 사용자 수는 25분의 1 수준이다.

같이 보기

부연 설명

  1. 페미위키와 같다.
  2. 리버럴이 아닌 리버테리언이라고 하더라도, 미국의 자유지상주의 단체인 프리덤 하우스의 Freedom in the World나 카토 연구소에서 발발하는 Human Freedom Index 등에서는 차별금지법의 존재 여부를 '자유권적 기본권'을 보장하는지에 대한 판가름 잣대 중 하나이다.
  3. 2015 리그베다 위키 테러 사건 이후로 남초 커뮤니티 내에서 리그베다 위키에 대한 이미지가 급속도로 악화되자, 리그베다 위키와 비슷한 문법을 사용하는 대안 위키로써 나무위키, 리브레 위키, 오리위키, 알파위키가 탄생했는데 이러한 위키들을 '엔하계 위키'라고 부른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