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미

최근 편집: 2021년 10월 1일 (금) 23:27
사회인권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0월 1일 (금) 23:27 판 (→‎논란)
선미
기본 정보
본명이선미(李宣美)
출생1992년 5월 2일
국적대한민국
직업가수
활동 시기2007년~
가족이동, 이승동 (남동생)
학력황남초등학교 청담중학교 고등학교 검정고시 동국대학교 연극학부 연극전공 (졸업)
종교개신교
소속사어비스 컴퍼니
관련 활동원더걸스

선미는 대한민국 가수이다. 경상북도 경주시에서 유난기를 보냈고, 13살때 서울로 올라와 심사에 참가하였다. 원더걸스 미국 활동 때문에 자퇴하여 고등학교 검정고시로 졸업하였다. 2007년 원더걸스로 데뷔하였다. 2013년 솔로 활동 <24시간이 모자라>, <보름달>, <가시나>, <주인공>, <누아르>, <날라리>, <보라빛 밤>, <꼬리>를 발매하였다. 2020년 12월 <달리는 사이>에서 경계성 인격장애였다는 사실을 고백하였다. [1]

논란

뮤직비디오

선미 꼬리 노래 뮤직비디오에서 평범한 직장인이었지만, 횡령을 일삼는 악당들 비리를 캐다가 살해당하고, 고양이들 도움으로 다시 태어나 9개 목숨을 가지게 되었다는 DC 코믹스 캐릭터 캣우먼을 패러디하였다. 뮤직비디오에서는 주인공이 캣우먼으로 변하는 과정을 성노예 (sex kitten)로 변하는 과정으로 묘사하였는데, 일을 주도한 핸들러 손에 사탄을 상징하는 뱀 모양 반지가 끼어져 있다. 개신교인 선미가 돈과 명예를 얻기 위하여서 일루미나트 추악한 어젠더를 홍보하는 꼭두각시가 되어버렸다. Sex Kitten은 대상자에게 성적, 도덕적 수치심을 느끼지 못하도록 가스라이팅 하는 것이다. 이런 희생자들은 일루미나티 성적 노리개, 음탕한 노래와 춤, 연기로 대중들을 타락시키는 일을 한다. Sex Kitten 상징은 고양이 문양이다. 대상자들이 고양이 문양 옷을 입고 찍은 사진과 뮤직비디오를 보면서, 저들은 그가 마컨에 희생된 Sex Kitten을 확인하는 수단으로 삼고 있다. Sex Kitten 이었던 마릴린 먼로 모습을 분장시키는 상징적인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뮤직비디오가 시작되면서 피라미드 모양으로 다리를 벌린 무희들 사이를 선미가 고양이처럼 기어가고 있다. 한쪽 눈을 보여준 선미가 기계 장치에 의하여 마컨이 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고문을 당하던 선미가 창밖으로 던져지자 고양이들이 몰려와 죽은 선미 몸을 핥아주고 이후로 Sex Kitten으로 태어나 사람들을 미혹시키는 일을 한다. 고양이와 꼬리가 뱀꼬리가 뒤섞인 모습도 Sex Kitten 상징한다. 선미를 잡아 일으키는 핸들러 손가락에 뱀모양 반지가 끼워져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2] 뮤직비디오 이에 여성시대에서 "19금 안 걸려서 논란중인 선미 신곡 꼬리. 실제 안무도 똑같은 장면." 이라며 비판하였다. 무대장면 [3]

선정성

표절

18년 1월 19일 대중들은 <주인공>이, <Fight For This Love>를 표절하였다고 비판하였다. "곡은 아예 대놓고 복붙이고, 뮤직비디오나 주제는 표절이. 진짜 대실망" "나름 팬이었는데 노골적으로 표절하여도 돼? 급하나" "자곢에 개뿔도 모르는 막귀인 나도 "완전 똑같네?" 생각이 절로 든다" "일반인은 그냥 같은곡이라 문제" 라는 반응이었다. [4] 그러면서 "완전 비슷" "작곡가가 욕먹을 일 아닌가" 라는 반응도 이어졌다. [5] 이에 메이크어스 엔터테인먼트는 "확인 중이다" 라고 해명하였다. [6] 이에 작곡가 테디 더 블랙 레이블은 "외부 홍보사에게 모든 업무를 위임하였으나, 홍보사 관계자에게 확인하여달라." 라고 책임전가를 하였고, 결과 "선미 <주인공> 표절 논란 전달사항을 받은 바 없다." 라는 답변을 하였다. [7] 이에 메이크어스 엔터테인먼트는 담당자 부재로 공식적 답변을 피하기도 하였다. [8] 그런데도 흥행 결과는 멜론·벅스·지니·소리바다 주요 음원 실시간 순위 1위 자리를 유지하였다. [9]물론 멜론 평점 테러를 당하고, 비판을 받았다. [10] KBS <뮤직뱅크>에 <주인공>을 선보였다. "미야예는 팬들이 부르는 애칭. 자주 하는 추임새가 합쳐졌다" 라고 설명하며, 표절 논란을 언급하지 않았다. [11] 이에 테디는 "<주인공>은 100% 창작물로, 논란이 되는 곡을 참고한 일이 전혀 없다고 분명히 밝힌다" 고 뒤늦게 해명하였다. [12] 그러면서 디스패치 단독보도에 의하면 실제로 리듬이 다르다. 하지만 체감상 표절이라고 체감하게 된다. 그 부분은 음 진행 방향이 도->시->라'로 하행하는 부분이다. 이에 차효성 실용음악과 교수는 "멜로디가 비슷하다. 코드 진행도 거의 같다. 리듬도 비슷하다. 모방에 가깝다. 법적으로는 표절이라고 보기 힘들다" 라고 지적하였다. 작곡가는 "표절을 피하는 지침서가 있지만, 살짝 변형을 주면 시비를 피할 수 있다고 알려주는 지표" 라고 비판하였다. [13]

  1. “선미 "경계성 인격장애 진단받아, 몸보다 마음 아팠다" 눈물고백 ('달리는 사이') [종합]”. 2021년 9월 30일에 확인함. 
  2. “이 세대가 가기 전에 : 네이버 블로그”. 2021년 5월 18일에 확인함. 
  3. “Daum 카페”.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4. “선미 신곡 ‘주인공’ 표절 논란 휩싸여”.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5. 기자, 박재영. “선미 ‘주인공’ 표절 논란↑ “멜로디, 뮤비 컨셉까지 똑같던데” vs “작곡가가 욕먹을 일 아닌가””.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6. 백융희. “[M+이슈] 선미 ‘주인공’ 표절 논란에 입 열까…소속사 측 “확인 중””.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7. “선미 '주인공' 표절 논란, 테디 소속사 발뺌 "선미 업무 대행 넘겼다". 2018년 1월 19일.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8. “선미 ‘주인공’ 표절 논란에 소속사 측 “담당자 부재””.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9. 기자, 오지영. “[차트톡] 선미 '주인공', 표절 의혹에도 ‘꿋꿋’···7개 음원차트 올킬”.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0. “주인공 - 선미”.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1. 기자, 데일리안 이한철. '뮤직뱅크' 선미 "팬들 사랑해" 표절 논란 언급 안해”.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2. “차트 1위 휩쓴 선미 ‘주인공’ 표절 논란, 테디 측 “참고 안했다””.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 
  13. 박, 혜진. “[단독] "표절일까, 시비일까"…테디, '주인공' 작곡법 분석”. 2021년 10월 1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