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의 도전

최근 편집: 2017년 2월 5일 (일) 01:19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5일 (일) 01:19 판 (새 문서: '''페미니즘의 도전'''은 대한민국의 여성학자이자 평화학 연구자인 정희진씨의 페미니즘 도서이다. 2005년에 초판이 발행되고, 2...)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페미니즘의 도전은 대한민국의 여성학자이자 평화학 연구자인 정희진씨의 페미니즘 도서이다. 2005년에 초판이 발행되고, 2013년에 개정증보판이 나왔다.

인용

  • 젠더는 계급(class)처럼 사회와 인간을 형성하는 가장 강력한 재료 중 하나며, 사회 문제를 재구성하고 재창조하는 가장 힘 있는 조물주다. 기존 사회는 이런 인식에 무지하고, 인식한다고 해도 최대한 그 영향력을 외면하려고 한다. 이는 마르크스주의를 ... '노동자의 불만' 정도로 폄하하는 것과 같다. --p12~13
  • 나는 안다는 것은 상처받는 일이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안다는 것, 더구나 결정적으로 중요하기 때문에 의도적으로 삭제된 역사를 알게 된다는 것은, 무지로 인해 보호받아 온 자신의 삶에 대한 부끄러움, 사회에 대한 분노, 소통의 절망 때문에 상처받을 수밖에 없는 일이다. ... 때문에 여성주의는 사람들을 '행복'하게 하지 않는다. 더욱이 편안할 수는 없다. ... 여성주의는 우리를 고민하게 한다. 남성의 경험과 기존 언어는 일치하지만, 여성의 삶과 기존 언어는 불일치한다. ... 여성주의는 기존의 나와 충돌하기 때문에 세상에 대해 질문하지 않을 수 없게 만든다. 그래서 여성주의는 여성만을 위한 것이 아니다. 남성에게, 공동체에, 전 인류에게 새로운 상상력과 창조적 지성을 제공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