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가상각비

최근 편집: 2017년 2월 11일 (토) 18:19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11일 (토) 18:19 판 (새 문서: 기말 결산시 감가상각에 의해 해당 유형자산에서 감소시킨 만큼을 비용으로 계상한 것을 감가상각비라 한다. 계산 방법으로는 정액법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기말 결산시 감가상각에 의해 해당 유형자산에서 감소시킨 만큼을 비용으로 계상한 것을 감가상각비라 한다. 계산 방법으로는 정액법과 정률법이 있다.[1]

정액법

직선법이라고도 하며, 매 결산시의 감가상각비를 균등하게 계산하는 방법. 감가상각비=(취득원가-잔존가치)/내용연수

정률법

체감잔액법이라고도 하며, 매 결산기말의 미상각 잔액의 일정한 상각률(정률)을 곱하는 방법으로, 매기 감가상각비가 점차로 줄어든다 (식을 위키로 표현불가능)

  1. 회계원리 필기 3급( K-IFRS), [경영정보미디어]. P14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