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피성 인격장애

최근 편집: 2022년 4월 23일 (토) 20:21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4월 23일 (토) 20:21 판 (새 문서: == 정의 == 회피성 인격장애는 사회적으로, 특히 대인관계에 있어 자신이 부적절하다는 느낌을 받으며 위축되고, 사람들의 평가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인격장애이다. 회피성 인격장애는 거절에 대해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드는 것을 피하려 한다. 자신의 솔직한 모습을 드러내도 자신을 나쁘게 보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든 사람들과만 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정의

회피성 인격장애는 사회적으로, 특히 대인관계에 있어 자신이 부적절하다는 느낌을 받으며 위축되고, 사람들의 평가에 과민한 반응을 보이는 인격장애이다.

회피성 인격장애는 거절에 대해 매우 예민하기 때문에 사람들과의 관계를 만드는 것을 피하려 한다. 자신의 솔직한 모습을 드러내도 자신을 나쁘게 보지 않을 것이라는 확신이 든 사람들과만 인간관계를 맺으려고 하고, 거부나 상실에 대한 두려움과 고통이 커서 오히려 혼자 지내려고 하지만, 내적으로는 친밀한 관계를 원한다. 평생유병률은 0.5~1% 정도이며 여성에서 잘 생긴다. 사회공포증을 동반하기도 한다. 회피성 인격장애는 거절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생기는 인격장애이기 때문에, 대인 간 관계에 관심이 없어 사람을 사귀지 않는 사람들은 회피성 인격장애라고 보지 않는다.

증상

  • 거절에 대한 지나친 경계심을 가진다.
  • 타인이 자기를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것을 매우 두려워한다.
  • 면담자와 말하는 것에 불안감을 느낀다.
  • 사람들이 모이는 자리를 피하려 한다.(대인관계 형성을 어려워한다.)
  • 부정적 평가에 매우 예민하다
  • 은둔 생활을 하기도 한다.
  • 우울증, 불안장애, 타인에 대한 공격 성향을 동반하기도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