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과후학교

최근 편집: 2017년 3월 6일 (월) 15:59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3월 6일 (월) 15:59 판 (새 문서: '''방과후학교'''는 대한민국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사교육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긴 하였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방과후학교는 대한민국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사교육비를 감소시키는 효과를 가져오긴 하였으나 고등학교 이상에서는 일반교과과목을 교육하는 경우가 90%를 넘어 학교의 학원화를 부채질한다는 비판을 받고 있다.

개념

방과후학교는 학생과 학부모의 요구와 선택을 반영하여 수익자 부담 또는 재정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규수업 이외의 교육 및 돌봄 활동으로, 학교 계획에 따라 일정한 기간 동안 지속적으로 운영하는 학교교육활동이다.[1]

편성 및 운영 원칙[1]

  • 방과후학교는 학교의 장이 학교 여건과 학생·학부모의 요구를 고려하여, 학교운영위원회의 심의(자문)를 거쳐 자율적으로 운영한다.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학생과 학부모의 선택에 의한 자율적 참여를 기반으로 운영한다.
  • 단위학교는 방과후학교 연간운영계획을 수립하여 학교교육계획에 반영하며, 학년 초 정규수업 시작과 동시에 방과후학교를 운영할 수 있도록 한다.
  • 방과후학교 프로그램은 학교교육과정을 앞서는 프로그램을 운영해서는 안 된다.[2] 다만, 초등학교 1학년과 2학년의 영어 방과후학교 과정은 운영할 수 있다.[3]

정보공개[1]

  • 교육청 및 단위학교는 방과후학교 운영에 대한 정보를 해당 홈페이지 등에 공개하여, 학생과 학부모의 알 권리 충족 및 선택기회 보장, 예산 운영의 투명성 및 신뢰도를 제고한다.
  • 단위학교는 초·중등학교 정보공시 지침에 따라 방과후학교 운영 계획 및 운영·지원 현황을 연1회 공개한다.

일반교과과목 강좌

각 학교의 방과후학교 담당 교사에게 해당 학교의 방과후학교에서의 일반교과과목 강좌 개설 비율을 물어봤더니 54.8%의 학교가 절반 이상을 일반교과과목으로 개설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초등학교는 7.8%, 중학교는 50.0%였으며, 특히 일반고는 90.9%, 특목고는 96.1%로 나타나 거의 대부분의 고등학교에서는 일반교과과목으로 방과후학교 강좌를 개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4]

또한 방과후학교 수업 경험이 있는 교사들에게 방과후 수업을 정규 수업 진도나 평가와 연계한 경우가 있냐를 물었더니, 초등학교 12.3%, 중학교 32.3%, 일반고 37.7%, 특목고 27.1%가 그렇다고 응답하였다.

사교육비 감소

2012년도 방과후학교 참여율이 10년도 대비 증가한 초등학교의 경우 사교육비가 감소하였으며, 같은 시기 참여율이 감소한 중·고교의 경우는 사교육비가 증가하여 방과후학교 활성화가 사교육비 감소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방과후학교 참여 학생은 미참여 학생보다 연간 사교육비를 43.8만원 적게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5]

같이 보기

  • 방과후학교 대상: 방과후학교를 내실화하고 우수한 사례 확산 및 참여 동기를 높이고자 2009년부터 교육부에서 공모·선정하는 상.

바깥 고리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