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랭프 드 구즈

최근 편집: 2018년 5월 20일 (일) 10:34
areumdri>tuvamdet님의 2018년 5월 20일 (일) 10:34 판

<img width="253" height="309" src="00500000012004030801426233.jpg" border="0"><img width="250" height="307" src="Marie-Olympe-de-Gouges.jpg"><img width="241" height="308" src="021115000120050811572_103.jpg" border="0">

“여성은 단두대에 오를 권리가 있다. 마찬가지로 여성은 연단에 오를 권리도 가져야 한다.”

올랭프 드 구즈(Olympe de Gouges, 1748~1793년)는 최초의 근대적 페미니스트[1]  


References

이성형, 역사는 왜 보들레르의 연인 잔 뒤발을 지웠나, 한겨레, 2016년 1월 6일.

동정민, [글로벌 북카페]페미니스트 대모가 쓴 최초 페미니스트의 삶. 동아, 2016년 7월 25일.

조한욱, [조한욱의 서양사람(史覽)] 형장에 설 권리. 한겨레, 2011년 4월 13일.
<a href="http://m.hani.co.kr/arti/opinion/column/472866.html#cb#csidx54c283f782d61d1b4a9a7e229ce1d97"></a>

김재희, 형제애, 구주에게 물어봐. 한겨레21, 2005년 8월 12일.

안효상, 프랑스혁명 인권선언서 빠진 여성의 인권 주창한 드 구즈. 한겨레, 2004년 3월 8일.

류은숙, [문헌으로 인권읽기] '여성과 여성 시민의 권리들의 선언' 올랭프 드 구즈(Olympe de Gouges). 인권운동사랑방 인권오름, 2005년 3월 28일.

성일권, "올랭프 드 구주의 말과 글, 그리고 혁명적 페미니즘" 프랑스 문화연구  제21집 (2010): 265-289.

이세희, and 현재열, "프랑스혁명과 여성의 역할." 프랑스사 연구  7 (2002): 5-48.

브누아트 그루, 『올랭프 드 구주가 있었다』, 백선희 역(마음산책, 2014).


같이 보기

페미니즘/역사/프랑스혁명기의 여성들

베르사유 행진

프랑스 혁명

  1. ibid., pp. 19-2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