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순함수

최근 편집: 2024년 5월 10일 (금) 18:40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10일 (금) 18:40 판

정의

가측집합 에서 정의된 함수 에 대해, 서로소이고 인 가측집합 실수 이 존재해

구문 분석 실패 (구문 오류): {\displaystyle f(x)=a_i,\{{달력|year={{#time:Y}<}|mongth=8}} '''8월 11일'''은 [[그레고리력]]으로 223번째([[윤년]]일 경우 224번째) 날이다. == 사건 == {{빈 문단}} == 출생 == * [[1860년]]: [[윤희순]] * [[1953년]]: 프로레슬러 [[헐크 호건]] * [[1981년]]: 배우 [[소유진]] * [[1983년]]: 배우 [[크리스 헴스워스]] * [[1984년]]: 한화 이글스 [[정재원(야구선수)]] * [[1991년]]: 레인보우의 [[조현영]] * [[1992년]]: 야구선수 [[강경학]] * [[1993년]]: 야구선수 [[이민호(1993)]] == 사망 == {{빈 문단}} == 기념일 == {{빈 문단}} == 같이 보기 == {{특수:다면분류//{{PAGENAME}}}} [[분류:성격/날짜]] [[분류:월/8월]] [[분류:일/11일]] x\in E_i,\;1\le i \le n}

이면 단순함수(simple function)라고 한다. 단순함수를 지시함수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나타낼 수 있다.

예시

Example — 다음은 단순함수의 예시이다.

  • 임의의 계단함수는 단순함수이다.
  • 가측집합에서 정의된 임의의 지시함수는 단순함수이다.

성질

Theorem — 두 단순함수의 합과 곱은 단순함수이다.

단순함수의 적분

단순함수의 표준표현(canonical representation)은

와 같이 나타난다. 이때 이 아닌 서로 다른 실수이고, 이다. 이때 의 적분을

으로 정의하자. 그러면 이고 서로소인 가측집합일 때, 이면

을 얻는다.

가측집합 에 대해 이고 유계인 함수일 때, 를 상르베그 적분(upper Lebesgue integral), 를 하르베그 적분(lower Lebesgue integral)이라고 한다. 의 상르베그 적분과 하르베그 적분이 같으면 르베그 적분가능(Lebesgue integrable)하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