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성격차지수/이전 토론

최근 편집: 2017년 5월 30일 (화) 15:48
WhatisI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5월 30일 (화) 15:48 판 (새 문서: ==진행중== === e-나라지표로 변경시 계산 === 이런 것을 다 찾아서 문서화하시다니, 일단 문서 작성자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ㅎㅎ 제가 궁...)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마지막 의견: 2017년 5월 30일 (화) (WhatisI님) - 주제: 진행중

진행중

e-나라지표로 변경시 계산

이런 것을 다 찾아서 문서화하시다니, 일단 문서 작성자분들께 경의를 표합니다.ㅎㅎ 제가 궁금한 것은 본문의 다음 부분에 있습니다.

임금 격차 측정 방법에 대해서는 "더 나은 방법을 놔두고 서베이(여론조사)에만 의존"하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하고 있다. 타당한 지적이다. 하지만 세계경제포럼의 여론조사 결과가 아닌 한국정부가 제공하는 공식 통계량으로 다시 계산을 해보아도 전체 순위에 아무런 변화가 없다. GGI의 2015년 보고서 기준 임금격차는 0.55, e-나라지표의 2015년 기준 임금격차는 0.63이다. GGI의 임금격차 가중치는 0.31 이므로 e-나라지표의 임금격차를 적용할 때 생기는 최종 점수의 차이는 (0.63 - 0.55) * 0.31 * 0.25 = 0.0062 점이다. 한국의 2015년 최종점수는 0.557점이므로 여기에 추가 점수를 더하면 0.557 + 0.0062 = 0.5632 점이 나온다. 하지만 한국보다 한 단계 위인 124위 Guyana의 점수는 0.569 점이므로 여전히 한국은 125위이다. 성격차지수 계산 구글 시트는 2016년 데이터를 기준으로 유사한 계산을 수행해도 동일한 결과가 나온다는 점을 상세히 보여주고 있다.

"(0.63 - 0.55) * 0.31 * 0.25 = 0.0062 점"으로 계산하셨는데, 4로 나눈(곱하기 0.25) 이유가 무엇인가요? -- WhatisI (토론) 2017년 5월 30일 (화) 15:48 (KST)답변[답변]

완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