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태

최근 편집: 2017년 6월 26일 (월) 11:54
주의 이 문서는 인물 정보를 담고 있습니다. 명예훼손죄, 모욕죄 등에 해당하는 위법한 내용이 담기지 않도록 각별히 주의해주세요. 문서를 편집하기 전에 반드시 편집 정책, 특히 인물 및 단체에 대한 편집 정책을 숙지해주세요.

김형태는 대한민국의 기관장이다. 1966년 생으로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나왔으며 1990년~2000년대 황신혜밴드의 리더로 활동했다. 이후 대통령직 인수위를 지냈고. 지난 2014년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을 맡아 문화융성위원회 문화산업 분야 전문위원으로 활동했다.[1]

개요

성폭행 의혹

성추행 뒤 사직강요

제보자에 따르면 김형태 사장은 2015년 초 신입 여직원들과 가진 회식 및 노래방 자리에서 특정 여직원을 지목해 강압적으로 옆자리에 앉힌 다음 '내 임기동안 승진은 따놓은 당상'이라고 말했다. 또한 허리에 손을 두르고 볼을 비비며 성추행을 하여 상대방에게 수치심을 느끼게 했다.[2]

이후 성추행을 당한 여직원에게 사직을 강요하다 거부당하자 지난 8월 야외에서 음료를 판매하는 가판대로 발령을 낸 것으로 밝혀졌다. 이날 이와 같은 사건과 관련해 지난 6월17일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실에서 녹음된 녹취록이 공개됐다. 김형태 사장은 해당 여직원에게 "내 눈에 안 보이는 데다 배치 할거야", "죽어도 버텨야 되겠어?", "인간쓰레기구나"라는 등 인격 모독성 발언을 퍼부었다.

녹취 영상에서 한 여직원은 김 사장이 지난 2015년 초에 부하직원과의 회식을 한 뒤 노래방에서 자신을 성추행했다고 주장했다.

노래방 가기 전에 팀장님이 반드시 비밀로 하라고 하고 회식을 소집하시고 노래방에 갔는데 저는 제 친구 옆에 앉았었는데 굳이 제 이름을 말하면서 자기 옆에 앉으라고 하시고 내 임기동안 승진은 따놓은 당상이라고 하면서 허리를 감싸고 볼을 부비고 점점 강도가 심해져서 너무 무섭고 수치스럽고 어떻게 해야 할지 모르겠어서 너무 힘들었습니다.

신동근 의원에 따르면 김 사장은 성추행을 당한 여직원에게 사직을 강요하며 인격 모독성 발언을 퍼부었다. 다음은 김 사장이 피해 여직원에게 한 말의 녹취록이다.

어? 내 눈 좀 봐봐. 고개 들어봐. 하하. 어? 야 나 좀 봐봐. 죽어도 버텨야 되겠어? 어? 이 얼굴 못생겨진 거봐. 아이고 이렇게 된다니까 사람이. 얼굴이 삐뚤어지잖아 그러니까. 멀쩡하던 애가.

아 정말 고집 세네. 말 안들을 거야? 끝까지? 내가 무슨 말을 해도? 어? 내가 너를 인간으로서 포기를 해도? 인간이 아니구나 인간쓰레기구나 이렇게 생각을 해도 너는 이 회사에 버티고 다니는 게 중요하니?

눈에 안 보이는 데다 배치를 할 거야. 내 마음속에서 지울 거고. 오늘 이후로 네가 내 말을 내 진심으로 안 들어주면 얘는 내 진심을 안 듣는 애구나 내 마음 속에서 지우고 그냥 없는 존재로 그냥 뭐 저기 알바생 이름도 없는 애들이랑 같겠지.

해당 여직원은 결국 지난 8월 야외에서 음료를 판매하는 가판대로 발령이 난 것으로 알려졌다.

밤 10시 자신의 집 청소 명령

김 사장은 특정 여직원에게 밤 10시가 넘은 시각에 자신의 집 청소를 부탁하기도 했다. 신동근 의원이 제보를 받은 SNS 메신저 화면에는 김 사장이 "00이 내일 시간 된댔지?", "그럼 내일 우리 집에 와서... 청소 좀~.."이라고 전송한 내용이 담겨있다. 

여직원 모아 발 사진 촬영

또한 창립기념일 워크샵에서 신입 여직원 4명을 불러내 특정 포즈를 요구하고 '발' 사진만을 수차례 사진 촬영하며 모욕감을 안겼다는 증언도 나와 논란을 빚었다.

기타 의혹

김형태 사장 취임이후 약 2년간 76명의 직원이 퇴사

취임한 이후직원 성추행 논란이 일었던 김형태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이 취임한 이후 약 2년 동안 76명의 직원이 퇴사한 것으로 확인됐다. 직원들은 ‘역대 최악’ 이라고 입을 모았다.

미디어오늘 취재결과에 따르면 김 사장이 취임한 2014년 6월부터 최근까지 퇴사한 직원은 76명에 이른다. 여기에는 정년퇴직자 1명, 계약이 만료된 계약직 직원 18명도 포함됐지만 정규직 퇴사도 29명에 이른다. 정년이 보장된 무기계약직 퇴사자도 8명이다.

직원들에 따르면 문화재단의 정규직 규모는 40명 수준이다. 따라서 최근 2년 동안 정규직의 3분의 2가량이 퇴사한 것이다. 이 중에는 문화재단 출범 초기부터 근무했거나 10년 이상 해당 근무한 이들도 서너명 포함된 것으로 알려졌다.[3]

해명문

김 사장은 "이 같은 내용이 사실이냐"는 신 의원의 추궁에 "악의적인 편집"이라며 "사실이 아니다"라고 전면 부인했다. 그는 "해당 여직원이 검찰에도 고발을 했기 때문에 검찰에서 결백을 밝힐 것"이라고 말했다. 다만 그는 '집 청소 부탁'에 대해서는 "기억이 나지 않는다"라고 답했다.

출처

  1. http://www.imaeil.com/sub_news/sub_news_view.php?news_id=52015&yy=2016
  2. 김형태 국립박물관문화재단 사장, 여직원 ‘성추행 뒤 사직강요’ 의혹http://www.vop.co.kr/A00001077821.html
  3. 성추행 논란 김형태 사장, 2년 동안 직원 76명 그만뒀다 http://www.mediatoday.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1327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