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나 해러웨이

최근 편집: 2017년 8월 16일 (수) 22:00
쮸우쮸우빔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8월 16일 (수) 22:00 판 (사이버 페미니즘의 시초, 도나 해러웨이 문서를 만듭니다)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도나 해러웨이(영어: Donna J. Haraway )는 1944년 9월 6일에 출생한 샌타 크루즈, 캘리포니아 대학교의 의식사학과 교수이다.

저술

  • 『영장류의 시각』
  • 『유인원, 사이보그, 그리고 여자』
  • 『겸손한 목격자』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사이보그를 위한 선언문: 1980년대의 과학, 기술 그리고 사회주의적 페미니즘’(영어: A Cyborg Manifesto)은 1985년, «사회주의 평론(영어: Social Review)» 80호에 발표한 것이다. 처음에는 별 주목을 받지 못했지만, 급속히 시작되어버린 정보화 시대의 도래로, 1990년대 중반부터 페미니즘 뿐만 아니라 현대 문화이론 및 포스트휴머니즘의 대표적 논문으로 부각되기 시작했다.

내용

기존 페미니즘 담론의 한계를 전제로 하여, 다양한 문화권의 아웃사이더 여성들을 연계적으로 연합세력으로 만드는 대안 개념으로 사이보그 이미지를 도입할 것을 제안했다.

20세기 후반에 이른 신화적 시대에 우리 모두는 키메라(chimera)이며, 기계와 유기체가 이론화되고 가공되어진 혼합물이다.

위와 같은 주장을 통해, '우리 모두가 사실 사이보그'라는 선언을 했다.

유전공학의 발달로 복제 기술이 발달하고, 인간의 가치 기준이 생식 및 생산 능력보다는 정보화 사회에서의 적응 능력으로 그 척도가 바뀌므로, 성이나 계급•노동 개념으로는 이미 변한 여성의 사회적 위치를 정확히 설명할 수 없고 미래를 예측하기도 어렵다는 것이 그가 사이보그를 대안으로 내세운 가장 중요한 정치적 이유이다. [1]

  • 전문을 이곳에서 볼 수 있다.([1])

경력

대학에서 생물학, 철학, 문학을 전공하였고, 예일대학원에서 학위논문을 쓸 때에도 순수한 생물학에 관한 것이 아닌 ‘20세기 유기 체론에서 사용된 은유들’에 관한, 일종의 생물철학, 즉 인문학적 견지에서 본 생물학 에 관한 주제를 채택하였다. 인문과학과 자연과학을 복수전공한 교육적 배경이 그의 특성이 되었다.

같이 보기

출처

  • 이지언 (2012). 과학기술에서 젠더와 몸 정치의 문제. 한국여성철학, 17, 97- 121.
  1. 신경원 (2000). 정보과학 시대의 사회주의 페미니즘 : 해러웨이의 "사이보 그를 위한 선언문". 서강인문논총, 13, 75-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