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통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 우선 조사(식품의약품안전처)

최근 편집: 2017년 10월 23일 (월) 19:34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0월 23일 (월) 19:34 판 (상세 조사 내용을 추가합니다)

생리대 전수조사라고도 알려져 있다.

진행

  • 식품의약품안전처2017년 8월 25일 조사를 착수한다고 밝혔으며 9월 말까지 검사를 종료할 계획이라고 하였다.[1]
  • 8월 29일 중앙약사심의위원회를 개최하여 VOC 조사 대상 성분 10종과 분석 방법, 위해평가 방법을 확정하였다.[2]
  • 8월 29일 16시 00분 기준으로 계획대비 60%인 534개를 수거하였었고 검사도 시작하였다..

조사

조사 제품

조사 대상은 조사 기준 최근 3년간 생산 혹은 수입된 생리대 56개사 896품목(제조 671, 수입 225)으로 휘발성유기화합물(VOC)에 대해 우선 조사할 예정이다.[1]

조사대상 성분 10종

다음은 조사 성분으로 선정된 10종이다.[3]

  1. 에틸벤젠
  2. 스티렌
  3. 클로로포름
  4. 트리클로로에틸렌
  5. 메틸렌클로라이드(디클로로메탄)
  6. 벤젠
  7. 톨루엔
  8. 자일렌
  9. 헥산
  10. 테트라클로로에틸렌

시험 방법

초저온 냉동 분쇄법에 따르며 동결, 분쇄한 검체(생리대)를 120도의 고열로 가열하여 방출되는 휘발성유기화합물을 기체크로마토그래피-질량분석기법으로 측정한다.[3]

위해평가

위해평가는 여성이 하루 5개를 사용하는 경우 VOC가 피부로 전이되는 비율, 피부흡수율, 전신 노출량 등을 고려하여 진행된다.[3]

위해평가를 위한 노출량 산술식

다음은 노출량 산술식이다.[3]

노출 인자 의미 비고
SED, 전신노출량(mg/kg/day)
생리대 휘발 물질 전신 노출량
C, 함량(㎍/PAD ea) 생리대 하나 당 휘발 물질 농도 휘발 물질 함량
T, 전이율(%) 피부 전이 정도 20%
DA, 경피흡수율(%) 휘발물질 피부 흡수율 물질에 따른 피부 흡수율
N, 사용 개수(PAD ea/ day) 하루 생리대 사용 개수 5 개/일
D, 노출기간(%) 생리대 사용 시간 및 기간
BW, 체중(kg) 여성 15-54세 평균 체중 57 kg

출처

  1. 1.0 1.1 “유통 생리대 휘발성유기화합물(VOCs) 우선 조사”.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년 8월 25일. 2017년 10월 23일에 확인함. 
  2. “식약처,‘생리대 안전 검증 위원회’구성키로”.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년 8월 29일. 
  3. 3.0 3.1 3.2 3.3 “식약처,‘생리대 안전 검증 위원회’구성키로”. 《식품의약품안전처》. 2017년 8월 29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