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차신경

최근 편집: 2017년 12월 1일 (금) 18:53
Larodi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2월 1일 (금) 18:53 판 (새 문서: '''삼차신경'''은 12쌍의 뇌신경 중 다섯 번째에 해당되는 안면신경이자 가장 큰 뇌신경으로, 다리뇌 바깥쪽에 위치하며 안면의 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삼차신경은 12쌍의 뇌신경 중 다섯 번째에 해당되는 안면신경이자 가장 큰 뇌신경으로, 다리뇌 바깥쪽에 위치하며 안면의 감각과 씹는 운동에 관여한다.[1]

구조

감각근과 작은 운동근으로 구성되어 있다. 다리뇌로부터 나온 삼차신경섬유는 안신경, 상악신경, 하악신경의 세 갈래로 나뉘어 얼굴로 이어진다.[1]

안신경

가장 위에 위치한 안신경(영어: Ophthalmic nerve)은 눈신경이라고도 부른다. 상악신경과 하악신경의 볼록한 신경절에서 나오며 여러 신경들과 교류한다.[1] 또한 안신경은 상안와열을 통과해 안와로 들어가며, 부속신경절로는 모양체신경절이 있다.[2]

상악신경

중간에 위치한 상악신경(영어: Maxillary nerve)은 안신경보다 큰 감각신경이며, 정원공을 지나 두개강 밖으로 나오고[1] 안와하공을 거쳐 얼굴로 나온다.[2] 부속신경절로는 익구개신경절이 있다.[2]

하악신경

가장 아래에 위치한 하악신경은 삼차신경의 가장 큰 분지로, 앞쪽 부위는 대부분 운동신경섬유이지만 작은 감각분지와 함께 협신경을 이루며, 하악신경의 뒤쪽 부위는 치아의 감각을 담당하는 감각 신경이다.[1] 난원공을 통과하여 두개강 밖으로 이어진다.[2] 부속신경절로는 이신경절악하신경절이 있다.

  1. 1.0 1.1 1.2 1.3 1.4 “삼차신경(Trigeminal nerve) - 인체정보 - 의료정보”. 《서울아산병원.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2. 2.0 2.1 2.2 2.3 Hee-Eun Kim (2014). “Nerves of the head and neck” (PDF). 《Department of Dental Hygiene College of Health Science, Gachon Universi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