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다름스타튬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4일 (일) 12:11

틀:원소 정보

개요

원자번호는 110번, 기호는 Ds이다. 다름슈타트 중이온 가속기 연구소가 위치한 독일의 도시 다름슈타트에서 이름을 땄다.

아래 표를 보면 알 수 있지만 반감기가 매우 짧으며, 그나마 가장 긴게 281Ds의 11초이다. 이 때문에 실험적으로 성질을 조사할 수 없었다. 하지만 10족 원소들과 비슷할 것으로 예측된다.

동위원소

모두 인공적인 합성을 통해 만들어졌으며, 총 7개이다. 아래 표를 참고한다.

동위원소 반감기 붕괴 방식 붕괴 생성물
269Ds 0.00017초 α 265Hs
270gDs 0.0001초 α 266Hs
270mDs 0.006초 α 266Hs
271gDs 0.00163초 α 267Hs
271mDs 0.069초 α 267Hs
273Ds 0.17초 α 269Hs
279Ds 0.2초 α
(10%)
275Hs
SF
(90%)
281Ds 11초 SF

발견

1994년 11월 9일, 독일 중이온 가속기 연구소(GSI)의 발표를 공식적인 최초로 보고 있다. 시구르드 호프만(Sigurd Hofmann), 페터 아름브루스터(Peter Armbruster), 고트프리트 뮌첸베르크(Gottfried. Műnzenberg) 등의 연구진이 참여했다.

208Pb 표적에 62Ni 이온을 충돌시키는 실험을 통해 한 개의 110번 원자를 검출하였다. 연속적으로 4번의 알파 붕괴를 하여 253No이 되는 것을 관찰해 269Ds임이 확인되었다.

틀:첨자Pb + 틀:첨자Ni → 틀:첨자Ds + 틀:첨자n

성질

다름슈타튬의 성질은 대부분 계산을 통해 추측되었다. 위에서도 말했듯이, 반감기가 매우 짧아 실험으로는 알 수 없다. 우선 다른 10 원소들처럼 은색 금속으로 추정된다. 하지만 결정구조는 다른 10족 원소들과 다르게 등축정계(체심 입방 구조)일 것으로 보인다.

용도

없다. 위에서 서술했듯이 반감기가 길어야 11초인 원소인데 상업적 용도로 쓰일 리가 없다. 심지어 한 번 만드는데 기껏해야 원소 몇 개이다.

주기율표
주기↓
족→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
1
2
2
3
4
5
6
7
8
9
10
3
11
12
13
14
15
16
17
18
4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5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6
55
56
72
73
74
75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7
87
88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란타넘족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악티늄족
89
90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금속 준금속 비금속 불명확 원소
알칼리 금속 알칼리 토금속 란타넘족 전이금속 전이후 금속 비금속 비활성 기체
악티늄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