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청담역

최근 편집: 2021년 11월 8일 (월) 14:30

틀:새 철도역 정보 틀:+1
淸潭驛 / Cheongdam Station

개요

서울특별시 강남구 청담동에 위치한 지하철역.

역명의 유래는 이 지역의 명칭인 청담동. 다른 7호선의 강남구간 역과는 달리 청담역사거리가 존재하지 않으며, 존재하기가 불가능하다. 왜냐하면 이 역이 가지고 있는 특이한 역 구조 때문인데...자세한 건 후술.

역사

2000년 8월 1일 서울 지하철 7호선의 잔여 구간이 개통되면서 개업한 역이다.

다만 당초 2000년 초반에 신풍역-청담역 구간을 개통하고 2000년 후반에 남은 청담대교구간을 개통시킬 계획이었고, 이 때문에 청담역은 시종착역의 기능을 하도록 설계되어 있었다. 그러나 막상 청담대교 공사가 빨리 끝나게 되면서 2000년 8월 1일 신풍-건대입구 구간이 일괄적으로 개통되면서 사실상 시종착역으로 쓸 일이 없어지게 되었다(...)

역 구조

승강장

이 역의 구조는 다른 역과 달리 2면 3선식 구조로 되어 있다. 즉 어떻게 되어 있냐면...

틀:철도승강장

이런 구조다.

왜냐하면 당초 전술했듯 청담역을 한시적 시종착역으로 사용하기 위해 해당 역을 설계해 두었던 것이다. 방화역, 상일동역, 수락산역, 온수역이 비슷한 케이스. 다만 이 역은 청담대교가 조기 개통되면서 사실상 종착역 기능을 못 쓰게 되어서 그렇지(...)

이후 평소에는 양쪽 승강장으로 운행을 하며, 중선 승강장은 주박 선로로 쓰게 된다.

중선 승강장은 은 사실 주박선 뿐만 아니라 다른 곳으로도 유용하게 쓰였는데, 특이하게 5678 장터 열차라는 직거래 장터가 바로 이 역의 중선 승강장에서 열렸다. 6호선 열차를 알바 출고하여 이 역에 주박시켜, 각 지자체 농민 생산자들이 직접 판매하는 농산물 직거래 장터 시스템으로, 매주 화,수,목 3일 간 15시부터 20시까지 열렸다. 심지어 9GAG에도 올라왔다(...) Underground_in_Korea.line7 다만 이것도 2012년 9월 28일부로 중단되었는데, 7호선의 부평구청역 연장 시운전을 개시하면서 열차가 모자라게 되었기 때문이다.

역 전체 구조

다른 역과는 달리 청담역사거리가 없는데, 이는 특이하게도 청담역 자체가 한 블럭을 길게 늘어뜨려 건립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청담공원사거리와 경기고교앞사거리를 걸쳐 있다는 것이다. 그러다 보니 경기고교사거리 쪽 1번 출구와 청담공원사거리 쪽 7번 출구와의 거리가 무려 655m(!!!)

이렇게 된 데에는 본래 청담역은 청담공원사거리 쪽에 건립 될 예정이었으나, 경기고교 쪽 주민들이 역 신설을 요구하게 되었는데 역을 또 만들게 되면 가뜩이나 급행이 없었던 7호선의 표정속도는 더 죽어버릴 것이 뻔했기 때문에, 도시철도공사에서는 아예 역 자체를 길게 늘어뜨려서 청담역에서 양쪽 블럭의 수요를 잡는, 특이한 결정을 내리게 된다.

그렇게 되면서 7호선의 표정속도 향상에도 도움이 되었고 공사비도 절감되면서 1석2조의 효과를 거두게 된다. 어떤 광역전철의 마을전철과는 정반대

파일:청담역.png

문제는, 위례신사선이 이 역에서 환승이 될 예정인데, 정작 이 역은 영동대로 지하에 건립될 예정인지라 디지털미디어시티역, 노원역, 홍대입구역, 고속터미널역은 쌈싸먹는 초특급 막장환승역이 될 기대주가 된다(...) 예상 환승거리만 하더라도 500m를 넘는다!!!

역의 출구 수는 14개로, 서울 지하철의 단일 역으로는 가장 많은 출구를 가지고 있다.

역 자체가 워낙 크고 아름다운관계로, 이 역의 역무원은 이 역에 비치된 자전거(!!!)를 타고 역내 순찰에 나선다. 흠좀무. 4, 11번 출구 쪽에 화장실이 있다. 이용시 유의하기 바란다. 만일 급한 상황에서 3, 12번 출구 쪽으로 나간다면...망했어요

주변 정보

역 서쪽으로 강남구청이 있으며, 역 동쪽으로는 경기고등학교, 봉은중학교, 서울봉은초등학교, 삼성동 아이파크, 봉은사 등이 있다.

경유 열차

틀:경유 계통/열기 틀:경유 계통/계통 틀:경유 계통 틀:경유 계통/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