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충목왕

최근 편집: 2022년 12월 13일 (화) 03:28
고려의 역대 국왕
28대 충혜왕 왕정 29대 충목왕 왕흔 30대 충정왕 왕저
묘호 없음
생몰년도 음력 1337년 4월 15일 ~ 1348년 12월 5일
양력 1337년 5월 15일 ~ 1348년 12월 25일
재위기간 음력 1344년 ~ 1348년
양력 1344년 ~ 1348년
부모 어머니 덕녕공주
아버지 충혜왕
흔(昕)
후임 왕 충정왕
시호 충목현효대왕(忠穆顯孝大王)

소개

고려 제29대 국왕이다. 휘는 (昕), 몽골 이름은 바스마도르지(八思麻朶兒只, padma dorji), 원에서 내린 시호충목왕(忠穆王)이며 공민왕이 올린 시호는 현효대왕(顯孝大王)이다. 충혜왕덕녕공주(德寧公主) 사이에서 태어났다.

원나라에 볼모로 끌려가 있다가 8세에 원나라에 의하여 즉위하였으나 후사없이 요절한다. 1344년부터 1348년까지 재위하는 동안 그의 모후인 덕녕공주(德寧公主)가 섭정을 하였다.

생애

충혜왕의 아들이며 어머니는 원나라덕녕공주였다. 그러나 고려의 독립과 반몽 인사를 감시하기 위해 원나라 황제의 명으로 어릴 때 원나라 대도에 볼모로 잡혀가 있었다.

1344년(충혜왕 5) 충혜왕이 죽자, 고용보(高龍普)가 왕을 옹위하고 원나라 순제을 알현하였을 때 순제가 “그대는 아버지를 배우겠는가, 아니면 어머니를 배우겠는가?”라는 물음에 “어머니를 배우고 싶다.”라고 대답하자 순제는 왕의 천성이 선을 좋아하고 악을 미워하는 것이라고 찬탄하고 왕위를 계승하게 하였으니, 이때 나이 8세였다.

어린 나이로 즉위하였으므로 어머니인 덕녕공주가 대신 정사를 맡아보며 전조(前朝)의 폐정을 시정하였다. 권세가들에게 빼앗겼던 땅을 본래의 주인에게 돌려주었으며, 녹과전(祿科田)의 폐단을 시정하였다. 기근이 들었을 때 진제도감(賑濟都監)을 설치하여 빈민을 구제하였다. 또한, 충선왕의 명으로 민지(閔漬)가 찬진(撰進)한 편년강목을 증수시키고, 충렬왕 · 충선왕 · 충숙왕 등의 실록을 편찬하였다.

가계

충목왕이 등장하는 작품

저서

  • 《편년강목》증수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