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평균값 정리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4일 (일) 13:11

평균값 정리(Mean value theorem, MVT)는 미분가능한 함수의 그래프의 두 점을 이었을 때, 두 점 사이의 다른 점이 존재하여 그 점에서 접선의 기울기가 두 점을 이은 직선의 기울기와 같다는 명제다.

진술

실수 에 대해, 함수 가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에서 미분가능하면,

가 존재한다.

증명

라고 하자. 그러면 이라서 롤의 정리를 적용해 를 찾을 수 있다. 그러면 . 롤의 정리가 캐리해서 짧아진 증명

코시의 평균값 정리

위 평균값의 정리를 좀 더 일반화 시킨 버전.

실수 에 대해, 함수 가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에서 미분가능하면,

인 점 가 존재한다.

증명

함수 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자.

그러면 h는 닫힌 구간 에서 연속이고 열린 구간 에서 미분가능하며,

이다. 따라서 롤의 정리에 의해 가 존재한다. 그러면

이므로 원하는 결론을 얻는다.

다변수 함수의 평균값 정리

어떤 두 점 에 대하여 함수 (양 끝 점 제외)에서 미분 가능하고 에서 연속이면, 다음이 성립하는 이 존재한다:

이때 우변은 두 벡터의 유클리드 내적이다.

적분의 평균값 정리

연속함수 에 대하여 가 nonempty compact connected subset이면, 다음이 성립하는 이 존재한다:

이를 1차원의 경우로 약화하면

for all real

이 된다.

증명

주어진 정의역에서 최댓값과 최솟값이 존재하므로(최대-최소 정리), 이를 각각 , 이라 하면

,

인데 이면 주어진 명제가 성립하므로, 이 경우를 제외하고 생각하면 일반성을 잃지 않고 A > 0이므로

이고, 함숫값이 인 두 점을 이은 어떤 선 중 D에 속한 것(정의역이 연결집합이므로 D에 속하는 어떤 선이 존재한다.)을 t ∈ [0, 1]로 매개화하면 중간값 정리에 의하여 증명이 완료된다.

일반화된 적분의 평균값 정리

연속함수 에 대하여 가 nonempty compact connected subset이고 의 부호(nonnegative 또는 nonpositive)가 정의역 전체에서 일정한 적분가능 함수면, 다음이 성립하는 이 존재한다:

이를 1차원의 경우로 약화하면

for all real

이 된다.

증명은 위와 거의 같다.

활용

함수의 증감

여러 가지 활용이 있겠지만 가장 익숙한 것은 함수의 그래프를 그리는 방법일 것이다.

함수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면, 는 그 구간에서 증가한다.
함수 에서 미분가능하고 이면, 는 그 구간에서 감소한다.

증명

내에서 임의의 가 되게 잡는다. 그럼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하다. 따라서 평균값의 정리에 의해 를 만족하는 내에 적어도 하나 존재한다. 또한 이므로 이다. 이것은 곧 이고, 는 구간 내의 임의의 값이므로 는 구간 내에서 증가한다.

비슷한 방법으로 함수의 감소에 대해 증명할 수 있다.

연쇄법칙

Chain Rule 이라고도 부르는 미분 법칙.

좀 더 엄밀한 버전은 아래.

에서 연속이고 에서 미분가능한 함수 , 혹은 이를 포함하는 집합에서 정의된 함수 를 생각하자. 에서 미분가능하며 에서 미분 가능하면, 에서 미분 가능하며, 이다.

사실 연쇄 법칙은 평균값의 정리를 사용하지 않고 증명하는 것이 일반적인데, 그 이유는 평균값의 정리를 연쇄 법칙보다 나중에 배우기 때문. 증명은 생략한다.

로피탈의 정리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로피탈의 정리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코시의 평균값 정리를 사용하여 증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