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토론:정책/이전 토론

최근 편집: 2016년 11월 20일 (일) 02:43

운영진 선출 방식

페미위키:개선요청 문서에 운영진 선출 방식에 대한 건의가 있었습니다. 이 논의를 여기에서 하면 좋겠습니다 --탕수육 2016년 9월 30일 (금) 07:29 (KST)답변[답변]

사용자들이 자발적으로 후보에 등록하여 글을 작성하고, 한 달 정도 기간을 두어 사용자들이 투표를 하였으면 좋겠습니다. 임기는 3개월 혹은 6개월이 적당할 듯 합니다. --열심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15:26 (KST)답변[답변]
위키백과의 관리자 선거 절차[1]도 참고하면 좋겠습니다 --탕수육 2016년 10월 1일 (토) 23:21 (KST)답변[답변]

임기

페미위키를 만들자는 제안글에서 첫 오픈까지 2개월이라고 봤을 때, 3개월은 그리 긴 시간은 아닌 듯 합니다. 그럼에도 지난 2개월 간 구성원 변화가 컸고, 다양한 업무팀이 요구되고, 사라지고, 통합되었습니다. 그래서 운영초기에는 다양한 변화와 요구에 빠르게 다시 개편/조직될 수 있도록 임기를 짧게 잡고(예를들면 3개월), 어느 정도 안정기에 들어서고 나면 6개월 등으로 길게 조정하는 것이 어떨까 싶습니다. --Pleasesica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21:23 (KST)답변[답변]

동의합니다.열심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21:45 (KST)답변[답변]
3개월 임기에 동의합니다.— 로네 (토론) 2016년 10월 2일 (일) 20:18 (KST)답변[답변]
저도 동의합니다 --탕수육 2016년 10월 9일 (일) 15:58 (KST)답변[답변]
찬성합니다. --Applist (토론) 2016년 11월 20일 (일) 02:02 (KST)답변[답변]

운영진 구성

선출과 함께 운영진 구성도 논의해야 될 것 같아요. 필요한 업무, 팀, 지속적으로 꼭 있어야하는 곳, 조별모임처럼 사안마다 모이면 되는 곳 등등... 오픈 전에 있었던 팀은 기술/디자인, 홍보, 컨텐츠, 기획, 계정승인팀 입니다. --Pleasesica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21:51 (KST)답변[답변]

중요한 문제인데 의견이 없네요.. 나무위키는 개발자와 운영자를 나누고, 운영자는 관리자, 중재자, 호민관으로 나눕니다. 나무위키 문서에 운영에 대한 규정을 링크해놨습니다. 다른 위키도 조사해오겠습니다. — 로네 (토론) 2016년 10월 3일 (월) 21:39 (KST)답변[답변]

위키백과는 관리자, 사무관, 검사관으로 구성됩니다. 역할 설명은 링크로 대체하겠습니다. 관리자 페미위키 운영이 다른 위키와 다른 점은 (사무관 권한만 가진 저를 제외한 다른) 운영진이 관리자, 사무관 권한을 모두 가지고 있다는 점 같습니다. 페미위키에는 홍보, 기술, 디자인 등 팀이 있는데 다른 위키에서는 이런 일을 선거로 뽑는(민선) 운영진과 구분되는 개발자 혹은 소유자가 하는 것으로 압니다. — 로네 (토론) 2016년 10월 3일 (월) 22:03 (KST)답변[답변]

페미위키에도 나무위키 호민관처럼, 제재집행자와 분리된 제재 감경과 다른 운영진 견제를 담당하는 직책이 있었으면 합니다. 나무위키의 호민관이 하는 일은 다음과 같습니다: 1)차단된 이용자의 차단 재조정 2)기본방침 개정에 대한 승인 혹은 거부 3)운영자에 대한 감사업무 수행 및 탄핵소추 4)토론의 강제 결론도출에 대한 이의 제기 및 재토론 요구 등 호민관 — 로네 (토론) 2016년 10월 6일 (목) 16:52 (KST)답변[답변]

차단 집행자와 분리된 차단 소명 처리 직책이 꼭 있었으면 합니다. 차단당한 사람이 차단에 동의하지 못할 경우 자신을 차단한 사람에게 소명하기 싫을 경우가 있습니다. ㅡ 로네 (토론) 2016년 10월 8일 (토) 23:39 (KST)답변[답변]

기술/디자인, 홍보, 계정승인팀은 팀으로서 놔두는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설령 민선으로 뽑는다고 해도 하는 일이 미세한 만큼 팀으로서 놔두는것도 괜찮을 것 같네요. 단, 만약 이 팀(들)에서 제대로 직무를 이행하지 않는다면 나무위키의 호민관같은 직책이 해당 팀의 구성원이나 해당 팀 전체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제출할 수 있는 구조로 되었으면 합니다. --Applist (토론) 2016년 11월 20일 (일) 02:07 (KST)답변[답변]

선거권 및 피선거권

선거권과 피선거권에 대한 논의가 필요합니다. 예를 들어 다음은 한국어 위키백과의 관리자 선거 문서[2]에 선거권 및 피선거권은 다음과 같이 명시되어 있습니다.

  • 선거 개시를 기준으로 위키백과에 첫 기여를 한 이후 30일이 지난 상태이고, 20건 이상의 일반문서 편집에 기여한 사용자는 선거권을 가집니다.
  • 선거 개시를 기준으로 위키백과에 첫 기여를 한 이후 90일이 지난 상태이고, 1,000건 이상의 일반문서 편집에 기여한 사용자는 피선거권을 가집니다.
  • 낙선한 후보자는 선거 종료 후 3개월간 다시 입후보할 수 없습니다.
  • 후보자는 자기 자신에게 투표할 수 없습니다.
  • 차단당한 사용자는 차단 기간에 피선거권과 선거권이 박탈되며, 사용자의 표는 무효 처리됩니다.
  • 다중 계정 정책에 따라 다중 계정임을 미리 알리고 한정된 사용을 하는 다중 계정 소유자의 표는 1표로 인정하되, 다중 계정 정책에 위반되는 악의적 다중 계정 소유자의 투표는 인정하지 않습니다.

--탕수육 2016년 10월 9일 (일) 19:17 (KST)답변[답변]

개발자 쿠데타 방지

다른 운영자와 달리 개발자에 대해서는 규정에 따라 기술적으로 권한을 제약하는 것이 대단히 어렵거나 불가능합니다. 따라서 악의적인 의도를 가진 개발자가 목적을 숨기고 접근한 후 개발 권한을 획득할 경우 돌이키기 어려운 문제(모든 운영자의 권환 회수 등)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고 운영을 더 민주화할 수 있는 방안으로 누구나 쉽게 페미위키의 코드 및 문서를 복제하여 미러 또는 포크를 만들 수 있도록 관련 코드 및 데이터를 공개하고 상세한 기술 가이드를 제공할 것을 건의합니다.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은 것들을 제공하면 좋겠습니다.

  • 수정한 소스코드 공개 (스킨 등)
  • 정기적으로 문서 DB 덤프 공개
  • 정기적으로 업로드된 파일 덤프 공개
  • 서버 설치 및 운영에 필요한 스크립트 및 가이드 문서 공개

이렇게 하면 다음과 같은 이점이 있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 누구나 대단히 쉽게 (이를테면 몇 시간 이내에) 미러나 포크를 만들 수 있다면 쿠데타를 일으킬 동기가 크게 약화될 것입니다.
  • 쿠데타가 일어난다 하더라도 원래의 운영진이 쉽게 또다른 페미위키를 만들고 기존의 도메인 주소(femiwiki.com)만 새 서버로 옮겨오면 별 타격 없이 서버를 되찾을 수 있습니다.
  • 페미위키의 컨텐츠는 마음에 들지만 정책이 마음에 들지 않을 경우, 누구나 쉽게 페미위키 포크를 만들고 원하는 정책에 기반하여 운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용자들에게 더 많은 대안이 생깁니다.
  • 수많은 포크가 생기더라도 저작권은 CCL BY-SA 4.0을 따르게 될 것이므로 포크 간 컨텐츠는 쉽게 오갈 수 있습니다.

--탕수육 2016년 10월 9일 (일) 13:01 (KST)답변[답변]

해당 위키를 전면 오픈소스로 바꾸고, 업데이트 시 정기적으로 소스코드를 공개하는 것도 좋을것 같습니다. 운영에 필요한 스크립트 및 가이드 문서까지 공개하면 사용자 입장에서도, 관리자 입장에서도 만일의 사태가 터졌을때 좋은 대안이 될 것 같습니다. 찬성합니다. --Applist (토론) 2016년 11월 20일 (일) 02:19 (KST)답변[답변]

각종 계정 권한 관리

다음 계정들에 대한 권한 관리에 대해서도 논의가 필요합니다.

이 중 AWS, 구글 웹분석, 구글 태그 매니저, 구글 서치 콘솔은 개인정보정책과도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렇게 쓰는게 맞나... 일단 개인적으로 AWS 계정과, 도메인 이름 소유권, 깃허브 계정, 구글 계정들은 줄 필요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깃허브는 각 개발자에게 커밋 권한을 주는걸로 해결이 가능하죠. 그리고 AWS 계정은 서버 연결에는 전혀 필요가 없습니다. 필요할 때는 꽤나 적기 때문에.. 구글쪽은 보통 한번 설정하면 딱히 볼 내용이 없더라고요. 2016년 11월 13일 (일) 11:49 (KST)답변[답변]

차단 소명, 문의, 신고 등 접수 방법

차단 소명을 메일로 비공개적으로 하는 것보다 게시판이나 위키 문서 등으로 공개적으로 하는 것이 투명성을 높이고 운영진의 권력을 제한할 수 있는 방법입니다. 한편 위키 사용자가 문의, 신고 등도 할 수 있어야 합니다. 차단소명, 문의, 신고 등을 게시판과 위키 문서 중 어느 곳에서 하는 것이 좋을까요? 나무위키에서는 게시판을 씁니다. ㅡ 로네 (토론) 2016년 10월 8일 (토) 23:39 (KST)답변[답변]

게시판 이라는 것이 (해당 위키에) 존재하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문의 문서를 만들고 그 하단에 문단을 만들어 위키 문서로 차단소명, 문의, 신고 등을 하게 하는것이 낫다고 봅니다. 각 문단은 3개월이 지나면 지우는 형식으로 가는것이 좋다고 봅니다 --Applist (토론) 2016년 11월 20일 (일) 02:43 (KST)답변[답변]

정책 토론 장려책

페미위키:개선요청 문서에 정책 토론 장려책에 대한 건의가 있었습니다. 이 논의를 여기에서 하면 좋겠습니다 --탕수육 2016년 9월 30일 (금) 07:29 (KST)답변[답변]

토론 현황을 SNS등에 알려주는 게 어떨까요? 예를 들면 "운영진을 선거로 선출하고, 임기를 3개월로 하자는 의견이 현재 다수입니다. 의견을 내주시기 바랍니다" 처럼요.— 로네 (토론) 2016년 10월 2일 (일) 20:18 (KST)답변[답변]

법적 분쟁 지원

페미위키의 목적은 유용한 정보를 통해 사람들이 페미위키를 이용하게 하고, 그로 인해 사람들이 여성주의적 관점에 가깝게 하는 것입니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페미위키에 문서를 작성하는 기여자 분들 하나하나가 이 목표에 도움을 주시고 있는 것이니, 이렇게 같은 목표에 동참하시는 분들이 그 과정 하에 법적인 분쟁(명예훼손 등으로)에 휘말렸을 때 페미위키 측이 도움을 주었으면 합니다. 고소장 작성, 변호사 비 지원 등등으로요. 물론 지금은 돈이 없으니 돈이 좀 생겼을 때 얘기겠지만요.......--열심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15:34 (KST)답변[답변]

저도 이 부분이 앞으로 중요해질거라 봅니다. 애초에 페미위키가 필요할 수 밖에 없었던 이유와도 맞물리는데요, 페미위키 내의 어떤 정보들은 기존 권력과 질서(남성편향적인 학계,분야, 젠더감수성 부족한 영역들에서)와 정면으로 맞서게 될 수 있습니다. 소신있게 여성주의 관점에서 서술한 편집자가 공격의 타켓이 된다면 함께 막아주고 함께 싸울 수 있는 기반을 마련했으면 좋겠습니다. --Pleasesica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19:10 (KST)답변[답변]
동의합니다. --탕수육 2016년 9월 30일 (금) 19:27 (KST)답변[답변]

운영진 소개 문서 필요

현재 운영진의 구체적인 구성을 아름드리 위키 코멘트에서 처음 알았습니다. 크게 불만은 없으나 이 위키에도 늦지 않게끔 공식적인 소개페이지를 작성하여야 하지 않을까요? --렌즈 (토론) 2016년 9월 28일 (수) 23:27 (KST)답변[답변]

공식적인 소개페이지는 확실히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빠른 시일 내에 대문 등에 등록하면 좋겠습니다. --열심 (토론) 2016년 9월 30일 (금) 15:34 (KST)답변[답변]
페미위키:운영진 문서를 만들고 페미위키:대문 등 여러 문서에 링크하였습니다. --탕수육 2016년 10월 1일 (토) 09:35 (KST)답변[답변]

참조

  1. “관리자 선거 절차”. 《한국어 위키백과》. 
  2. “관리자 선거 절차”. 《한국어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