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BS

최근 편집: 2018년 7월 4일 (수) 15:06
Yonghokim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7월 4일 (수) 15:06 판 (새 문서: 섬네일|프로그램 작동 모습 '''OBS (Open Broadcaster Software)'''는 인터넷 방송/스트리밍용 오픈소스 프로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프로그램 작동 모습

OBS (Open Broadcaster Software)인터넷 방송/스트리밍용 오픈소스 프로그램이다. 윈도우, 맥OS, 우분투를 지원하며 프로그램 조작에 한국어를 포함한 41개 언어를 사용 할 수 있다.

범용성이 뛰어난 동시에 조금 불친절한 인터페이스로 익숙해질 때 까지는 약간 딱딱하게 느껴질 수 있다. 높은 범용성 덕분에 인터넷에서 CSS 설정 정보, 플러그인 개발등이 활발하다.

스트리밍 설정

설정 -> 스트림에서 서비스를 선택하고 키를 입력하는 것으로 설정이 끝난다. 키는 스트리밍 서비스의 설정 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다. 왠만한 시스템은 기본 설정으로 무리 없이 스트리밍이 가능하다.

설정 -> 비디오에서 송출 해상도를 선택해주자. Base Resolution 은 구성 요소들이 들어갈 가상 화면의 사이즈이다. Output Resolution 은 실제로 송출할 화면의 사이즈이다. 인터넷 속도에 문제가 없는 한 두 해상도 다 같은 크기로 설정하고, 컴퓨터 성능에 따라서 1920x1080 의 고해상도 또는 1280x720 의 저해상도로 설정하는 것이 무난하다.

스트리밍 말고 화면 녹화용으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화면 구성 요소

기본 설정은 화면 구성 요소가 완전한 백지에서 시작하기 때문에 하나씩 다 추가해준 후 레이아웃을 짜야 한다. Source 란에 오른쪽 클릭을 눌러서 Add 클릭 후 하나씩 구성 요소 추가가 가능하다. 구성 요소를 추가하면 상단 미리보기 란에서 각 요소들을 마우스로 끌어서 재배치하는 것이 가능하다.

  • 모니터 화면은 Display Capture 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Window Capture 로 특정 프로그램만 나오도록 설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 게임을 스트리밍 할 때 컴퓨터 성능이 약간 모자라는 경우, 게임을 전체 화면으로 전환 한 뒤 Game Capture 모드로 잡으면 더 낫다. (Game Capture 와 Window Capture 의 차이점은 Game 이 그래픽 카드 가속을 지원한다는 것에 있다. 예를 들어 기본으로 그래픽 카드 가속을 사용하는 크롬 브라우저오피스 2016년 버전 이후 버전의 경우 Game Capture 로만 보인다.)
  • 웹캠은 Video Capture 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채팅 화면 등은 보통 Browser Capture 를 사용한다. 투명 효과 등을 주고 싶으면 트위치 채팅은 https://www.twitch.tv/%%채널명%%/chat?popout=true 를 브라우저 캡쳐로 넣은 후 CSS 옵션 란에 이 CSS 설정을 붙여넣으면 된다. (출처) 유튜브 채팅은 https://www.youtube.com/live_chat?v=아이디&is_popout=1 를 브라우저 캡쳐로 넣은 후 CSS 옵션 란에 이 페이지에서 입맛에 맞게 설정을 바꾸거나 아니면 기본 설정으로 페이지 맨 밑에 있는 CSS를 붙여넣으면 된다.
  • Image, Text 로 사진이나 글을 써서 표시하는게 가능하다.

마이크 노이즈 잡기

믹서 창에서 마이크 장치 오른쪽 밑의 설정 버튼을 눌러 Filter 추가가 가능하다. Noise Gate 와 Noise Suppression 을 둘 다 기본 설정으로 추가해주자. 게이트는 어느 크기 이하의 잡음이 유지되는 상태에서는 아예 마이크의 입력을 없애버리고 (너무 높이면 자신의 목소리조차 없애버릴 때가 있다. 노래를 부를때는 끄는게 좋다), 서프레션은 말할 때 배경으로 등장하는 일정 크기의 노이즈를 잡아준다.

그린스크린 사용

그린 스크린을 사용해서 투명 효과를 주고 싶다면 구성 요소 명단에서 웹캠에 오른쪽 클릭을 한 후 필터 중 Color Key 를 추가해주고, Similarity 와 Smoothness 를 조정해서 부드럽게 보이도록 한다. (그린스크린의 품질과 조명에 따라 조금씩 필요한 설정이 다를 것이다)

마이크와 컴퓨터 소리 따로 녹화하기

스트리밍과 동시에 컴퓨터의 하드디스크에 영상 파일을 저장하는 것이 가능하다. 스트리밍과 함께 Start Recording 을 눌러주면 된다.

마이크와 컴퓨터 소리, 또는 악기 등 두번째 입력 단자 등의 소리를 다 따로 녹화해서 나중에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정확히는 하나의 동영상 파일에 하나의 영상, 다중의 음원 트랙이 녹화된다. 설정->Output-> Output mode: Advanced 로 바꾸면 활성화된다. 이후 믹서 창에서 오른쪽 클릭 -> Advanced Audio 로 가서 각 입력 장치를 다른 트랙에 넣어주고, 하지만 스트리밍용 출력에서는 다 들려야 하기 때문에 스트리밍용 트랙을 하나 정해서 모든 장치가 그 트랙에는 출력이 되도록 한 후 다시 Output 에서 스트리밍용 오디오 트랙을 설정해줘야 한다. Adobe Premiere CC 같은 동영상 편집 프로그램에서는 다중 음원 트랙을 읽을 수 있다. (CC 이전 버전에서는 첫 트랙만 읽는다)

기타

  • 단축키를 지정해서 각 요소나 마이크 등을 껐다가 켜는 것 등이 가능하다. (설정 -> 단축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