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랑스 혁명

최근 편집: 2018년 8월 8일 (수) 19:33
ㅎㅂㅎ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8월 8일 (수) 19:33 판 (새 문서: 1787년부터 1799년까지 진행된 혁명. 프랑스가 미국 독립전쟁을 지원하며 재정이 악화되자 부상하던 부르주아들이 왕을 폐위해 봉건 체제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1787년부터 1799년까지 진행된 혁명. 프랑스가 미국 독립전쟁을 지원하며 재정이 악화되자 부상하던 부르주아들이 왕을 폐위해 봉건 체제를 폐지하고 남성 시민으로 구성된 국민의회를 통해 남성 시민의 권리선언을 공표했다.

프랑스 혁명 이전의 상황 : 앙시앵 레짐

혁명 이전 프랑스는 왕정 재정의 악화와 반대로 부상하는 부르주아가 맞물려 혼돈스러운 시기였다. 대부분의 부가 상류층에 집중되어 호화스러운 생활을 하던 때에, 반대로 시민은 굶주림에 시달리며 턱없이 어려운 생활을 해야 했다. 이런 와중에 부르주아를 중심으로 시작된 계몽 문화를 통해 시민들은 차차 평등과 인권이라는 개념을 추구하기 시작했다.

여성의 삶

18세기 여성을 바라보는 시각은 셋으로 나뉘어 있었다. 하나는 여성이 정신적으로나 사회적인 면에서 남성에 비해 열등하다는 시각이었고, 다른 하나는 여남은 평등하지만 다르다는 것이었으며, 또 다른 하나는 잠재적으로 동등해 질 수 있다는 것이었다.[1] 물론 당대의 주류 분위기는 여성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 남성의 미완성형으로 취급하는 것이었다. 사회계약론을 집필하며 보편적 인권의 개념을 주장했던 당대의 대표적인 계몽주의자 루소는 저서 '에밀' 5편에서 "여성과 남성은 육체적, 정신적으로 완전히 다르며 남성(최상위)와 동물(최하위) 사이에 놓인 존재"라고 여성을 규정하며, "여성에게는 인권이 없고, 교육을 시킬 필요도 없으며, 정치에 참여시켜서도 안 된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계몽주의 시기를 거치는 동안 여성의 경험과 역할은 꾸준히 확대되어 갔다.[2] 유럽의 모든 곳에서 전성기를 맞이한 살롱 문화는 여남이 한 자리에 앉아 정치, 사회, 과학과 같은 주제를 다루는 토론의 장이 되었다.[3]

남성 시민의 프랑스 혁명

여성의 혁명

1789년 10월 5일 아침, 국민방위군보다 앞서 여성들이 베르사유궁으로 행진했다. 이후의 여러 봉기도 부녀자들의 시위로 시작됐다. 공화국의 출현은 정치적 권리 문제뿐 아니라 여남의 관계를 새롭게 바라볼 수 있는 관점이기도 했다. 프랑스 여성들은 자신을 개인으로서보다는 전체의 일부로 파악했기 때문에 18세기 내내 공적 영역에 참여할 수 있었으며, 시민권이 인정되지 않은 상황에서도 ‘여성시민(Citoyenne)’으로 불린 것도 바로 이 때문이었다.

이러한 모순 어법은 혁명공화국의 기본 원리와 배치돼 있던 양성 관계에서 연유했다. 혁명이 일어나자 여성들은 거리로 나와 정치클럽이나 협회를 만들어 활동했으나 새로운 질서의 창조자들은 공화주의 모성을 강조하며 여성들을 가정으로 되돌려 보내고자 했다. 당시 유럽에서 여성의 정치 활동이 가장 활발했던 나라는 프랑스였다. 비록 여성들이 혁명 결사체의 정식회원으로 인정받지는 못했지만 ‘뜨개질하는 여자들(tricoteuses, 주로 서민층 여성으로 뜨개질감을 들고 집회장으로 몰려들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처럼 일부 여성은 30군데 도시에서 독자적으로 정치 클럽을 결성해 정치 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여성 투사인 테루아뉴 드 메리쿠르는 남장을 하고 여성의 무장권을 주장하며 혁명을 이끌었으며, 폴린 레옹은 자연권에 의거해 여성도 국민방위군의 한 부대로 편성해달라는 내용과 함께 300명의 넘는 파리여성의 서명이 기재되어있는 청원서를 의회에서 낭독했다. 또 여성 상퀼로트들은 모든 여성이 남성과 마찬가지로 3색 모장을 달아야한다고 주장하면서 대대적인 ‘3색 모장 투쟁’을 벌이기도 했다.

혁명 당시 프랑스 사회의 이상적 여성상은 ‘공화국의 어머니’였다. 여성의 임무는 아이들에게 자유와 평등에 대한 사랑을 심어줌으로써 아이들을 훌륭한 공화국의 시민으로 키우는 일이었다. 여성들이 정치집회에 참가해 혁명의 원칙을 배우는 것은 허용되었으나, 정치토론에 참여할 수는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도 혁명기의 페미니스트들은 서로 각기 다른 방식으로 여성해방과 보편적 인권의 획득을 꿈꿨다.[4]

권리 장전

여성의 권리는 어디 있는가?

‘인간(Homme)’의 권리 선언은 보편적 인간의 권리를 말함인가, 아니면 보편적 ‘남성(homme)’의 권리를 말함인가? 여성은 프랑스의 시민이기 때문에 법의 규제를 받았지만, 또 한편으로 여성은 프랑스 시민(Citoyen)이 아니기 때문에 정치적 권리를 행사할 수 없는 모순적 상황에 처해 있었다.

1791년 헌법은 민법상의 성인 연령 규정을 남녀 모두에게 동등하게 적용했을 뿐 아니라 여성도 이성적 사유능력과 독립성을 가진 것으로 인정했다. 그러나 여전히 여성은 남성과 동등한 정치적 권리를 갖는 주권적 주체로 인정하지 않고 ‘남성의 권리’만이 언급되자 당시 문필가이자 정치평론가로 활동 중이던 올랭프 드 구즈는 ‘여성의 권리’를 소리 높이게 된다.

구즈는 마리 앙투아네트 왕비에게 ‘여성의 권리’, ‘여성과 여성시민의 권리선언’ 그리고 ‘여성과 남성의 사회계약 형태’의 세 가지 내용을 담은 장문의 편지를 보냈다. ‘여성의 권리’에서 구즈는 여성의 권리는 양도할 수 없는 신성하고 자연적인 것이며, 남성들이 여성들에게 갚아야할 채무가 있다고 말하면서 남성들의 편견과 무지, 전제성에 대해 신랄하게 비판했다. 여기서 주목할 점은 구즈가 공화주의자들인 지롱드파, 특히 콩도르세와 매우 흡사한 견해를 피력하고 있다는 점이다.

당대의 계몽사상가인 디드로, 볼테르, 루소 등이 여성의 정치참여에 대해 부정적인 태도를 견지했던 반면 콩도르세는 ‘여성의 시민권 승인에 대해’에서 여성의 법적 지위 문제를 지적하고, 여성도 남성과 마찬가지로 이성을 가진 존재로서 동등한 권리를 누려야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마찬가지의 논리에 의거해 구즈는 ‘여성과 여성시민의 권리선언’에서 인간의 권리가 남성형만이 아니라 여성형으로도 표현될 수 있다고 지적하면서 당연히 여성들에게도 법에 의거한 인간과 시민의 권리가 부여돼야 한다고 촉구했다. 특히 10조와 11조에서 구즈는 사상과 견해의 자유를 강조하면서, “여성은 단두대에 오를 권리가 있다. 마찬가지로 여성은 연단에 오를 권리를 가져야 한다”는 유명한 말을 남겼다.[4]

여성의 굴레였던 프랑스 혁명

그러나 시민적 자유를 얻었다고 해서 이것이 곧 공민적 자유, 즉 정치적 권리의 획득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었다. 시민적 자유는 장차 정치적 권리를 획득하기 위한 필수조건이므로 시민적 자유를 획득한 이상 정치적 권리도 인정받아야 마땅했다. 혁명을 계기로 공민으로서의 여성의 역할에 대한 질문이 최초로 제기됐지만 문제 해결도 혁명적으로 이뤄진 것은 아니었다. 여성도 정치적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사실을 자각하는 것과 여성들에게 정치적 권리를 부여하는 것은 전혀 다른 문제였기 때문이다.

구즈는 혁명이 표방한 자유·평등·우애의 원칙이 지닌 한계를 폭로하고, 그 원칙의 보편적 적용 가능성에 의문을 던졌다. 구즈의 입장에서는 여성에 대한 남성의 압제야말로 온갖 형태의 불평등이 파생되는 근원이었으며, 남성들이 자신들을 결박하고 있던 사회적·정치적 억압의 사슬을 끊어내자마자 양성간의 전쟁을 격화시키고 있다고 봤다.

이렇듯 계몽주의 사상가들이 만들어낸 공화주의 정신의 하나인 보편주의, 특히 보편적 시민권 개념이 갖는 내재적 모순인 ‘성차 시민권’ 개념은 프랑스 혁명이 여성들을 배제한 남성들만의 ‘반쪽혁명’이었다는 한계를 갖게 만들었다. 1793년 10월 16일 마리 앙투아네트가 단두대에서 처형된 후 구즈를 포함한 혁명가 페미니스트들도 같은 운명을 걸었다. 국민공회는 여성정치클럽들을 모두 해산시켰고, 공적 영역과 사적 영역의 분리가 한층 더 심화되면서 여성들은 시민 사회에서 종속적 지위로 격하됐다. 여성들에게 프랑스 혁명은 해방이 아니라 오히려 굴레가 됐던 셈이다.<ref name="여성신문01">

출처

  1. “Women's History as Scientists: A Guide to the Debates”. ABC-CLIO. 
  2. Whaley, Leigh Ann. Women's History as Scientists. (California: 2003), 118.
  3. “Redirect support”. 
  4. 4.0 4.1 문지영 숙명여대 역사문화학과 교수 (2017년 4월 25일). “다시 페미니즘 역사를 쓰다<5> 프랑스 페미니즘의 역설과 도전 남성들의 ‘반쪽 혁명’… 혁명가 페미니스트들 단두대서 스러지다”. 《여성신문》.  |title=에 라인 피드 문자가 있음(위치 35)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