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2년생 김지영(영화)

최근 편집: 2019년 11월 20일 (수) 18:54
Femtree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1월 20일 (수) 18:54 판 (→‎김도영 감독)
스포일러 주의 아래의 내용은 미리 알면 작품을 보는데 좋지 않은 영향을 줄 수 있는 중요한 대목들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아래 내용을 열람하면 해당 작품을 감상하는 데에 방해가 될 수 있습니다. 열람을 원치 않으시면 뒤로가기를 눌러주십시오.
영화 82년생 김지영의 포스터.
메인 예고편

82년생 김지영은 소설 82년생 김지영을 원작으로 김도영이 감독한 영화로 2019년 10월 23일 개봉하였다.[1]

제작

출연

  • 김지영 - 정유미
  • 미숙(김지영 친정엄마) - 김미경
  • 김은영(김지영 언니) - 공민정
  • 김팀장 - 박성연
  • 아영(딸) - 아영
  • 김명수(김지영 아버지) - 이얼
  • 김지석(김지영 동생)) - 김성철

주요 씬

"맘충" 신

[2]

실내화 신

촬영했지만 지영의 서사와 어울리지 않아 편집했다.[2]

엔딩 신

감독은 '여성 영화고, 지영의 얼굴로 시작해서 끝나고 싶었다', '사실 엔딩이 두 개 였고 어떤 게 좋을 것인가 끝까지 고민했 했다'고 한다.[3]

정유미는 이 장면이 기억에 남는 장면으로 꼽았다.[4]

흥행

개봉 전날인 22일 1시 기준 예매율 45.4%로 2위인 말레피센트2(9.8%)와 큰 차이를 보였다.[5]

개봉 철날인 23일 13만 8970명의 관객을 동원해 14만 9341명의 누적관객수를 기록했으며 경쟁작인 말레피센트2를 3배가 넘는 일일관객수로 따돌려 박스오피스 1위로 직행했다.[6] 이어 주말까지 1위를 유지하고 있다.

100만 돌파 기념 '감사합니다 100'이 적힌 초를 들고 있는 김도영 감독과 정유미, 공유.

개봉 5일째인 10월 27일 100만 관객을 돌파했다.

개봉 8일째인 10월 30일 손익분기점인 160만명을 돌파했다.[7] 이 날은 터미네이터: 다크 페이트가 개봉하면서 박스오피스 2위로 내려섰지만 바로 다음날 1위로 복귀, 이후 터미네이터와 엎치락뒤치락하며 경쟁하고 있다.

감사 사진.

개봉 11일째인 11월 2일 200만 관객을 돌파했다.[8] 이 속도는 알라딘의 개봉 11일 째 200만 관객 돌파와 동일한 속도이다.[8]

개봉 18일째인 11월 9일 300만 관객을 돌파했다.[9]

이모저모

김도영 감독

82년생 김지영은 김도영 감독의 첫 장편 데뷔작이다.[3]

김도영 감독의 2018년작 자유연기는 결혼과 출산·육아로 연기를 쉴 수 밖에 없던 배우가 어느 날 영화감독의 연락을 받고 오디션을 보러 가는 내용으로, 감독이 2014년 한 영화학교에 지원했다가 2차 시험을 앞두고 둘째 아이를 가진 것을 알게 된 쯤 구상한 감독 본인의 자전적 이야기이다.[10] 김도영은 자유연기를 준비하던 중 작품에 참고하기 위해 82년생 김지영 원작 소설을 읽었다.[11] 김도영은 자유연기를 본 영화 관계자를 통해 연출 제의를 받았다.[2]참고로, 김도영 감독은 실제 '워킹맘'이다.

김도영 감독이 연출자로 합류했을 때 이미 나와 있던 시나리오 초고는 따뜻한 가족 서사에 방점을 찍고 있었고, 김도영은 여기에 사회적 의제를 반드시 포함시켜야 한다고 봤다.[12]

김도영 감독이 영화를 연출하면서 고수했던 원칙은 '원작의 가치를 훼손해서는 안 된다'는 것이었다.[12] '어떻게 해야 원작에서 소중하다고 느꼈던 가치들을 훼손하지 않고 가져갈 수 있을까'라는 고민이 제일 컸고, '이 이야기가 왜 그렇게 많은 사람들에게 다가갔을까' '나는 무엇에 공감했을까' '영화는 어떠한 지점에 서 있어야 하는가' '어떻게 말을 건네야 할까'에 대한 고민이 많았다.[12]

82년생 김지영을 두고 "나를 거쳐갔지만, 내 것은 아닌 작품"이라고 말했다.[12]

정유미 배우

  • 김지영 역의 정유미는 실제로 1983년 1월생이다.
  • 정유미는 김도영 감독이 배우 출신이라서 더욱 든든했다고 털어놓은 바 있다.[3]
  • 정유미는 처음에 출연 제안을 받고 고민을 했지만 "내 안에서 자연스럽게 몽글몽글한 것이 올라왔다"고 말했다.[13]
  • 정유미는 결혼은 물론 육아 경험이 없어 연기를 위해 친구들과 감독에게 조언을 얻었다.

원작과 달라진 점

  • 다양한 에피소드가 추가되었다. 김도영 감독은 그 목적을 김지영의 서사를 강화하기 위한 것이라고 밝혔다.[11]
  • 김지영의 남편 대현의 분량이 늘었고, 원작보다 설득력 있게 그려냈다는 의견도 있다.[11] 남편 대현이 너무 착한 거 아니냐는 의견에 대해 감독은 "대현이란 인물이 어떤 인물인가를 고민했다. 책에서도 좋은 사람이라고 생각했는데 한계가 있다. 그 문화에서 배어진 것들이 있지 않나. 좋은 사람이지만 몰라서 갖는 한계를 보여줄 수 있다고 생각했다"고 말했다.

유명 관람객

  • 유아인
  • 배수지
  • 최우식
  • 10월 27일 이혜원(남편이 안정환), 악플에 의해 게시물을 삭제하였으나 다시 SNS를 폐쇄.[14]
  • 10월 29일 모델 겸 프리랜서 아나운서 김나정[15]
  • 10월 30일 가수 핫펠트(예은).[16] 인스타그램 이용자가 "살면서 여자로써 뭐가 그렇게 힘들었어요?" 등 장문의 댓글을 달고 "으이그... 힘내세요 현생 사시구여"라는 답변을 받았다.
  • 11월 1일 배우 이영진[17]

기타

  • 지숙 역의 김미경은 영화를 보고 어머니 생각이 나서 많이 울었다고 밝혔다.[18]
  • 영화에 사용된 가구, 가전 생활용품에 일룸의 제품이 쓰였다.[19]
  • 영화에 나온 잡코리아는 협찬은 아니며 제작사 측에서 먼저 잡코리아 화면을 노출해도 되는지 협조 공문이 와서 응한 것이라고 한다.[19]
  • 전국 극장에 걸린 영화 포스터가 돌돌 접혔다 펴진 상태인 것이 SNS에서 알려졌다. 롯데엔터테인먼트 측은 배송 중 발생한 실수라고 해명했다.[20]
  • 10월 31일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장종화가 영화에 대한 논평을 써 여성계의 반발을 샀다.[21] "영화는 '이렇게나 우리가 서로를 이해하지 못하고, 이해하려하지 않는 삶을 살고 있구나..'하는 점을 보여준다" 등을 적었다.[22] 국회페미는 바로 논평을 내 "민주당 홈페이지에 공적인 자격으로 성평등에 대한 일그러진 사견을 게재했다. 민주당 지도부의 처분이 필요하다"며 "장종화 청년대변인이 대변한다는 청년은 대체 누구인가?"라고 물었다.[23][21]
  • 공유는 누나가 있기 때문에 극 중 지영의 남동생 지석에 많이 공감할 수 있었다고 한다.[24]
  • 10월 28일 방송된 tvN 김현정의 쎈터:뷰에서 방송인 타일러 라쉬는 "이해하기 어려운 현실적인 모습을 그대로 보여줬을 뿐 뭐가 그렇게 논란거리인가 싶었다"고 말했다.[25]

평점 테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타임라인

  • 2018년 9월 12일 언론사들이 김지영 역에 정유미가 캐스팅되었다는 보도를 하였다.
  • 2018년 9월, '내년 상반기 크랭크인 예정'으로 보도되었다.[26]
  • 2019년 9월, '10월 개봉' 확정이 보도되었다.[27]
  • 10월 23일 개봉.[1]
  • 11월 9일 부산, 10일 대구 김도영, 정유미, 공유 무대인사[28]

출처

  1. 1.0 1.1 김진수 기자 (2019년 10월 12일). “정유미·공유 주연 '82년생 김지영' 10월23일 개봉”. 《여성신문》. 
  2. 2.0 2.1 2.2 부수정 기자 (2019년 10월 31일). “[D-인터뷰] '82년생 김지영' 감독 "두려워도 용기 있게". 《데일리안》. 
  3. 3.0 3.1 3.2 유수경 기자 (2019년 10월 31일). “[HI★인터뷰①] ‘82년생 김지영’ 감독 “100만 돌파 감사…엔딩에 고민 많았죠””. 《한국일보》. 
  4. 최송희 기자 (2019년 10월 28일). “[정유미가 뽑은 별별 명장면] '82년생 김지영' 엔딩신, 모두가 공감할 만한”. 《아주명제》. 
  5. 이진욱 기자 (2019년 10월 22일). '82년생 김지영' 독주 예고…예매율 50% 육박”. 《CBS노컷뉴스》. 
  6. 박정선 기자 (2019년 10월 24일). “[박스오피스IS] '82년생 김지영', 개봉 첫날 15만 돌파 목전..압도적 1위”. 《일간스포츠》. 
  7. 이복현 기자 (2019년 10월 31일). “‘82년생 김지영’ 손익분기점 160만 관객 돌파”. 《NSP통신》. 
  8. 8.0 8.1 감서정 기자 (2019년 11월 2일). “‘82년생 김지영’, 개봉 11일째 200만 관객 돌파..공유X정유미 감사인사[공식]”. 《OSEN》. 
  9. 김유진 기자 (2019년 11월 9일). '82년생 김지영' 개봉 18일째 300만 돌파…본격 장기 흥행 시작”. 《엑스포츠뉴스》. 
  10. 장영엽(씨네21 기자) (2018년 10월 31일). “<자유연기>(2018) 김도영 감독 인터뷰”. 《영화천국》. Vol.64. 
  11. 11.0 11.1 11.2 박꽃 기자 (2019년 11월 1일). “영화가 관객에게 말을 걸다 <82년생 김지영> 김도영 감독”. 《무비스트》. 
  12. 12.0 12.1 12.2 12.3 CBS노컷뉴스 이진욱 기자 (2019년 11월 2일). '김지영'을 거친 김도영…"좀 더 큰 꿈꾸는 딸들". 《노컷뉴스》. 
  13. 이은주 기자 (2019년 11월 1일). “정유미 “악플이 전체 의견이라고 생각하지 않아...영화에서 희망을 발견했으면””. 《서울신문》. 
  14. 김명일 (2019년 10월 28일). “‘82년생 김지영’ 감상평 썼다가…‘안정환 아내’ 이혜원, SNS 폐쇄”. 《세계일보》. 
  15. https://www.instagram.com/p/B4K2Ck6gxa4/
  16. https://www.instagram.com/p/B4Oj5eUheNC/
  17. https://www.instagram.com/p/B4SuBbUFscs/
  18. 김수정 기자 (2019년 10월 28일). '82년생 김지영' 김미경 "어머니 생각 나 많이 울었다". 《TV리포트》. 
  19. 19.0 19.1 구자윤 기자 (2019년 10월 31일). “영화 속 ‘82년생 김지영’네 집은 일룸 전시장”. 《파이낸셜뉴스》. 
  20. 주보배 인턴기자 (2019년 11월 9일). “[SNS 세상] 구겨진 '82년생 김지영' 포스터…배급사 "배송 실수". 《연합뉴스》. 
  21. 21.0 21.1 김서현 기자 (2019년 11월 2일). “‘세상 차별 혼자 다 겪는 김지영?’ 민주당 청년대변인 논평 논란”. 《여성신문》. 
  22. 더불어민주당 청년대변인 장종화 (2019년 10월 31일). “[장종화 청년대변인 논평] 82년생 김지영”. 《더불어민주당》. 2019년 11월 2일에 확인함. 
  23. 국회페미 (2019년 11월 1일). “‪“세상 차별은 혼자 다 겪는 김지영”‬”. 《페이스북》. 2019년 11월 2일에 확인함. 
  24. 김영진 기자 (2019년 11월 2일). “[인터뷰] ‘82년생 김지영’ 공유 “좋은 남편도 모를 수 있다””. 《아시아투데이》. 
  25. 현가흔 기자 (2019년 10월 29일). “타일러, 영화 '82년생 김지영' 악플테러 일침 "논란 공감 안되더라". 《서울와이어》. 
  26. 김지영 (2018년 9월 12일). “정유미, 소설 ‘82년생 김지영’ 영화화 타이틀 롤 캐스팅 [공식]”. 《시크뉴스》. 
  27. 연예팀 (2019년 9월 21일). “‘82년생 김지영’ 정유미 포스터...누적 100만 부 동명 베스트셀러 원작”. 《한국경제》. 
  28. 장주연 기자 (2019년 11월 1일). '82년생 김지영' 정유미·공유, 다음주 부산·대구 찾는다”. 《뉴스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