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이분법

최근 편집: 2020년 9월 27일 (일) 20:58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9월 27일 (일) 20:58 판

이분법적 젠더(영어: Binary gender)는 모든 사람을 젠더이분법적 체계에 끼워넣는 문화에서 주어지는 두 가지 젠더 선택지이다. 이분법적 젠더는 여성(woman), 여자(female), 소녀(girl)와 남성(man), 남자(male), 소년(boy)이다. 젠더 표현(gender expression)에 있어서 두 가지 선택지는 여성성(feminine)과 남성성(masculine)이다.

여성성의 공백으로 남성성을 세우기 위해서는 우선 여성과 남성을 확실하게 이분하는 방법이 필요한데, 이는 사회문화적으로 끊임없이 이루어지는 무언의 압력을 통해 달성된다. 예를 들어 여성은 주로 긴머리를 하고, 치마를 입으며, 화장과 치장을 하고, 목소리 톤이 높고, 높낮이 변화가 많고, 감정 표현을 자주 하는 등 여성다운 여성의 신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이와는 반대로 남성은 머리가 짧으며, 화장을 하지 않아야 하며, 낮은 톤의 목소리로 높낮이 변화가 없고, 여성보다 조금 더 과묵해야 하고, 감정 표현을 해서는 안되는 등, 남성다운 남성의 신호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만약 여성이 남성의 신호를 보이거나 남성이 여성다운 신호를 보이면 사회는 그것을 수정해 너의 원래 젠더에 맞추라는 끊임없는 압력을 보내게 된다. 트랜스젠더나 젠더퀴어의 존재, 탈코르셋 등의 페미니즘 운동은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는 이런 신호들을 교란하고 망가뜨리며, 그래서 가부장제의 기본 전제를 뒤흔든다. 그래서 이들에게는 어떤 방식이든 윤리적 혐오가 작용한다. 다음을 참고할 것 젠더다음을 참고할 것 젠더이분법다음을 참고할 것 혐오


참고

비이분법적 젠더(논바이너리, 영어: nonbinary)

출처

《젠더여행자를 위한 번역책자》. 여행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