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여성혐오

최근 편집: 2017년 1월 15일 (일) 07:48
Viral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15일 (일) 07:48 판 (새 문서: 미술계의 여성혐오 사례. == 개요 == {{빈 문단}} (대상화) 고대에서부터 "풍만한 여신(여체){{주|빌렌도르프의 비너스}}"이 풍요로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미술계의 여성혐오 사례.

개요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대상화) 고대에서부터 "풍만한 여신(여체)[주 1]"이 풍요로움을 상징하는 등, 여성(또는 여성의 신체)은 미술 작품 안에서 지금 이 순간까지도 대상화, 타자화되어 왔다.

(권력) 큐레이터와 작가, 신진작가의 권력구조.

작품에서의 여성혐오

  • <한국여자(Korean female)>, 이완, 2016

사진 속 어깨가 드러나는 검은 원피스를 입은 여성은 ‘놀이터 룸 소주방’ ‘룸비무료’ ‘57파티타운’ 등 유흥가 간판들이 즐비한 거리를 배경으로 서있다. 한국 여성을 ‘성을 팔아 명품 핸드백을 구입하는 여성’으로 비하한 것이 아니냐는 논란이 있었다[1].

2016년 4월 12일, 크리스챤 디올은 해당 작품의 전시를 즉시 중단했고 더이상 전시하지 않을 계획이라고 밝혔다[2].

이 작가는 여성혐오 논란이 커지자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광주 충장로에서 여대생을 촬영한 뒤 불 켜진 간판을 합성한 작품으로 치열하게 살아가는 한국 젊은 세대의 초상을 담고자 했다”며 “한국 여성을 비하할 의도는 없었다”고 해명했지만... (추가서술 예정)

미술계의 여성혐오

같이 보기

  1.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