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브레 위키

최근 편집: 2021년 8월 23일 (월) 21:32
나혜석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8월 23일 (월) 21:32 판 (→‎단점)

개요

리브레 위키(Libre Wiki)는 대한민국리브레위키 협동조합에서 운영하는 백과사전위키이다.

운영

  • 리브레 위키는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에서 운영되고 있다.
  • 6개월 임기의 감독관, 관리관, 검사관의 상호견제체제인 인터넷 민주주의로 운영하고 있다.
  • 저작권 보호 정책은 CC BY-SA 3.0을 따른다.

비영리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은 영리 법인이지만 리브레 위키는 비영리이며, 리브레 위키가 비영리인 이유는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위키 운영을 위해 재투자되도록 되어 있기 때문이다. 즉, 리브레 위키는 형식적으로는 영리이지만 사실상 비영리인 셈이다.

기술 정보

리브레 위키는 미디어위키를 사용한 부분과 XpressEngine를 사용한 부분으로 나뉘어 있는데, 이 둘은 리버티라는 이름의 같은 디자인을 사용하여 시각적으로 구분을 잘 할 수 없도록 되어 있으며 미디어위키는 위키 부분을, XpressEngine는 게시판 부분을 구성한다.

리버티 스킨

리버티 스킨은 리브레위키 협동조합의 자회사인 Liberty LLC에서 관리하고 있으며 리브레 위키의 미디어위키로 이루어진 부분의 기본 스킨이다.

미디어위키

미디어위키를 사용하고 있으며[주 1] 주목할 만한 부분은 다음이 있다.

  • 배너 광고가 있다.
  • 소도구 확장기능을 사용중이며 다음 소도구는 기본 활성화되어 있다.
    • 주석 말풍선: 주석을 누르면 이동하지 않고 말풍선으로 나타나게 한다.
    • 문서 임시저장: 문서 편집 중 임시저장을 할 수 있다. 이는 로컬 저장소에 저장된다.
    • EditTools
  • '시리즈'와 '투어'라는 이름공간이 있다.
  • 일반 이름공간에서의 하위 문서를 허용하고 있다.
  • 사용자 토론 문서에 한하여 Structured Discussions를 사용하고 있다.
  • 문서에 다음 tv팟(현 카카오 TV) 동영상을 삽입하기 위한 TvPot이라는 확장기능이 자체제작되어 있다.
  • 시각편집기는 설치하고 있지 않다.

한편 리브레 위키는 LibertyEngine이란 이름의 새로운 엔진을 만들어 미디어위키를 교체하려는 계획이 있다.

XE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기타

역사

투표를 통해 리브레 위키라는 이름이 정해지기 전까지 엔하위키라는 이름을 썼으며 주소는 http://enhawiki.kr 였다.

단점

  • 서버가 불안하다.[출처 필요]
  • 이용자와 문서 수가 적다.
  • 사실 리브레도 소수자 혐오 성향에서 전혀 자유롭지 않다. 심지어 혐오적 서술이나 증오 발언도 개별적인 제지를 '전혀' 안할 정도이다. 여성혐오적 측면에서는 나무위키보다 나을지도 모르나, 다른 소수자 혐오는 나무위키와 비슷하거나 심지어는 나무위키보다 못한 빻은 문서, 편집자도 존재한다. 심지어 혐오발언 관련 규정에 있어서 위키방 논쟁을 보면(#) 나무위키보다 더 빻은 면도 꽤 있다.[주 2]
    • 실제로 리브레위키 개발자와 위키 이용자들이 특정 페미니스트 위키러에 대한 불링, 차별금지법 반대, 안티페미니즘적인 표현을 했다는 폭로가 있었다.##

특징

나무위키와의 비교

  • 리브레 위키는 나무위키에 비해 파급력이 적다. 나무위키에 비해 규모도 상당히 작다. 문서 수는 약 20분의 1, 등록된 사용자 수는 25분의 1 수준이다.

부연 설명

  1. 페미위키와 같다.
  2. 정치적 올바름을 신좌파(사회주의)적인 것처럼 몰아가는데, 사실 정치적 올바름이야 말로 리버럴적 가치이지 사회주의적 가치가 아니다. 또한 이렇게 리버럴적 가치에 신좌파 딱지 붙이는 것은, 서구권에서는 대안 우파를 비롯한 극우파들이나 내세우는 전형적인 문화적 마르크스주의(Cultural Marxism) 음모론이다. 한국식 자유주의 문서 참조.
  3. 2015 리그베다 위키 테러 사건 이후로 남초 커뮤니티 내에서 리그베다 위키에 대한 이미지가 급속도로 악화되자, 리그베다 위키와 비슷한 문법을 사용하는 대안 위키로써 나무위키, 리브레 위키, 오리위키, 알파위키가 탄생했는데 이러한 위키들을 '엔하계 위키'라고 부른다.

바깥 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