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위키백과의 이퀄리즘 소동

최근 편집: 2017년 1월 24일 (화) 23:45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24일 (화) 23:45 판 (새 문서: 영어 위키백과의 평등주의(Egalitarianism) 문서에 "이퀄리즘"이라는 용어가 근거 없이 추가되었다가 2016년 7월 12일부터 2016년 12월 23일 사이에...)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영어 위키백과의 평등주의(Egalitarianism) 문서에 "이퀄리즘"이라는 용어가 근거 없이 추가되었다가 2016년 7월 12일부터 2016년 12월 23일 사이에 약한 편집 전쟁이 일어난 적이 있다. 나무위키의 "젠더 이퀄리즘" 날조는 이 소동과 관련이 있어 보인다.

개요

젠더 이퀄리즘 문서에서 서술하고 있는 바와 같이 나무위키의 "성 평등주의" 문서는 서구에서 1996년 경 "젠더 이퀄리즘"이라 불리는 사상이 대두되었으며, 페미니즘에 대한 반작용이며, 과학자들에 의해 수용되고 있으며, 이것이 젠더 이갈리타리아니즘과 동의어라는 식으로 소개하고 있다.[1]

기여자들이 출처를 전혀 밝히지 않아서 주장의 근거를 찾지 못하고 있었으나, 영문 위키백과의 평등주의(Egalitarianism) 문서[2]의 편집 이력과 토론을 살펴보다가 위 주장의 근거일 것으로 추정되는 내용을 발견하여 시간순으로 정리하였다.

시간순 정리

2016년 7월 12일 - "이퀄리즘" 최초 출현

2016년 7월 12일에[3] 한 익명 기여자가 개요 단락을 수정하여 equalism이 egalitarianism의 동의어라는 주장을 추가하며 이 주장과 무관한 기사를 출처로 제시한다.[4] 로라 워터스(Laura Waters)라는 여성 과학자의 기고문이며, 요약하자면 자신은 더 많은 여성이 과학 연구에 참여하길 바라고 성별로 인해 연구 결과를 저평가받지 않기를 바라지만, 스스로 페미니스트가 아닌 이퀄리스트(equalist)라 부른다는 주장을 담고 있다. 여성들에게 특혜를 달라는 것이 아니라 적어도 동등하게 경쟁할 수 있는 환경이 필요하다는 주장, 학계에 지금보다 더 많은 여성이 유입되길 바란다는 주장 등을 담고 있다. "페미니스트가 아니라 이퀄리스트"라는 선언의 의미는 "여성에게 특별한 우대를 하라는 말이 아니라 동등하게만 대해달라"는 것으로 풀이된다. 영국에도 "페미니스트는 여성에 대한 특권을 주장하는 사람들"이라는 편견이 만연해있음을 반증할 뿐, 워터스의 주장은 전혀 반-페미니즘적이지 않다.

이 기여자는 또한 같은 편집에서[3] "Equalism" 소제목을 추가하고 출처 없는 주장을 담는다.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즈도 이 때 문서에 추가된다.

이퀄리스트는 대체로 미국 외에 거주하며 주류 페미니즘 운동으로부터 거리를 두게 된 다수의 사람들이 1996년부터 스스로를 지칭하는 용어이며, 종종 페미니즘의 극단적 관점으로 인해 스스로를 페미니스트라 부르지 않는다고 말한다. 영국과 미국을 포함하여 서양에서는 아직 그 수가 적지만 로라 워터스와 같은 과학 연구자들이나, 주류 페미니즘 운동에 부정적 의견을 가진 페미니스트들이 합류하며 그 수가 증가하고 있다.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즈는 공식 기록에서 스스로 이퀄리스트라 밝힌 바는 없지만 종종 이퀄리스트라 불린다.

나무위키의 "이퀄리즘" 문서

나무위키의 "이퀄리즘" 문서는 약 20일 뒤인 2016년 8월 2일에 생겨난다. 그 후 나무위키의 기여자가 위 내용을 무단으로 재인용한 것으로 보인다. 1996년 경 기존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로 대두되었다고 말하는 점, 과학자들의 지지를 받는다고 말하는 점 등에서 나무위키의 주장과 일치한다. 재미있는 점은 원문에서는 "미국과 영국 등 서구에서는 아직 수가 적다"고 말하며 마치 다른 지역에서는 흥하고 있다는 식으로 서술하고 있는 반면 나무위키에서는 이 부분만 변경하여 한국에서는 덜 알려져 있지만 "젠더 이퀄리즘의 뿌리는 (중략) 서구권에서 (중략) 새롭게 생겨난 젠더 사상이다." 식으로 서술하고 있다는 점이다.

약한 편집 전쟁

다시 약 20일 뒤인 2016년 8월 24일, 위키백과의 Egalitarianism 문서의 Equalism 섹션에 출처없음(unreferences) 틀이 추가되고[5] 동시에 "Equalism?"이라는 제목으로 토론이 열린다.[6]

2016년 9월 7일에는 equalism이 사전에 없다는 이유로 개요 단락에서 "이퀄리즘은 이갈리타리아니즘의 동의어이다"라는 문장이 삭제되고[7] 10월 21일에는 "이퀄리즘" 관련 내용이 모두 삭제된다.[8] 삭제 이유는 "잘못된 정보(misinformation)"이다. 이때 간헐적으로 삭제와 복구가 반복되는 약한 편집 전쟁이 12월 말까지 지속된다.

해당 내용은 2016년 12월 23일에 마지막으로 삭제된 후 아직까지 추가되지 않았다.[9] 다만 별도의 섹션인 "See also"에 남아있던 크리스티나 호프 소머즈 링크는 지워지지 않고 살아 남았는데 아마도 실수로 놓친 것으로 보인다.

나무위키 현황

2017년 1월 24일 현재 아직 나무위키에는 해당 내용이 남아 있는 상태이며, 1) 문서 삭제, 2) 이름 변경, 3) 내용 변경 등의 대안을 놓고 토론이 진행 중이다.

  1. “성 평등주의 (rev.191)”. 《나무위키》. 
  2. “Egalitarianism”. 《영어 위키백과》. 
  3. 3.0 3.1 “Egalitarianism (diff 728611822)”. 《영문 위키백과》. 
  4. “A scientist's view: why I'm an equalist and not a feminist”. 《The Guardian》. The Guardian. 2013. 
  5. “Egalitarianism (diff 736018011)”. 《영문 위키백과》. 
  6. “Egalitarianism (Talk)”. 《영문 위키백과》. 
  7. “Egalitarianism (diff 737122845)”. 《영문 위키백과》. 
  8. “Egalitarianism (diff 745006551)”. 《영문 위키백과》. 
  9. “Egalitarianism (diff 754656157)”. 《영문 위키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