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퀄리즘

최근 편집: 2017년 1월 28일 (토) 10:12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28일 (토) 10:12 판 (일반적인 용례 보강)

젠더 이퀄리즘(gender equalism)은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철학 사상 내지 사회 운동을 뜻하는 용어이다.

일반적인 용례

해외에서는 젠더 이퀄리티(gender equality)의 잘못된 표기로 간혹 쓰인다.

한편, 정치 철학 분야의 용어인 이갈리타리아니즘은 일상에서 '평등주의'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 맥락에서 간혹 '이퀄리즘'을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이 앞에 '젠더'를 붙여서 '젠더 이퀄리즘'을 쓰기도 하는데 문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퀄리즘'은 사전에 등재된 단어도 아니고[1] 학술 용어도 아니며[2] 일반 저술[3]에나 일상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다.[4]

국내에서 날조된 의미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국내에서 '젠더 이퀄리즘'은 '1996년에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으며, 해외에서 페미니즘을 대체하고 있고, 과학자들과 기존 페미니스트들에게 수용되고 있는 사회 운동 내지 사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의 영향이다.

디시인사이드 웹툰 갤러리에서 '페미니즘 대신 이퀄리즘을 쓰자'라는 주장이 호응을 얻자, 웹툰 갤러리 이용자 중 한 명이 나무위키에 '이퀄리즘'라는 이름의 문서를 생성하였고, 이후 여러 사람들이 출처 없는 주장들을 추가하면서 만들어진 거짓 개념이다.

참조

  1. 옥스포드 사전에는 신조어인 YouTuber도 있지만 equalism은 없어서 "equal"이 대신 나온다.
  2. "gender+equalism" “"gender equalism". 《Google Scholar》. 
  3. “gender equalism”. 《Google Ngram View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