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이퀄리즘

최근 편집: 2017년 1월 28일 (토) 10:17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28일 (토) 10:17 판 (해외 사례 추가)

젠더 이퀄리즘(gender equalism)은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에 의해 만들어진 가상의 철학 사상 내지 사회 운동을 뜻하는 용어이다.

해외의 용례

일상에서의 사용

해외에서는 '젠더 평등'을 뜻하는 젠더 이퀄리티(gender equality)의 잘못된 표기로 간혹 쓰인다.

한편, 정치 철학 분야의 용어인 이갈리타리아니즘은 일상에서 '평등주의'라는 의미로 쓰이기도 하는데, 이 맥락에서 간혹 '이퀄리즘'을 대신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기존에 존재하던 단어에 '-ism' 접미사를 붙여서 '-주의'라는 단어를 만드는 것은 대단히 자연스럽기 때문에 영미권 언어 화자들 사이에서 낮은 빈도로 쓰여왔으나, 그마저도 수가 많지는 않다. 그 이유는 'liberty', 'utility'에 -ism을 붙일 때 'libertism'이나 'utilitism'이라고 하지 않고 'libertarianism'(리버테리아니즘; 자유주의), 'utilitarianism'(유틸리테리아니즘; 공리주의)이라고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영미권 화자들에게 "equality"에 -ism을 붙이라고 하면 'equalitarianism'(이퀄리테리아니즘; 평등주의)이라고 할 것이기 때문이다. 물론 'equalitarianism' 조차도 많이 쓰이지는 않는데 그 이유는 프랑스 혁명기에 널리 쓰이기 시작한 égalitaire(평등주의자; egalitarian)를 그대로 들여온 "egalitarianism"(이갈리타리아니즘; 프랑스 고어인 egalite(평등; equality)에서 유래)이 영미권에도 그대로 수용되었기 때문이다.

'이퀄리즘' 앞에 '젠더'를 붙여서 '젠더 이퀄리즘'을 쓰기도 하는데 문법적으로 문제가 있는 것은 아니다.

다만 '이퀄리즘'은 사전에 등재된 단어도 아니고[1] 학술 용어도 아니며[2] 일반 저술[3]에나 일상에서도 거의 쓰이지 않는다.[4]

지제벨닷컴에 제안되었던 용어

2011년에 jezebel.com에서 페미니즘을 대체할 새로운 용어를 찾아보자는 캠페인을 진행하였는데 여기에서 '이퀄리즘(equalism)'이 선정된 바 있다.[5] 기존에 쓰이던 용어가 아니라는 점을 보여주는 사례이다. 이 캠페인은 아쉽게도 큰 호응을 얻지 못했으며, 현재는 자사 사이트의 관련 글들에서도 새로 제안된 용어인 'equalism'이 아닌 'feminism'을 분류 태그로 붙이고 있다.[6]

국내에서 날조된 의미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국내에서 '젠더 이퀄리즘'은 '1996년에 페미니즘에 대한 반발로 생겨났으며, 해외에서 페미니즘을 대체하고 있고, 과학자들과 기존 페미니스트들에게 수용되고 있는 사회 운동 내지 사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는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의 영향이다.

디시인사이드 웹툰 갤러리에서 '페미니즘 대신 이퀄리즘을 쓰자'라는 주장이 호응을 얻자, 웹툰 갤러리 이용자 중 한 명이 나무위키에 '이퀄리즘'라는 이름의 문서를 생성하였고, 이후 여러 사람들이 출처 없는 주장들을 추가하면서 만들어진 거짓 개념이다.

참조

  1. 옥스포드 사전에는 신조어인 YouTuber도 있지만 equalism은 없어서 "equal"이 대신 나온다.
  2. "gender+equalism" “"gender equalism". 《Google Scholar》. 
  3. “gender equalism”. 《Google Ngram Viewer》. 
  4. “The Catchy New Word For Feminism”. 《jezebel.com》. 
  5. “Tag 'feminism'. 《jezebel.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