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교차성

최근 편집: 2017년 2월 20일 (월) 18:01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20일 (월) 18:01 판 (→‎참조: 각주목록 추가)

상호교차성(intersectionality)이란 상호교차적인(intersecting) 또는 겹쳐지는(overlapping) 사회적 정체성 및 이와 관련된 억압, 지배구조, 차별을 연구하는 학문 분야이다.

상호교차성 이론은 한 사람의 사회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범주는 단일하지 않으며 젠더, 인종, 사회 계급, 민족, 국적, 성적 지향성, 종교, 나이, 정신적이거나 신체적인 장애 여부 등 다양한 측면이 상호교차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한다. 따라서 한 사람에게 작용하는 억압, 지배구조, 차별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이같이 다양한 측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창발적 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여성이 받는 차별과 흑인이 받는 차별을 개별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후 이 둘을 취합하는 방식으로는 흑인이면서 동시에 여성인 사람이 받는 차별을 온건하게 이해할 수 없다.

역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다른 분야의 유사한 접근법

도서관학의 다면분류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다면분류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다면분류(faceted classification)는 많은 양의 정보를 유연하게 분류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 중 하나이다. 다면분류의 핵심적 아이디어는 하나의 대상을 여러 측면(facets)에서 분류할 수 있다는 발상이다. 예를 들어 상영중인 영화를 분류할 때, 장르별 분류, 상영 시간대별 분류, 극장 위치별 분류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류할 수 있다.

특정 장르의 영화를 보고자 하는 사람은 장르별 분류를 통해 원하는 영화를 찾은 후 상영 시간대와 극장 위치를 살펴보는 것이 편하다. 집 근처에서 하는 영화를 보려는 사람은 위치와 시간대별 분류를 통해 영화를 찾는 편이 편하다. 감독별 분류, 출연자별 분류 등 다른 패싯들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단일 계층의 분류 방식에서는 장르, 시간대, 위치 중 가장 중요한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상위 분류를 선택하고 나머지 분류는 이에 따라 파편화된다. 예를 들어 장르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면 시간대 및 위치는 각 장르 밑에 파편화되어 속하게 된다. 장르별 폴더가 있고 특정 폴더를 펼치면 그 밑에 시간대별 폴더가 나오고, 이걸 펼치면 위치별 폴더가 나오는 파일 구조를 상상해보면 무엇이 문제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호교차성과 도서관학 사이의 유사성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듀이십진분류미국의회도서관분류 등 단일 계층 분류 방식[주 1]은 남성 중심의 학자들이 중요하게 여겨온 정치-사회 운동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공산주의 등에 대해서는 독자적 분류 코드를 부여하고 있으나 페미니즘에 대해서는 별도의 분류 코드를 부여하지 않는다. 여성과 관련된 주제는 존재하더라도 '사회과학' 분류나 '관습' 분류의 하위에 파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정보를 찾으려면 문학, 음악, 예술, 생물학, 의학, 경제학, 교육학, 전쟁 등 온갖 분류를 뒤지고 다녀야 한다.[1]

소프트웨어 공학의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소프트웨어 공학의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체계적으로 분해하여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단위(모듈)로 나누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관심사 분리(separation of concerns)라 부른다.

전통적인 관점은 주어진 소프트웨어를 분해하는 가장 좋은 한 가지 방식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를 지배적 분해(dominant decomposition) 또는 주요 분해(primary decomposition)이라 칭한다. 이는 전통적인 페미니즘 이론에서 한 사람에 대한 억압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하나의 요소가 성별이라고 가정하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는 관점에 따라 여러 분해 방법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배적 분해 방법을 선택하는 순간 이 분해 방법에 딱 들어맞지 않는 나머지 관심사들은 파편화(scattering)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배적 분해에 들어맞지 않는 관심사들을 '횡단적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s)'라 하며, 횡단적 관심사의 파편화를 '지배적 분해에 의한 폭정(a tyranny of the dominant decomposition)'이라 부른다.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에서는 성별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인종, 계급, 장애 등 다른 관점들이 주변화(marginalize)시킨다고 본다.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접근법은 단일한 지배적 분해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가정을 비판하며 소프트웨어를 여러 측면(aspects)에서 바라보고 분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다차원적 관심사 분리(multi-dimensional separation of concerns)라 한다. 분리된 각각의 관심사들은 관점 엮기(aspect weaving)라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합쳐진다. 이와 유사하게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에서도 한 인간의 사회적 정체성은 성별, 인종, 계급, 장애 등의 엮임(interlocking)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한다.

  1. 듀이십진분류의 경우 다면분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분류코드를 조합할 수 있는 방법이 이후에 추가되었으나 근본적으로는 단일한 계층에 기반한 열거 방식이다.

참조

  1. Karen M. Offen (2000).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42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