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링(전략)

최근 편집: 2016년 9월 18일 (일) 10:21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18일 (일) 10:21 판 (새 문서: 미러링(mirroring)은 여러 의미로 쓰이지만 한국에서는 상대방의 잘못, 특히 성차별적인 말이나 행동을 반대로 뒤집어 보여줌으로써 그...)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미러링(mirroring)은 여러 의미로 쓰이지만 한국에서는 상대방의 잘못, 특히 성차별적인 말이나 행동을 반대로 뒤집어 보여줌으로써 그 문제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논증 및 설득 전략이라는 의미로 가장 널리 쓰인다.

미러링 (논증 전략)

유래

나무위키미러링(신조어) 문서[1]에 의하면 원래 미러링이라는 말은 학술적 의미나 기술적 의미 등으로만 쓰이고 있었고 "'미러링'이란 용어 자체를 이런 뜻으로 사용한 것은 사실상 메르스 갤러리가 최초이자 유일"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문서 작성자가 영어에 익숙하지 않아서 생긴 오해로 보인다.

영어권 국가에서 미러(mirror) 또는 미러링(mirroring)이라는 표현은 반영한다(reflect)의 의미 이외에도, 흉내(imitate) 또는 페로디(parody)의 의미에서 상대방의 잘못을 뒤집어 보여준다는 의미의 은유로 자연스럽게 쓰인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용례를 들 수 있다.

"제멋대로인 성격을 고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러한 미러링 전략의 활용이 보여주는 바는... (Use of this mirroring strategy as a means of reforming the wayward character demonstrates...)" --Edward T. Potter, "Marriage, Gender, and Desire in Early Enlightenment German Comedy" 중에서.[2]

미러링이라는 외래어가 메갈리아를 중심으로 특별히 '성차별적인 말이나 행동을 반대로 뒤집어 보여줌으로써 그 문제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논증 및 설득 전략'이라는 의미로 빈번하게 쓰이게 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특별한 맥락을 갖게 된 것은 맞지만, 원래 영어권에서는 쓰이지 않던 말에 억지로 의미를 부여한 콩글리시로 취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미러링 (기술)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미러링 (심리학)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