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형법/횡령과 배임의 죄

최근 편집: 2022년 10월 9일 (일) 22:51
수동문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9일 (일) 22:51 판 (새 문서: {{법률 정보}} 대한민국 형법에서 타인 소유의 재산이나 재산상 이익을 보관하는 이가 이를 가로채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는 조항이다. == 조문 == '''제40장 횡령과 배임의 죄''' * 제355조(횡령, 배임)<br />①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그 반환을 거부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br />②타인의 사무...)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대한민국 형법에서 타인 소유의 재산이나 재산상 이익을 보관하는 이가 이를 가로채는 행위를 범죄로 규정하는 조항이다.

조문

제40장 횡령과 배임의 죄

  • 제355조(횡령, 배임)
    ①타인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가 그 재물을 횡령하거나 그 반환을 거부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위배하는 행위로써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삼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하여 본인에게 손해를 가한 때에도 전항의 형과 같다.
  • 제356조(업무상의 횡령과 배임)
    업무상의 임무에 위배하여 제355조의 죄를 범한 자는 10년 이하의 징역 또는 3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 제357조(배임수증재)
    ①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가 그 임무에 관하여 부정한 청탁을 받고 재물 또는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하거나 제3자로 하여금 이를 취득하게 한 때에는 5년 이하의 징역 또는 1천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② 제1항의 재물 또는 재산상 이익을 공여한 자는 2년 이하의 징역 또는 5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한다.
    ③ 범인 또는 그 사정을 아는 제3자가 취득한 제1항의 재물은 몰수한다. 그 재물을 몰수하기 불가능하거나 재산상의 이익을 취득한 때에는 그 가액을 추징한다.
  • 제358조(자격정지의 병과)
    전3조의 죄에는 10년 이하의 자격정지를 병과할 수 있다.
  • 제359조(미수범)
    제355조 내지 제357조의 미수범은 처벌한다.
  • 제360조(점유이탈물횡령)
    ①유실물, 표류물 또는 타인의 점유를 이탈한 재물을 횡령한 자는 1년 이하의 징역이나 300만원 이하의 벌금 또는 과료에 처한다.
    ②매장물을 횡령한 자도 전항의 형과 같다.
  • 제361조(친족간의 범행, 동력)
    제328조와 제346조의 규정은 본장의 죄에 준용한다.

해설

  • 주체
    타인 소유의 재물을 보관하는 자(횡령), 타인의 사무를 처리하는 자(배임)이다.
  • 객체
    타인 소유의 재물(횡령) 또는 재산상 이익(배임)이다.

불법영득의사를 요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