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주

최근 편집: 2017년 3월 17일 (금) 18:38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3월 17일 (금) 18:38 판 (→‎역사속 진주)

보석의 한 종류. 조개류에 의해서 만들어지며, 석회질로 이루어져 있으므로 등의 화학물질이 닿지 않게 주의해야 한다.

생산 방법

양식 진주

조개에 이 들어오면, 조개는 내부 몸체를 보호하기 위해 이물질을 특정 물질을 분비하여 감싼다. 이물질이 겹겹이 쌓이면 진주가 된다. 주로 타원형이나 일관치 못한 구형으로 만들어진다. 조개는 이 과정에서 큰 고통을 겪으므로 동물학대라 할 수 있다.

천연 진주

말그대로 천연의 조개에서 체취할 경우 천연진주라고 칭한다. 과거 양식기술이 발명되기 이전에는 모두 바다에서 체취한 조개에서 희박한 확률로 발견 하였다. 현재 유통되는 진주의 99%는 양식 진주이다. 대게 천연 진주라고 유통 되는 것들은 말그대로 "모조품"이 아닌 "천연양식진주" 라는 의미라고 보면 된다.

모조 진주

구형 플라스틱 등에 진주 가루를 코팅하여 제작 하기 때문에 안타깝지만 대부분의 모조진주는 비건(Vegan)주얼리가 아니다. 페이크펄(fake pearl)은 코코샤넬 본인이 직접 디자인한 롱 넥클리스를 통해 시중에 알려지기 시작 하였다.

관리 방법

산이나 염기에 노출시키지 않고, 화기에 가까이 하여서는 안된다. 기름을 쉽게 흡수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맨손으로 만지지 않도록 주의가 필요하다.(빛깔이 탁해지게 된다) 엄연히 천연 물질 이기 때문에 지나치게 건조한 환경에 놓여서는 안된다. 다만 일부러 습기를 줄 필요는 없고 정기적으로 착용을 해주면 피부에서 발하는 땀이 관리에 도움이 될수 있다고 한다. 최고급 진주의 경우 실크를 이용해서 고정을 하며 매우 숙련된 장인만이 독특한 진주 매듭법을 구사할 수 있다. 시간도 매우 오래걸리는 작업이다. 안전한 착용을 위해서 1-2년에 한번씩 실크줄을 교체 하도록 권유하고 있다.(실크가 공기중에서 삭아서 쉽게 풀어질 가능성이 있다)

진주의 종류

해수 진주

남양 진주

타히티 진주

담수 진주

아코야 진주

역사속 진주

진주는 과거 다이아몬드보다도 훨씬 더 고가로 거래되는 아주 귀한 보석이었다. 양식기술이 없던 시절에는 천연 조개에서 일일히 체취를 하였기 때문에 진주를 품은 조개를 찾는 어려움과 이중에서도 색상,광택,크기가 일정한 진주를 모아서 넥클리스나 이어링을 만드는 것은 상상을 초월하는 어려운 일이었다. 일례로 까르띠에에서 1917년에 현재 뉴욕5번가에 위치한 까르띠에맨션을 모튼플랜트에게 두줄로 된 진주목걸이와 현금 $100를 주고 교환한 일화는 유명하다(현재 가치로 환산할 경우 약 한화 238억원에 달한다. NY Time의 기사를 참조해보면[1]당시 화폐가치로 100만달러정도의 가치를 인정 받았다고 한다. 현재 가치로 재계산한 뒤 환율을 적용해 보았다.[2]대게의 탑클래스 하이주얼리들도 가격이 20억이상의 피스가 흔하지 않은 것을 감안하면 굉장한 가치를 인정 받은 셈이다)당시 상류사회에서는 크고 아름다운 빛깔을 지닌 진주 목걸이는 부와 명예의 척도로 여겨졌다고 한다.

라 페레그리나

스페인왕가에 전해져 내려온 물방울 모양의 진주. 영화배우엘리자베스 테일러가 옥션에서 낙찰받은 이후 까르띠에에게 의뢰하여 루비가 장식된 하이주얼리 넥클리스에 장착되었다. 엘리자베스 테일러사후 진행된 그녀의 주얼리 컬렉션 옥션에서 익명의 낙찰자에게 판매 되어서 현재는 소유주를 알수가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