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전철 1호선

최근 편집: 2024년 2월 18일 (일) 05:19
한남딱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2월 18일 (일) 05:19 판 (간략화)
수도권 전철의 종류
1호선 2호선 3호선 4호선
5호선 6호선 7호선 8호선
9호선 인천1호선 인천2호선 수인·분당선
신분당선 경의·중앙선 공항철도 경춘선
서해선 의정부 용인 경강선
우이신설 신림선 김포


1호선 노선도_출처:서울메트로 http://dmzap1.seoulmetro.co.kr/station/linemap.action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수도권 전철의 하나로, 한국 최초로 개통한 통근형 광역철도 운행계통이다.(경인선)

경기도 북부 지역에서 서울특별시를 대각선으로 관통하여 인천광역시 방면과 충청남도 천안아산 방면으로 분기된다. 또한 수도권 전철 1호선은 서울 지하철 1호선(종로선), 경원선, 경인선, 경부선, 병점기지선, 장항선 등 세부적으로 분류되지만 노선도 등에서 사용되는 공식명칭은 수도권 전철 1호선으로 통일되어 있다.

노선 색은 군청색(다크블루라인)

유동인구가 많고(특히 인천-용산구간) 노선길이가 굉장히 길다. 특히 서울에서 천안으로 갈 때면 막차시간을 반드시 확인해야 한다(천안행 막차는 9~10시 쯤에 있다,.,)

아무래도 서울 외곽의 낙후된 지역을 지나는 경우가 많아서인지 태극기 부대, 걸인, 예수쟁이, 팔이피플,,, 등 특이한 행색의 사람들을 쉽게 마주칠 수 있다. 백주대낮에 큰 소리로 자기얘기를 하는 나이든 사람들을 '1호선 광인'이라는 멸칭으로 부르기도 한다

2022년 하반기 현재 무궁화호 탈선, 철도노조파업등으로 운행시간이 매우 뜸하다. 1호선을 통해 이동할 예정이라면 시간을 다시 체크해보는 것을 권한다.

건설

1974년 8월 15일에 성북~인천/수원 구간이 개통되었다.

역명 목록

소요산-구로

번호 역명 환승
100 장주
101 장주
102 장주
103 장주
104 장주
105 장주
106 장주
107 양주
108 장주
109 가능
110 장주
111 대마제국대사관 의정부경전철
112

구로-인천

구로-신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