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화심리학

최근 편집: 2016년 8월 6일 (토) 19:26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8월 6일 (토) 19:26 판 ("강간의 자연사"에 대한 내용 추가)
경고 이 틀은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토막글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새로운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진화심리학(Evolutionary psychology)은 인간 본성을 진화된 심리적 적응의 모음으로 설명하고자 하는 이론적 접근이다. 진화생물학현대종합설, 인지심리학계산주의 마음이론모듈 가설로부터 영향을 받았다.

개요

지금 진화심리학(Evolutionary Psychology)이라고 불리는 학파는 대체로 논문집 The Adapted Mind[1]의 출판을 계기로 유행하기 시작하였다. 이 문서의 설명은 이 학파의 견해를 따른다. 이 견해에 의하면 진화심리학은 진화생물학현대종합설인지심리학계산주의 마음이론에 기반을 두고 인간의 심리와 행동을 설명하고자 하는 학문이다.

진화심리학의 주요 논의들을 다루는 입문서로는 데이비드 버스Evolutionary Psychology (Book)를 추천한다. 번역서 제목은 원래 마음의 기원이었는데 최근 개정판에서는 진화심리학 (책)[2]으로 바뀌었다. 번역의 품질은 다른 번역서들과 유사하게 상당히 안 좋은 편이다.

심리학에 진화론을 접목하고자 했던 다른 여러 시도에 대한 포괄적 역사는 Evolutionary Thought in Psychology - A Brief History[3]를 참고하면 좋다.

역사

진화심리학에 영향을 준 진화생물학의 주요 이론들을 시간 순으로 나열하면 아래와 같다.[2]

  • 자연선택(Natural selection)에 의한 진화: 다윈과 월레스는 1) 유기체의 변이, 2) 변이의 유전성, 3) 차별적 번식 성공이라는 세 가지 요소로 진화라는 현상을 설명할 수 있음을 설득력 있게 주장하였다. (1850년대)
  • 성선택(Sexual selection): 동성간의 경쟁(intrasexual competition), 이성간의 선택(intersexual selection)이라는 메커니즘을 통해 공작새의 꼬리와 같이 특이한 현상을 설명할 수 있는 기반이 마련된다. (1850년대)
  • 현대종합설(Modern synthesis): 멘델의 입자유전과 다윈의 점진적 변이 사이의 외견상 불일치가 존재하였으나, 피셔 등의 집단 유전학 연구에 의해 여러 유전자좌에서의 멘델식 입자 유전이 결과적으로 표현형 상의 점진적 변화를 일으킬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게 되었다. (1930년대)
  • 동물행동학(Ethology): 콘라드 로렌츠, 니코 틴버겐 등은 동물의 행동에 대한 진화적 설명을 시도한다. 로렌츠의 각인(imprinting) 연구, 틴버겐의 "4 Whys" 등이 유명하다. 이기적 유전자[4]리차드 도킨스, 털없는 원숭이데스먼드 모리스 등은 티버겐의 제자다. (1950년대)
  • 포괄적합도(Inclusive fitness): 윌리엄 헤밀턴은 기존의 적합도(Classical fitness) 개념을 확장하여 포괄적합도 개념을 확립한다. 이 개념은 유전자 선택론의 기반이며 가족, 이타주의, 도움, 집단 형성, 공격성 등을 설명하기 위한 단초를 제공한다. (1960년대)
  • 진화적 적응의 엄밀한 정의, 집단선택론의 몰락: 조지 윌리엄스는 진화적 적응을 "성공적인 번식에 직접 혹은 간접적으로 기여하는 특정 문제에 대한 진화된 해결책"으로, 적응 가설을 "단지 우연에 의해서는 발생할 수 없는, 믿을 만하고, 효율적이며, 경제적인 설계 모음에 관한 확률적 진술"로 각각 엄밀하게 정의하고, 이에 기반하여 기존의 모호한 논의들(특히 집단선택론)을 효과적으로 공격/개선하였다. (1960년대)
  • 호혜적 이타주의, 양육투자 이론, 부모-자식 갈등 이론의 파생: 로버트 트리버스조지 윌리엄스의 이론으로부터 호혜적 이타주의, 양육투자 이론, 부모-자식 갈등 이론 등을 유도하였다. (1970년대)

진화심리학은 또한 인지심리학의 계산주의 마음이론과 모듈 가설을 수용하고 있다.

  • 계산주의 마음이론(Computational theory of mind, CTM): 인지(정서, 사고 등을 모두 아우르는 넓은 의미에서의 인지)란 정보처리(information processing) 혹은 계산(computation)이고, 는 정보처리를 위한 기관이라고 보는 견해
  • 모듈 가설(Modularity of mind): 마음의 상당 부분, 혹은 적어도 일부는 모듈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위에서 살펴본 진화생물학과 인지심리학의 이론들을 접목하면 아래와 같이 요약할 수 있다:

  • 정보처리 기관인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산물이다.
  • 마음은 모듈로 구성되어 있을 뿐 아니라, 그 수가 매우 많을 것이다. (대량모듈가설, Massive modularity hypothesis)
  • 각 모듈이 자연선택에 의한 진화의 산물이라면 이 모듈들은 아무렇게나 작동하는 것이 아니라 특정 상황/맥락에서 잘 작동하게끔 특화된 메커니즘을 지닐 것이다(domain specificity). 예를 들어 다른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기 위한 모듈, 언어 습득을 위한 모듈, 사기꾼(cheater, free-rider) 탐지 메커니즘 등. 이러한 심리 모듈을 진화된 심리 메커니즘(Evolved psychological mechanism)이라고 부른다.

이게 진화심리학을 이루는 기본적인 가정이다. 이러한 가정을 검증하기 위해 진화심리학자들은 신경학, 유전학, 발생학적 연구, 서베이나 공공기록물 수집, 고고학적/고생물학적 연구 등 다양한 방법을 활용한다.

비판적 견해들

페미니스트들의 비판

진화생물학 및 진화심리학에 대한 페미니즘 진영의 평가는 시대에 따라 바뀌어 왔다.[5]

종의 기원인간의 유래와 성선택이 출판된 직후인 1800년대 후반에는 페미니즘을 옹호하고 기존의 남성중심적 권위를 비판하기 위한 이론적 근거로 다윈의 견해가 널리 활용되었으나, 1900년대 중반 이후에는 많은 페미니즘 이론가들에 의해 사회생물학진화심리학의 여러 주장들을 성차별적이는 이유로 비판을 받아왔다. 최근에는 다시 진화생물학과 진화심리학을 긍정적으로 재평가하려는 학자들에 의해 다윈주의 페미니즘이라는 조류가 만들어지고 있다.

(작성중)

특히 랜드 쏜힐크레이그 팔머의 저서 강간의 자연사(A Natural History of Rape)[6]는 "남성에 의한 여성 강간을 정당화한다"는 이유로 많은 비판을 받아 왔다. 일부 비판은 책의 내용에 대한 오독에서 기인하는 면도 있으나(주로 자연주의적 오류와 관련이 있다), 실제로 남성편향적 서술이 다소 포함되어 있으며 진화심리학자들 사이에서의 비판적 평가도 존재한다.[7]

인지심리학자들의 비판

일부 인지과학/인지심리학자들은 진화심리학에 비판적 견해를 취한다. 예를 들어 앞에서 언급한 바 있는 모듈 이론의 창시자 제리 포더는 진화심리학 및 계산주의 마음 이론이 자신의 이론을 너무 과도하게 끌고 나갔다고 주장하고 있다. 인지언어학자이자 진화심리학자인 스티븐 핑커와 포더 사이의 다음 논쟁이 유명하다.

또 다른 굵직한 비판자로 노암 촘스키를 뺄 수 없다. 진화심리학에 대한 촘스키의 비판은 기본적으로 스티븐 제이 굴드의 비판과 유사하다. 스티븐 핑커, 레이 제켄도프 등과 언어의 진화를 놓고 2002년~2005년 사이에 벌인 논쟁이 서로의 입장 차이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참고로, 핑커는 촘스키 및 포더의 영향을 강하게 받은 촘스키 전통의 언어학자이자 고전적 인지주의에 가까운 인지과학자이면서, 이후(1990년대)에 진화심리학계의 거목인 존 투비레다 코스미데스의 영향을 받아 진화심리학에 대단히 우호적인 학자이다.

생물학자들의 비판

이와 유사하게 일부 진화생물학자들도 진화심리학에 비판적 견해를 취한다. 스티븐 제이 굴드는 진화심리학이 너무 많은 것을 적응으로만 설명하고자 한다(범적응주의)고 비판하고 있다. 굴드는 주로 리차드 도킨스와 치열한 논쟁을 주고 받았는데, 두 사람 모두 잘 알려진 과학자이자 저술가라서 그런지 두 사람 사이의 논쟁은 대중적으로 잘 알려진 편이다. 이들 사이의 논쟁사를 정리한 책으로는 킴 스티렐니Dawkins vs. Gould를 추천한다. 국내에는 유전자와 생명의 역사[9]이라는 제목으로 번역되었으며 관련 분야를 전공한 장대익씨가 옮겼으니 번역 품질이 괜찮을 것으로 보인다. 다만, 원문 자체가 공정한 척 하면서 사실은 도킨스 쪽으로 치우쳐 있다는 점을 참고할 필요가 있다.

진화심리학에 대한 오해들

유전자 결정론이라는 오해

(작성중)

궁극 원인과 근접 원인에 대한 오해

(작성중)

설명과 변호, 사실과 가치의 혼동

(작성중)

기타

(작성중)

참고자료

  1. Halifax Jerome H. Barkow Professor of Social Anthropology Dalhousie University, Nova Scotia; Halifax Leda Cosmides Professor of Social Anthropology Dalhousie University, Nova Scotia; John Tooby both Professors of Psychology and Anthropology University of California at Santa Barbara (11 October 1995). 《The Adapted Mind :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Evolutionary Psychology and the Generation of Culture》. Oxford University Press, USA. ISBN 978-0-19-535647-2. 
  2. 2.0 2.1 데이비드 버스 (13 June 2012). 《진화심리학》. 웅진지식하우스. 12–쪽. ISBN 978-89-01-14709-3. 
  3. Henry Plotkin (15 April 2008). 《Evolutionary Thought in Psychology: A Brief History》. John Wiley & Sons. 5–쪽. ISBN 978-0-470-77540-0. 
  4. 리처드도킨스 (30 September 2006). 《이기적 유전자(30주년 기념판)》. 을유문화사. ISBN 978-89-324-7111-2. 
  5. Kimberly A. Hamlin (8 May 2014). 《From Eve to Evolution: Darwin, Science, and Women's Rights in Gilded Age America》. University of Chicago Press. ISBN 978-0-226-13475-8. 
  6. Randy Thornhill; Craig T. Palmer (February 2001). 《A Natural History of Rape: Biological Bases of Sexual Coercion》. MIT Press. ISBN 978-0-262-70083-2. 
  7. Griet Vandermassen (10 February 2005). 《Who's Afraid of Charles Darwin?: Debating Feminism and Evolutionary Theory》.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SBN 978-1-4616-4707-2. 
  8. 제리포더 (1 August 2013). 《마음은 그렇게 작동하지 않는다》. 알마. ISBN 978-89-94963-87-7. 
  9. 킴스티렐니 (20 January 2002). 《유전자와 생명의 역사》. 몸과마음. ISBN 978-89-89418-1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