왜 한국 여자들은 데이트 비용을 더치 페이하지 않는가

최근 편집: 2017년 10월 7일 (토) 10:08
WhatisI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0월 7일 (토) 10:08 판 (한남페이 논란과 관련된 문화)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한남페이가 실제로 한국의 일반적인 데이트 상황에서 작동되고 있지는 않다. 그러나 젊은 남성들과 여성들 사이에서 한남페이가 적절한 데이트 비용 처리 방식이라는 생각이 늘고 있는 것 같다. 문제는 현실에 부딪히면 이것을 실행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다보니 어떤 남성들이 자발적으로 한남페이를 하지 않는 여성 개인에 대해 강도 높은 비난을 하면서, 여성들에게 공감을 받지 못하고 논란을 부르게 되었다.

데이트 비용의 현실적 배경

문화적인 요인

일반적인 데이트 상황에서 한남페이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는 다음과 같은 문화적 요인이 있다.

  • '남성이 여성보다 경제적으로 우위에 있다'는 생각.
  • 경제적 우위성에서 파생된 '남성은 구애하는 여성에게 돈을 쓴다'는 생각.
  • 여성에게 경제적으로 의지하는 남성은 상대 여성을 구애의 대상이 아닌, 이용해먹을 대상으로 여긴다.

위와 같은 문화적인 배경이 생기기까지는 오랜 세월의 경제적이고 정치적인 배경이 있기 때문에, 대다수의 사람들이 이러한 문화의 영향을 받는다. 그렇기 때문에 여성은 물론 상당수의 남성도 여성이 데이트 비용을 반 이상 지불하는데서 불안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다.

경제적인 요인

통계적으로 남성이 여성보다 급여를 많이 받으며, 남성이 여성보다 진급을 더 많이 하기 때문에 나이가 들수록 남성과 여성 사이의 소득 차이는 급속도로 커진다. 남성들에게 급여가 높은 일자리 취직하기가 어렵다면, 여성들은 그것보다 몇 배 이상 더 큰 어려움을 겪는다.

더군다나 아직도 상당수의 이성 커플은 남성의 나이가 여성의 나이보다 많다. 이러한 나이 차이는 현실적인 남성의 경제적 우위를 점하는 상황에 더해져서 커플 사이의 경제적 상황을 더욱 크게 차이 나도록 만든다.

대처 방법

두 사람이 만나서 시간을 보내는데, 둘 사이에 경제적 편차가 존재한다면, 둘이 지속적으로 비용을 비슷하게 지불하기는 어렵다. 이것은 데이트 비용뿐만이 아니라 어느 사회적 비용이든 마찬가지이다. 특정 여성이 만나는 남성보다 실질적으로 경제적 우위를 점한다면, 같은 이유로 여성이 데이트 비용을 더 내게 마련이다. 현실적으로 그렇게 하지 않으면 만남이 지속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그런데 현재의 데이트 문화에서 대개 남성이 데이트 여성 상대를 만나게 되면, 자신이 경제적 지위가 높지 않더라도 상대 여성은 자신보다 경제적 지위가 더 낮은 사람일 확률이 높다. 이것을 받아들이지 않고, 무턱대고 같이 시간을 보내니까 비슷하게 돈을 내야 한다고 우긴다면, 문제가 해결될 수 없다.

아직 학생 혹은 사회초년생이어서 경제적 지위가 비슷한 커플의 경우에는 대개 문화적인 요인이 데이트 비용을 내는 방식에 큰 영향을 끼친다. 따라서 이것은 특정 개인에 대해 비난을 해야 할 것이 아니라, 사회적으로는 정치, 경제적 배경(여성의 사회진출과 유리천장 문제, 경력단절 문제 등등)을 해결하면서 개인적으로는 개개인의 상황에 맞춰 서로 설득을 해야 할 문제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