된장녀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7일 (화) 14:17
인쇄용 판은 더 이상 지원되지 않으며 렌더링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브라우저 북마크를 업데이트해 주시고 기본 브라우저 인쇄 기능을 대신 사용해 주십시오.

된장녀한국인터넷에서 2006년부터 크게 유행하기 시작한 여성혐오 단어이다. 당시 인터넷의 각종 커뮤니티와 게시판을 중심으로 크게 유행한 된장녀의 하루라는 글이 직접적인 계기가 되었다[1]. 김치녀 이전에 널리 사용되던 여성에 대한 비하어이며 열폭의 개념이 전부 들어가 있다. 주된 이미지는 예쁘지만 도도한 인상이고, 비싼 커피를 마시며 외제차를 타고 잘생긴 남성을 선호하는 등 갖고 싶지만 가질 수 없는 여자의 이미지이다. 이런 여성에게 된장녀라는 비하어를 적용한 것은 전적으로 여성혐오에 기반한 사상이며[주 1], 부당한 호칭이다. 이는 이후에 김치녀라는 비하어로 이어지게 된다.


된장녀의 하루

지금도 검색으로 쉽게 당시 글을 찾을 수 있다. 글을 쓴 사람이 주장하는 철없는 된장녀가 어떻게 허세로 가득찬 하루를 보내는지를 묘사한 글이다. 여담이지만, 당시 인터넷에서 유행하던 개행이 잔뜩 들어간 한 줄 짜리 묘사가 끝없이 이어지는 글이 어떤 식으로 작성됐는지 확인할 수 있는 꽤 흥미로운 자료다. 이 글이 큰 인기를 얻으면서 웹툰 형식의 만화도 등장하게 된다. 이 만화에는 된장녀에게 돈과 시간과 감정을 바치는 불쌍한 남자도 등장한다.

된장녀의 하루가 큰 주목을 받자 여성혐오가 내재된 사람들은 여성을 공격한 언어를 얻은 꼴이 되었고, 곧 젊은 여성의 소비 전반에 대한 과도한 비아냥과 비판이 이어지게 된다. 한국의 여성혐오 역사, 특히 인터넷을 통한 여성혐오의 확산에 큰 악영향을 준 사건 중 하나다.


된장남의 하루

일종의 미러링 시도는 된장녀의 하루가 유행하기 시작한 직후부터 있었다. 문체를 거의 똑같이 차용한 된장남의 하루가 대표적인데, 이것은 소비라곤 할 줄 모르며 돈만 생기면 술을 마시거나 게임방에 가 담배를 피는 것이 전부인 젊은 남성에 대한 비아냥이 표현된 글이었다. 그러나 당시엔 미러링이라는 개념 자체가 크게 유행하기 이전이었고 인터넷 사회 전반에 여성혐오에 저항하는 페미니즘의 분위기가 확산되기 이전이라 이 시도는 큰 효과는 얻지 못했다.


비하어로서의 한남의 등장

2015년 이후의 페미니즘 무브먼트의 영향으로, 여성혐오에 대한 일종의 미러링 단어인 한남이 등장했다. 흥미로운 것은 이 한남을 정면으로 다룬 시사IN 제467호가 2016년 8월 27일에 발행됐다는 것이다. 된장녀의 하루를 다룬 한겨레 21 제 621호가 2006년 8월 4일에 발행된 것을 생각하면, 여성이 된장녀라는 비하어에 반박할 단어를 획득하는데 약 10년이 걸린 셈이다.


여성 비하어의 공통점

김치녀, 된장녀 등 여성 비하어에는 특이한 공통점이 있다. 바로 해외 문물에 대한 열등감이 들어가 있다는 점이다. 이는 새로운 환경을 빨리 수용하는 여성들의 특성에 열등감을 느낀 남성들이 그 감정을 단어에 투영한 것으로 보여진다. 스타벅스 커피를 먹고 엘라스틴 샴푸[주 2]로 머리를 감는다, 외제차를 보면 성적으로 흥분한다 등등 해외 문물과 비하어가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는 것은 남성들의 보수성, 국수주의와도 연결되어 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김치녀.된장녀라는 단어로 여성을 지칭하는 남성들의 숨겨진 의도는 '네가 아무리 외국 문물을 따르려고 해봤자 너는 김치,된장(한국인)일 뿐이다.' 라는 열등감의 발화이다.

한 칼럼에서는 ‘미국식 삶’에 발 맞추지 못한 남성들이 엉뚱하게 여성을 상대로 마녀사냥을 벌이고 있다는 점을 비판하고 있다.[2]

부연 설명

  1. 예쁘고, 몸매도 좋고, 섹스도 잘해주고, 더치페이도 꼬박꼬박하고 집안일도 해주는 여자를 바라는 남성을 된장녀 단어 이전에 비하한 여성들이 있었던가? 그저 당연한 남성의 로망으로 여겨졌을 뿐이다.
  2. 한 병에 삼천원 밖에 안한다.
  1. [인터넷스타] 된장녀의 하루 - 한겨레21
  2. “괴물, 된장녀 그리고 반미주의”. 2006년 8월 4일. 2021년 5월 27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