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서울 지하철 4호선

최근 편집: 2021년 10월 31일 (일) 07:23

틀:수도권 전철 목록 틀:철도 노선 정보

서울 도시철도 4호선(서울 지하철 4호선)은 서울특별시 노원구 당고개역서울특별시 서초구 남태령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남태령역금정역을 잇는 과천선금정역오이도역을 잇는 안산선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4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과천선안산선이 국철로 표기되고 노선색도 4호선과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4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역사

운행

완행
급행
평일 당고개행 5편성, 오이도행 3편성 운행한다.

운행차량

특징

꽈배기굴
1993년, 좌측통행인 안산선과 우측통행인 4호선을 잇는 과천선이 생기면서 통행방식에 문제가 생겼고, 이를 해결하기 위해 입체교차터널인 꽈배기굴[1]을 뚫게 된다. 당연히 직선 산악터널 뚫는 것도 어려운데 산 중간에서 꽈배기를 뚫으려니 난공사도 난공사고, 거기에 절연구간도 설치해야 하니 막장 of 막장. 당연히 운행 초기에는 트러블도 많았고 때문에 욕도 많이 들어 먹었으나, 최근에는 그나마 나름 안정되어 그냥 불 꺼지는 구간 정도로 남게 되었다.

역 목록

  • 과천선안산선의 자세한 연계 노선은 해당 문서를 참고하세요.
  • : 급행
  • ●: 모든 열차 정차, ┃: 모든 열차 통과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05 0.0 진접 틀:세로 남양주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06 2.1 오남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08 9.8 별내별가람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8호선
rowspan="2"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09 0.0 당고개 틀:세로 진접선 (연결) 틀:세로 노원구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0 1.2 상계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동북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1 2.2 노원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7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2 3.6 창동 경원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도봉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3 4.9 쌍문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4 6.4 수유(강북구청) 강북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5 7.8 미아
(서울사이버대학)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6 9.3 미아사거리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동북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7 10.6 길음 성북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8 12.0 성신여대입구(돈암)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우이신설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19 13.0 한성대입구(삼선교)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0 13.9 혜화
(서울대학교병원)
종로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1 15.4 동대문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2 16.7 동대문역사문화공원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2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5호선 중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3 17.4 충무로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3호선 (연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4 18.1 명동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5 18.8 회현(남대문시장)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6 19.7 서울역 경부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KTX, 코레일 일반열차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공항철도
경의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용산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7 20.7 숙대입구(갈월)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8 21.9 삼각지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6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29 22.6 신용산 용산역 (환승 할인 없음)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0 23.9 이촌
(국립중앙박물관)
경원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1 26.6 동작(현충원)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9호선 동작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2 28.4 총신대입구(이수)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7호선 (이수역)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3 29.5 사당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2호선
rowspan="2"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4 31.1 남태령 서초구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5 33.1 선바위 틀:세로 과천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6 34.1 경마공원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7 35.0 대공원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8 36.0 과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39 37.0 정부과천청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0 40.0 인덕원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강선, 인덕원동탄선 (예정) 안양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1 41.6 평촌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2 42.9 범계
rowspan="2"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3 45.5 금정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군포시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4 47.8 산본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5 48.9 수리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6 51.5 대야미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7 53.5 반월 안산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8 57.2 상록수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49 58.7 한대앞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0 60.3 중앙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신안산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1 61.7 고잔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2 63.2 초지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서해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신안산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3 65.0 안산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4 67.2 능길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5 70.1 정왕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시흥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456 71.5 오이도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1. 이전판에서는 세계에서 유일한 사례라고 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 당장 프랑스만 하더라도 좌우측 통행이 섞여 있으며, 스웨덴도 남서부 말뫼 인근은 우측 통행, 나머지는 좌측 통행이라 이런 구조물들이 많다. 나라별로 통행 방식 바뀌는 곳도 많으며, 네덜란드는 심지어 고속선에도 이런 꽈배기 교차 지점이 있다. 물론 절연구간 꽈배기굴 이라고 하면 최초이긴 하다.

틀: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