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 4·3 사건

최근 편집: 2018년 4월 3일 (화) 16:47
Transfer7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4월 3일 (화) 16:47 판

1948년 4월 3일 제주도에서 발생한 항쟁이며 국가에 의한 민간인 학살 사건이다.

명칭 및 공식적 규정

대한민국에서의 공식적인 명칭은 '제주4ㆍ3사건'이다. 현행법에서 규정된 4·3사건의 정의는 "1947년 3월 1일을 기점으로 1948년 4월 3일 발생한 소요사태 및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무력충돌과 그 진압과정에서 주민들이 희생당한 사건"이다.[1]

피해 규모

<제주4·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위원회>는 진상조사보고서(본 문서의 같이보기 항목 참조)에서 희생자 숫자의 정확한 집계는 어려우나, 2만 5천 명에서 3만 명의 인명피해가 있었다고 추정하였다. 이는 당시 제주 인구의 10% 가량이다.

사건 이후

1960년 4.19 혁명으로 이승만 정권이 무너지기 전에는 "소련이나 북한, 또는 남로당 중앙당의 지령에 의해 제주도를 비롯해 한반도 전체를 적화시키기 위해서 공산도배들이 일으킨 폭동"으로 규정되었다.[2] 4.19 혁명 이후 사건이 공론화되었으나, 박정희 집권기에는 모두 중단되었다. [3]

1996년 3월 25일, 제주도 신구범 지사는 정부에 공식적으로 4.3 사건의 진상 조사를 요청하였다. [4]

2000년 1월 12일, '제주4ㆍ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다.

2003년 10월 31일, 노무현 대통령은 국가 차원에서 유족과 제주도민에게 사과하였다. [5]

2006년 4월 3일, 노무현은 한국 대통령 중 처음으로 4.3 위령제에 참석하였고 다시 한 번 사과를 표했다.[6]

2018년 4월 3일, 문재인 대통령은 4.3 추념행사에 참석하였다. 이는 2006년 노무현 이후 12년 만이다. [7]

관련 작품

도서

연극

영화

음악

  • '4월의 춤', 루시드폴

기타

같이 보기

출처

  1. 제주4ㆍ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 (약칭: 4·3사건법) 제2조
  2.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3. 4.3사건 진상조사보고서.
  4. 한겨레(1996. 3. 26.). 제주지사 4.3규명 공식요청.
  5. 연합뉴스(2003. 10. 31.). 노대통령, 제주4.3 국가차원 사과-1.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001&aid=0000494199)
  6. 한국경제TV(2006. 4. 3.). 노 대통령 "4.3사건 거듭 사과". (http://news.naver.com/main/read.nhn?mode=LSD&mid=sec&sid1=101&oid=004&aid=0000062021)
  7. 헤드라인제주(2018. 4. 3.). 문재인 대통령, 제주4.3희생자 추념식 참석. (http://www.headlinejeju.co.kr/?mod=news&act=articleView&idxno=3304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