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론:워마드/이전 토론

최근 편집: 2016년 12월 21일 (수) 12:38
ITX Saemaeul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2월 21일 (수) 12:38 판

마지막 댓글: ITX Saemaeul님 (2016년 12월 21일 (수))
이동 안내 토론:남성 혐오에서 메갈리아의 속성에 대한 토론이 제기되어서 일부 옮겼습니다. -렌즈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50 (KST)답변[답변]

워마드와 메갈이 분리된 서사를 보지 않으면 전제 자체가 무의미 합니다 남연갤에서 파생되었다고 해서 유입된 모든 사람이 다 거기서 나온 사람들만 있는 것도 아닐진대....애시당초 게이혐오이슈가 커져서 분파로 나뉘어서 독립한게 워마드인대 무조건 서사만 놓고 보자면 모든 인터넷 사이트의 시초 격인 디씨와 같은 맥락을 추구한다고 일축 하실수 있는지요?? 게다가 있는 사건들을 나열하는 목적이라면 같은 서사도 공존하여 기술할 필요가 있죠 읽고 판단하는건 개개인의 몫이지 기술자가 독자적으로 판단하는건 사설에 지나지 않습니다 사실 워마드 노선 자체가 그런 외부 비판 따위는 수용하지 않겠다는 노선이니 아무리 그리 주장하신들....있었던 사건 사고 자체를 남연갤에서 시작했으니 무시한다는 납득할 수 없군요...Aurorashower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00:58 (KST)답변[답변]

메갈리아에 유입된 인원들 출신은 거의 남연갤 여성시대로 봅니다. 즉 그들은 원래부터 일베와 동급이었던 애들이고, 그 동급이었던 아이들이 모인곳이 메갈리아 입니다.
제 개인적인 견해로는 페미니스트들이 연대를 중시한다고 해도 일베와 동급인 애들과 연대를 하는건 아니다 라고 생각을 합니다. 원래 시민운동은 시민의 지지를 받아야 하는데 일베와 동급인 애들과 연대를 한다면 어느 누가 좋다고 지지를 하겠습니까? 예로 들어 생리대는 면세품이 된지 오래됬고 생리대값 비교도 권장소비가 하고 최저구입가를 비교하고, 유한킴벌리 내부 문서에서는 원료값이 올랐다고 되어 있었습니다. 즉 피묻은 생리대를 공공장소에 붙인건 그냥 뻘짓인거나 다름없었다는 거죠. -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01:05 (KST)답변[답변]
메갈리아문서에 메르스갤러리 사건부터 읽고 오시는게 좋을것 같습니다. -참치솔솔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01:11 (KST)답변[답변]
계속 일베랑 엮으시려고 하는데 이유 좀 정확히 왜 동급인지에 대해 설명좀 부탁드려요 :D 참치솔솔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01:12 (KST)답변[답변]
일베와 동급인 이유는, 워마드/메갈리아의 전신이 남자연예인 갤러리인데, 남성혐오, 허위사실 유포... 남성 연예인 비하... 어디서 많이 본거 없습니까? 네 딱 일베가 저지른 거군요.
-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03 (KST)답변[답변]
메르스갤러리가 전신인데요... 참치솔솔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10 (KST)답변[답변]

생리대는 완전 면세품이 아닙니다 최종 생리대에 대한 면세만 이루어졌을 뿐 제작하는 원자제엔 그대로 세금이 매겨집니다 완전 면세에 대해서 좀더 스터디가 필요하실것 같습니다 또한 일베와 동급이라는 주장을 뒷받침할만한 근거제시를 부탁드립니다 더불어 페미니스트 그룹이 한가지가 노선도 아니며 워마드와 연대할지 하지 않을지는 페미니스트 개인이 판단할 몫이므로 사실기술을 목적으로 하는 위키 취지에서 사견에 가까운 일베와 동급이라는 전제를 깔고 기술하는건 반대합니다Aurorashower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01:17 (KST)답변[답변]

https://archive.is/ErQbR
이 글을 보자면 저건 그냥 아동 폭행으로 처벌받아야 합니다 과거 일간베스트에서 오유를 하는 초등학생을 폭행한적이 있는데, 이거와 다를게 뭡니까? 그리고
https://m.facebook.com/story.php?story_fbid=1156242854408427&id=955124404520274
과거 메갈리아에서는 몰카 반대 캠페인을 벌였는데 몰카를 찍었다면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쯤되면 일베와 다를게 뭡니까? -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03 (KST)답변[답변]
생리대 영세율 관련 기사를 첨부하오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http://m.news.naver.com/read.nhn?mode=LSD&mid=sec&sid1=100&oid=277&aid=0003800413 Aurorashower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01:23 (KST)답변[답변]
결과적으로 안했는데요 참치솔솔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05 (KST)답변[답변]

생리대 시위가 뻘짓거리라는 점에 대해서도 답변을 하셔야 하지 않을까요? 그리고 붙여주신 숭실대학교 대나무숲은 익명제보 게시판으로 레퍼런스로 사용하기에는 매우 허술한 점이 많습니다. 해당 사건 가해여성이 법적 처분을 받았다는 사실 확인이 필요하기 때문에 대나무숲글만으로 메갈리아 또는 워마드=범죄 집단이라는 정의는 현시점에서는 성립할 수 없습니다. Aurorashower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13 (KST)답변[답변]

그 안했다는게 생리대 가격 인하를 말하는거라면, 조금만 찾아보면 싼것도 여러개가 보입니다 그건 사용하기 싫다 이러면서 가격 높다 인하해라 하는건 모순이죠. 유한킴벌리 회사 내부 문서를 인용하자면, 원료들이 가격을 올라서 인상했다 라고 되어있었습니다. 그리고 시위를 할때 쓴 문구를 보자면, 처음에는 생리대에 세금 붙히지 마라로 한걸로 압니다 근데 중간에 바뀌었죠. 면세가 된것은 이미 10년이 지났으니까요. 즉 문제를 삼을려면 생리대 가격 인하가 아닌 독과점제를 기준으로 해야 하는데 방향을 잘못 잡은것이고, 일반 시민들에게 혐오감을 유발시킬수 있다는것도 논란을 만들었다라고 볼수 있습니다. 아 그리고 생리대 가격 비교가 잘못됬던데 외국은 인터넷 최저가를 하고 우리나라는 권장소비가로 되어있었는데 같은 최저가로 한다면, 개당 최대 200이 안넘게 나옵니다.(정확히 기술하자면 약 178원) -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18 (KST)답변[답변]

생리대는 기호품이 아닙니다. 필수품이고 필수품이 가져야할 적정선의 기능이 있습니다. 싼게 잇으니 무조건 싼거를 쓰란말입니까 참치솔솔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24 (KST)답변[답변]

ITXsaemaeul 님 생리대 사용해보신적은 있으신가요? 더 싼거 사면 된다가 문제가 아니라 여성이라면 누구나 초경을 시작하면 완경할때 까지 자유의지와는 관계없이 무조건 사용해야 하는 생리용품입니다. 내가 쓰고 싶지 않다고 해서 거부하거나 사용하지 않을 수 없는 물품이에요. 그런 물품에 대해서 국가차원에서 조금이라도 제도적으로 영세율 도입과 같은 서포트를 해달라는게 욕심이고 과욕인가요?? 생리대가 완전 면세가 아니라는 점은 상기 기사에서도 덧붙였습니다. 완전 면세 추진하라는 구호가 아니었다고 해도 100% 면세인것도 아닌대 이미 면세 되어있다는 주장은 맞지 않습니다. 말씀하시는 논지는 그냥 돈없으면 없는대로 싼 생리대 구해서 쓸것이지 쓸대없이 왜 생리대를 쓰지 않는 시민까지 불쾌하게 하였느냐는 이야기로 들립니다. 노조 시위는 사측의 심기를 건드리고 불쾌하게 하니까 하면 안된다는거랑 무슨 차이이죠? 더욱이 그 불쾌한 시위 하는 것으로 어떤 실질적 피해를 보셨습니까? 정신적 트라우마라도 생기나요? 밤에 피묻은 생리대의 공포에 시달리시나요?Aurorashower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1:32 (KST)답변[답변]

유한킴벌리사의 내부문서에 따르면 비슷한 시기에 비해 원료값이 20℅까지 인상되었다고 합니다. 그리고 이미 면세품이라서 세금은 매기지 않고요(부가가치세법 26조 참조). 그런데 세금을 매기지 말라하면 솔직하게 말해서, 비웃음거리로만 전락하게 됩니다. 제가 말하는건 문제점을 잘못 짚었다는것 과 사람들에게 혐오감을 조성해서 논란이 있다는 것 입니다. 실제로 근처 상가들이 생리대 부착한걸 일일이 다 제거했습니다. 시민들이 민원도 넣었고요.-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12 (KST)답변[답변]
제가 보기에는 생리대 가격에 대해 '세금 면세 및 가격 인하 요구는 잘못되었고 필요없다'와 '필요하고 유의미하다'라는 두 가지 의견이 사회에 모두 존재하는 것 같습니다. 이 부분에 대해서 ITX Saemaeul님께서는 동의 하십니까? -렌즈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14 (KST)답변[답변]
아뇨. 이미 부가가치세법 제26조에 의하면 생리대는 이미 면세품으로 '세금 면세와 부당한 인상이라고 판단이 되지 않는다'라고 정정해 주시길 바랍니다. -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22 (KST)답변[답변]
네, ITX Saemaeul님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세금 면세 요구와 가격 인상은 부당하지 않다고 말하는 단체와 전문가도 있는 반면, 사실 여부를 둘째치고 부당하다고 생각하는 단체와 전문가도 있는 것 같습니다. 사실 여부를 차치했을 때 이 부분에는 동의를 하시지요? -렌즈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24 (KST)답변[답변]
그렇게 따진다면 전 첫번째 하고 가까울수 있습니다.-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28 (KST)답변[답변]

그건 묻지 않았습니다. 하여튼 워마드의 생리대 시위는 두 번째에 속하고, 이것이 첫번째에 속하는 근처 상가 등 지역 사회 및 첫번째에 속하는 시민, 네티즌에게 불쾌감을 주었다 말씀을 하셨는데요. 이것도 맞으시지요? -렌즈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31 (KST)답변[답변]

워마드의 주장은 두번째이고 워마드의 표현방식은 특유의 반사회적 특성이 작용한 결과물입니다 정정 부탁드립니다. -ITX Saemaeul (토론) 2016년 12월 21일 (수) 12:38 (KST)답변[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