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그 오브 레전드

최근 편집: 2020년 8월 16일 (일) 05:57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8월 16일 (일) 05:57 판 (→‎캐릭터: 문단을 총체적으로 고칩니다. 챔피언 갯수 통계는 나중에 각주로 달도록 하겠습니다.)

개요

리그 오브 레전드(영어: League of Legends)는 라이엇 게임즈에서 개발한 AOS 게임이다. 5명으로 구성된 두 팀이 상대방과 싸우는 대전게임으로, 사용자들이 직접 다양한 역할군의 챔피언을 선택해 상대 팀 진영을 점령해야 게임이 끝난다. 2009년 10월부터 서비스가 시작됐고, 한국에서는 2012년 1월 정식 출시됐다. 2012년 경부터 한국에 유행하기 시작했다. 앞글자를 따서 롤(LoL) 또는 엘오엘이라 부르기도 한다.

세계관

룬테라라는 가상의 행성에 살고 있는 챔피언들이 소환사의 부름에 따라 전장에서 전투를 한다는 것이 배경 설정이다.

지역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캐릭터

2020년 8월 16일을 기준으로 하여 리그 오브 레전드의 챔피언[주 1]은 그 갯수가 150개에 달한다. 그 중 여성형 챔피언과 남성형 챔피언의 갯수를 헤아려보자면, 여성형 챔피언의 갯수 58개, 남성형 챔피언의 가 총 92개였다. 여기서 여성형 챔피언과 남성형 챔피언을 구분한 기준은, 일러스트 외형에서 가슴, 허리, 엉덩이, 화장을 포함한 얼굴의 이목구비 등을 부각하였거나 성우의 목소리가 여성으로 들리는 경우 여성에 포함시켰으며, 성우가 남성일 경우 남성형 챔피언에 포함시켰다. 예를 들어 아무무, 티모, 피즈, 케넨, 유미 등의 캐릭터는 비인간형 챔피언으로 중성적으로 표현되나 여성 목소리의 성우를 기용하였기에 여성형 챔피언으로 분류하였다. 다만 렉사이 등 성우가 남성이더라도 설정 내에서 "여왕"이라고 젠더적 단어로 묘사된 챔피언은 여성형 캐릭터에 포함시켰다.

또한 챔피언은 외형과 설정에 따라 인간형과 비인간형의 챔피언이 존재했는데, 통계에 따르면 인간-여성형 챔피언 31개, 비인간-여성형 챔피언 27개, 인간-남성형 챔피언 39개, 비인간-남성형 챔피언 53개였다.

우선 남성형 챔피언과 여성형 챔피언의 차이점을 비교해보자면, 여성형 챔피언의 경우 절반 이상의 챔피언이 젊고 예쁘거나 몸매가 뛰어난 모습으로 그려지고 있었다. 인간형에 포함되는 챔피언들은 가슴과 허리, 엉덩이를 부각한 일러스트가 많았으며 종종 맨살을 그대로 노출한 일러스트로 그려지는 경우도 잦았다.

또한 남성형 챔피언의 경우 비인간형으로 표현된 챔피언이 인간형보다 약 36% 많은 갯수로, 여성형 챔피언의 경우 비인간형이 인간형보다 적은 것과 대비되는 수치였다. 심지어 비인간-남성형 챔피언은 매우 다양한 몸집, 외형, 이목구비 등으로 표현되었는데, 여성형 챔피언의 경우 비인간형이더라도 이상적인 인간 여성 고유의 특징(가슴, 허리, 골반, 빼어난 이목구비 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비인간-남성형으로 분류된 챔피언들의 경우, 인간의 얼굴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가 많았으며, 팔다리 이외에 인간의 모습을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많았지만 비인간-여성형으로 분류된 챔피언들의 경우 비인간형임에도 인간 여성 고유의 특징을 그대로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예를 들어 잔나, 이블린, 소라카, 모르가나, 카시오페아, 아리, 리산드라, 카밀, 자야, 니코, 릴리아 등 비인간형에 포함되는 챔피언의 절반에 가까운 비율이 인간 여성과 가까운, 그것도 사회의 이상적인 여성 몸매와 얼굴을 가지고 있었다.

이런 통계에서 다양한 남성의 모습을 인정하고 받아들이는 사회의 모습과, 사회에서 인정받는 '젊고 예쁜' 여성형 캐릭터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여성 챔피언들은 추가 스킨에서 화려한 치장과 몸매를 부각하는 더욱 이상적인 외모로 그려지는 경우가 많았다.

2016년~ 2017년 사이에 한국에서 리그 오브 레전드 챔피언 일러스트에 대한 페미니스트들의 비판이 일었으나 라이엇 게임즈에서는 별다른 해명을 내놓지 않았다. 다만 이러한 비판을 의식했는지는 모르지만, 2017년부터 라이엇 게임즈에서는 예전보다 더 많은 비율로 여성형 챔피언을 출시하기 시작했다. 그 중에는 칼리스타, 일라오이, 탈리야, 니코, 카밀 등 이전보다 덜 틀에 박힌 외형의 여성 챔피언들이 있었다. 그 와중에 라이엇 게임즈는 '여성답지 않은' 외모의 여성 챔피언 일라오이를 출시하여 PC 논란에 휩싸였는데 한국 네티즌들은 못생긴 흑인 여성 챔피언을 출시하는 것은 인종차별과 페미니즘을 의식한 의도적인 행보가 아니냐고 의문을 가졌다. 다만 이 의문은 예전에 다양한 외형의 남성 챔피언, 특히 유색인종이나 비인간형 남성 챔피언을 출시했을 때는 일지 않았던 비판이었다. 따라서 페미니스트들은 라이엇의 그러한 움직임을 PC 추구로 생각하고 비판하는 네티즌들에 대해, 우리나라 남성들이 여성과 남성에 대해 어떤 이중잣대를 가졌는지 잘 알 수 있는 사례라고 비판했다.그리고 일라오이는 못생기지도 않았다...

라이엇 게임즈에서 공식적인 해명을 내놓지 않은 것은 라이엇의 캐릭터 디자이너가 단일 팀만으로 이루어져 있지 않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것은 라이엇의 캐릭터 디자이너 개개인의 잘못이 아니라, 여성을 그런 시선으로 바라보는 사회의 시선을 그대로 답습한 가부장제 총체의 잘못에 더 가깝다. 페미니스트들이 지적하고 싶은 점은 이 일러스트를 그린 디자이너 개인이나, 이 챔피언 혹은 스킨의 외형이나 이미지를 소비하는 개개인에게 잘못이 있다는 것이 아니라, 그렇게 여성의 이미지를 제한하도록, 여성이 아름다운 외모의 성적 대상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는 존재라는 생각을 하도록 만든 사회와 문화가 잘못이라는 점이다.


어떤 이들은 비인간-남성형 챔피언이 성별이 여성이 아니라 남성이라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는가라는 의문을 가질 수 있겠지만, 그러나 비인간-남성형 챔피언으로 분류된 챔피언들은 모두 남성 성우를 기용하였다. 어떤 이들은 그들이 남성 성우라고 어떻게 확신할 수 있냐고 까지 말한다. 페미니스트들이 말하는 남성과 여성의 차별이 허구적인 것이라면 성우의 목소리도 쉽사리 남성으로 판단하지 말아야 하지 않냐는 논리다. 그러나 젠더의 허구성과 그것의 폐지 단계는, 우선 성별로 인한 차별이 통용되는 현 상황이 타개되고 나서의 장기적이고 궁극적인 목표다. 사회적으로 여성이라고 여겨지는 목소리가 있고, 남성이라고 여겨지는 목소리가 있다. 그에 따라서 어떤 여성은 남성적인 목소리로 인해 차별을 받기도 하고, 어떤 남성은 여성적인 목소리로 인해 차별을 받기도 한다. 페미니스트들이 말하는 것은 그러한 젠더에 대한 편견으로 인한 차별이 사라져야 한다는 것이고, 그와 깊이 결부되어 있는 여성에 대한 차별과 편견이 사라져야 한다는 것이다.

사건/사고

몬스터 게이밍 대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승부조작 강요 폭로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여성 유저 대리 의혹제기

여성 유저 "데빌령"의 실력이 너무 뛰어나다는 이유로 인벤 커뮤니티 등지에서 대리 의혹을 제기하였으나, 사실이 아닌 것으로 밝혀졌다. 실력이 뛰어난 여성이 있다는 것을 생각하지 못하는 대표적인 게임계 여혐 현상이다.

같이 보기

출처



인용 오류: {{}} 틀이 사용되었지만, 이에 대응하는 {{부연 설명}} 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