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러링(전략)

최근 편집: 2016년 9월 18일 (일) 10:33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18일 (일) 10:33 판 (이갈리아의 딸들 용어 추가)

미러링(mirroring)은 여러 의미로 쓰이지만 한국에서는 상대방의 잘못, 특히 성차별적인 말이나 행동을 반대로 뒤집어 보여줌으로써 그 문제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논증 및 설득 전략이라는 의미로 가장 널리 쓰인다.

미러링 (논증 전략 또는 풍자)

유래

나무위키미러링(신조어) 문서[1]에 의하면 원래 미러링이라는 말은 학술적 의미나 기술적 의미 등으로만 쓰이고 있었고 "'미러링'이란 용어 자체를 이런 뜻으로 사용한 것은 사실상 메르스 갤러리가 최초이자 유일"하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이는 문서 작성자가 영어에 익숙하지 않아서 생긴 오해로 보인다.

영어권 국가에서 미러(mirror) 또는 미러링(mirroring)이라는 표현은 반영한다(reflect)의 의미 이외에도, 흉내(imitate) 또는 페로디(parody)의 의미에서 상대방의 잘못을 뒤집어 보여준다는 의미의 은유로 자연스럽게 쓰인다. 이를테면 다음과 같은 용례를 들 수 있다.

"제멋대로인 성격을 고치기 위한 수단으로써 이러한 미러링 전략의 활용이 보여주는 바는... (Use of this mirroring strategy as a means of reforming the wayward character demonstrates...)" --Edward T. Potter, "Marriage, Gender, and Desire in Early Enlightenment German Comedy" 중에서.[2]

미러링이라는 외래어가 메갈리아를 중심으로 특별히 '성차별적인 말이나 행동을 반대로 뒤집어 보여줌으로써 그 문제를 선명하게 드러내기 위한 논증 및 설득 전략'이라는 의미로 빈번하게 쓰이게 되면서 한국 사회에서 특별한 맥락을 갖게 된 것은 맞지만, 원래 영어권에서는 쓰이지 않던 말에 억지로 의미를 부여한 콩글리시로 취급하는 것은 적절치 않다.

'이갈리아의 딸들'에서의 미러링

소설 이갈리아의 딸들에서는 아래와 같이 미러링된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글을 읽는 내내 우리가 쓰는 단어나 개념들이 얼마나 편향적인지 상기하게 만드는 효과가 크다.[3]

  • 움 (wom): 1)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이라고 분류되는 성의 인간. 2) 어떤 성의 인간이든 인간을 가리키는 말로 쓰인다. 예를 들어, spokeswom(대변인), seawom(뱃사람). 3) 일반적인 인간을 움으로 지칭할 수도 있다.
  • 맨움 (manwom): 가부장제 사회에서 <남성>이라고 분류되는 성의 인간.
  • 미즈 (Ms): 움의 성. 성명 앞에 붙이는 경칭.
  • 미재즈 (Msass): (미즈에 맨움형 어미 -ass가 결합한 것으로) 기혼 맨움의 성. 또는 그 아내의 성 앞에 붙여 기혼 맨움을 나타내는 경칭.
  • 스피너맨 (Spinnerman, Spn): 미혼 맨움의 성, 성명 앞에 붙이는 경칭.
  • 아내 (wife), 하우스바운드(housebound): 움과 맨움이 결혼하면 움은 아내가 되고 맨움은 하우스바운드가 된다.
  • 부성보호 (fatherhood-protection): 움이 아이의 아버지라고 지목한 맨움이 갖게 되는 혜택과 의미. 어떤 맨움이 어떤 움에게 <보호>를 받는다면 그 맨움은 움이 낳은 아이의 아버지로서 그 아이를 길러야 할 의무를 가지며 그 움의 하우스바운드로서 생계를 보장받을 수 있게 된다. 부성보호를 받는다는 것은 그 움의 하우스바운드가 된다는 의미이다.
  • BJ: 도나 제시카의 탄생 이전 시대를 가리킨다.
  • AJ: 도나 제시카의 탄생 이후 시대를 가리킨다.
  • 로디 (lordy, lordies): 1) 어떤 맨움을 지칭할 때, 특히 공손함과 존중을 표시할 때 쓰는 말. 2) 맨움들에게 말할 때 공식성과 존경을 표현하기 위해 쓴다. 예를 들어 연설을 시작할 때 <Lodies and Gentlewim>이라고 말한다.
  • 젠틀움 (gentlewom, gentlewim): 1) 높은 사회적 지위의 가문 출신의 움. 2) 행동이 바르고 교육 수준이 높은, 세련된 움. 3) 움 집단에게 말할 때 젠틀윔이라는 말을 쓸 수 있다.
  • 도나 제시카 (Donna Jessica): 1) 이갈리아인들이 하느님 어머니의 딸이라고 믿는 움의 이름. 그녀의 가르침이 이갈리아인들의 종교의 기초가 되었다. 2) 놀람, 충격, 분노 등을 표현하기 위해. 자신이 하는 말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하는 맹세의 말. 예를 들어 <도나!>(빌어먹을!)
  • 메이드맨 (maidman): 젊은 미혼 맨움. 옛날 말.
  • 메이드맨의 무도회 (maidman's ball): 일년에 한 번 열리는 큰 무도회. 움은 마음에 드는 맨움을 선택하고 그 맨움과 함께 <메이드맨의 방>이라는 곳에 가서 사랑을 나눈다.
  • 페호 (peho): 맨움들이 페니스를 받치기 위해 입는 옷.
  • 팔루리안 (phallurian): 맨움 동성애자.
  • 맨움해방주의 (masculinism): 1) 맨움도 움이 가진 것과 똑같은 권리, 권력, 기회를 가져야 하며, 평등을 얻기 위해서는 현재의 상황이 변화해야 한다는 정치적 신념. 2) 이 믿음에 근거한 사회 운동.
  • 스파크스주의 (sparksism): 계급 투쟁이 역사의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는, 클라라 스파크스의 저작에 근거한 정치 철학.
  • 휴우미즘 (huwomism): 종교의 도움 없이 행복과 만족을 획득할 수 있다는, 인간(womkind)의 능력을 믿는 철학.


미러링 (기술)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미러링 (심리학)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