변증법적 행동 치료

최근 편집: 2022년 11월 15일 (화) 17:42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1월 15일 (화) 17:42 판 (새 문서: 변증법적 행동 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이하 DBT)는 마샤 리네한이 고안한,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증상 완화를 돕기 위한 치료법이다. == 대상 ==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특히 (경계선성격장애,이하 BPD)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리네한 교수가 DBT 매뉴얼을 정립하기 전까지, BPD는 임상에서 가장 골치 아픈 증상이었다. 반복적으...)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변증법적 행동 치료(Dialectical behavior therapy, 이하 DBT)는 마샤 리네한이 고안한,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의 증상 완화를 돕기 위한 치료법이다.

대상

변증법적 행동치료는 특히 (경계선성격장애,이하 BPD) 환자들에게 도움을 줄 수 있는 방법으로 꼽힌다. 리네한 교수가 DBT 매뉴얼을 정립하기 전까지, BPD는 임상에서 가장 골치 아픈 증상이었다. 반복적으로 자살 시도를 하거나 자해를 해서 입원을 반복하는 경계선 성격을 가진 내담자는 치료 경과도 좋지 않았고, 치료자를 소진시키고 여러 치료자들을 전전하며 도움을 받지 못했다. 다른 정신장애에 효과적인 인지행동치료나 정신역동치료도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에게는 효과가 없는 경우도 많았던 만큼, 숙련된 치료자라도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을 치료하는 데는 많은 공을 들여야 했다.[1]


효과

DBT는 극단적 정서 증상을 가라앉히고, 충동적인 행동을 피할 수 있는 방법을 가르쳐준다. 또한 DBT는 반복되는 자살자해 행동을 막는 데 큰 효과가 있다.

인지 행동 치료 등이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의 외부 세계를 지각하는 관점을 바꿔 정서적 고통이 덜 발생하도록 하는 것이라면, 변증법적 행동 치료는 환자들이 위급하고 긴급한 상황에 처했을 때 쓸 수 있는 방법이다. 물론 DBT에 숙련될 경우 일상의 감정 조절 능력도 상승한다.

종류

DBT는 마음 챙김하기, 인간 관계에서 효과적으로 행동하기, 정서 조절하기와 고통 감내하기로 구성되어 있는데, 각 항목마다 구체적인 목표가 있는 기술을 가르쳐줘서 경계선 성격장애 환자들에게 자주 생기는 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는 문제 해결의 길잡이를 제공해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