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대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8일 (수) 10:24
Larodi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8일 (수) 10:24 판 (새 문서: 한국에서 수도권 외 지방에 위치한 대학교. 때로는 소위 '인서울 대학교' 이외의 모든 대학교를 지방대라고 하기도 한다. 카이스트포항공대는 지방대로 치지 않는다는 데에서 학벌주의를 엿볼 수 있다. == 존속 가능성 == 지방 사립대 연쇄 폐교 우려에도 한국 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는 것은 지방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한국에서 수도권 외 지방에 위치한 대학교. 때로는 소위 '인서울 대학교' 이외의 모든 대학교를 지방대라고 하기도 한다. 카이스트포항공대는 지방대로 치지 않는다는 데에서 학벌주의를 엿볼 수 있다.

존속 가능성

지방 사립대 연쇄 폐교 우려에도 한국 사회가 적극적으로 대책 마련에 나서지 않는 것은 지방대는 수도권대학보다 ‘능력이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1]

지방대 위기는 지방에 일자리가 없다는 한국사회의 구조적 문제와도 직결되는데, 국토균형발전에 대한 논의는 공회전하고 있다.[1]

출처

  1. 1.0 1.1 허윤 (2022년 12월 16일). “청소노동자 시위로 본, 지방대의 지속가능성”. 《한국일보》. 2022년 12월 28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