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토론:문서 구조 지침/이전 토론

최근 편집: 2017년 4월 14일 (금) 20:49

참조와 각주

토론 내용 이동 이 토론은 사용자토론:Viral의 2017-04-07T02:43:00판에서 옮겨진 내용입니다.

안녕하세요. 다름이 아니라 special:diff/31086 편집과 관련해서 한 가지 의견을 여쭙고자 합니다. 한국어의 표준어권에서 대체적으로 reference를 ‘참조’라고 번역하나, 해당 용어는 ‘참고로 비교하고 대조하여 봄’이란 의미로서 미디어위키 상의 reference는 오히려 ‘각주’에 더 가깝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또한 위키백과 도움말이나 미디어위키의 번역을 담당하는 translatewiki 번역에서도 이를 기본적으로 ‘각주’로 번역하고 있는데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감사합니다. --Garam (토론) 2017년 4월 5일 (수) 23:24 (KST)답변[답변]

안녕하세요 Garam님 :) 제 의견을 말씀드리자면... 페미위키에서는 출처를 주로 덧붙이는 목차명 참조틀:주틀:각주 목록을 통해 목차명 부연 설명으로 나눠서 사용하고 있어요. 이 기능을 모두 합쳐서 생각하면 각주라는 명칭도 괜찮은 것 같지만, 개인적으로 두가지 기능이 분리되어 사용되고 있는 상황에서는 참조가 조금 더 적절하지 않을까 생각해요. 그리고 이미 위키 내의 많은 문서들이 이런 구조로 서술되어있기 때문에 페미위키:문서 구조에서 각주로 수정하신 부분을 이 이야기가 완료되기 전까지 참조로 되돌려놓아도 될까요? :) --Viral (토론) 2017년 4월 6일 (목) 00:35 (KST)답변[답변]
답변 감사합니다. 사실 딱히 어떻게 쓰든 크게 상관은 없으나, ‘참조’는 ‘참고’와는 다르게 비교하고 대조를 통해 본다는 의미이기 때문에, 위키 내에서 출처라는 것이 ‘참조’라는 단어가 지니는 의미와는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하여 의견을 한 번 여쭈어본 것입니다. 참고로 위키백과에서는 앞서 말씀하신 부연 설명()를 ‘주해’라고 쓰고 그 외의 언론이나 학술지, 도서 등은 각주로 명기하고 있어서(예시로는 위키백과 내에서 가장 품질이 좋은 문서를 가리키는 ‘알찬 글’ 중 하나인 wikipedia:ko:강희제를 참고하세요.) 어쩌면 이러한 명칭이 초보자들에게 있어서는 더 명확하지 않나 하는 생각에서 말씀을 드린 것입니다. --Garam (토론) 2017년 4월 6일 (목) 23:25 (KST)답변[답변]
저도 의견 덧붙입니다. 저는 이왕 바꾼다면 참조나 주해는 뜻을 사전을 찾아서 봐야할 정도로 잘 감이 오지않는 단어라 뜻과 무관하게 좋지 않다고 보고, 부연설명➡참고, 레퍼런스➡출처 정도가 적당하지 않나 생각합니다. --렌즈 (토론) 2017년 4월 6일 (목) 23:34 (KST)답변[답변]
저도 이왕 바꾼다면 쓰기에도 수월한 단어였으면 좋겠어요. --Viral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03:44 (KST)답변[답변]
참고랑 출처로 바꾸자는 의견에 동의해요. '각주'라는 말은 조판에 있어서 주해의 위치(미주, 각주)를 구분하는 말에 가까운 것 같고, 참고와 출처는 주해의 내용을 구분하는 말인 것 같은 느낌이라서요. --탕수육 2017년 4월 7일 (금) 09:00 (KST)답변[답변]
저도 참고, 출처가 더 좋다고 생각합니다.--Pleasesica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21:54 (KST)답변[답변]
의견 이왕 ‘참고’를 쓸 것이라면 ‘참고’보다는 ‘참고 문헌’ 혹은 ‘참고 자료’가 더 명확할 것으로 보이네요. --Garam (토론) 2017년 4월 8일 (토) 01:16 (KST)답변[답변]
참고에 (위키의)주해를 담고 출처에 (위키의)각주를 담는다는 내용인데 다시 한 번 봐주시겠어요? 참고를 참고 문헌이나 자료로 바꾸면 같은 내용이 둘이 되어서 아마 헷갈리신 것 같습니다.--렌즈 (토론) 2017년 4월 8일 (토) 11:30 (KST)답변[답변]
제가 제안한 것과는 다소 다른 거 같긴 한데, 그거와는 별개로 ‘주해’를 ‘참고’라고 해버리면 오히려 더 혼란이 일어나지 않을까요. 왜냐하면 본디 ‘참고’는 살펴서 생각함을 뜻하는 것이라, 이것이 가리키는 바가 ‘주해’와는 거리가 조금 있다고 보여지기 때문입니다. --Garam (토론) 2017년 4월 8일 (토) 14:49 (KST)답변[답변]
제 생각에 참고의 參(참여할 참)은 나란하다, 비교하다라는 뜻이고, 考(생각할 고)는 생각한다는 뜻이니 읽는 사람으로 하여금 본문과 해당 내용을 나란히 놓고서 생각해 볼 수 있도록 하자는 의미에서 단어상의 큰 문제는 없어 보입니다. 주해에 대해서는, 뜻을 단다는 의미에서는 좋으나 가끔 뜻을 다는 것이 아닌, 흥미가 가는 비슷한 내용을 적을 때도 있으니 100% 충분한 뜻은 안 된다고 생각합니다. 참고라는 명칭에 오해의 소지가 있다면 대신 '참고해 주세요'와 같은 문장은 어떨까요? --렌즈 (토론) 2017년 4월 8일 (토) 15:28 (KST)답변[답변]
다시 생각해보니까 한자어는 어찌됐든 헷갈리는 점이 있으니 그냥 쉬운 말로 적는 것이 낫겠어요. 처음부터 생각하여 용도를 나누면,
  1. 본문의 문장이나 단어가 어려워서 뜻을 풀어서 다시 적는 것(주해)
    • 농담(물감 등이 진하고 연한 정도.) -물감 문서
  2. 본문에 다 적으면 흐름이 끊어지거나 하는 이유로 따로 적은 것
    • 자극적인 컨텐츠(선정적인 컨텐츠, 논란을 조장할 수 밖에 없는 내용의 컨텐츠 등.) -페이스북 문서
    • 드로흐(Droog)('Droog'는 네덜란드어로 'Dry', '건조한'을 뜻한다.) -드로흐 문서
  3. 본문에서 뻗어나갔지만 안 읽어도 상관 없는 내용
    • 공감 능력을 보여주는 '하품 옮기기'를 하는 몇 안되는 동물이다.(하품을 전파하는 동물은 사람, 침팬지, 개코원숭이, 개 뿐이다.) - 문서
그래서 위 세 가지를 만족하는 새 표현을 찾아보면 좋을 것 같습니다. --렌즈 (토론) 2017년 4월 8일 (토) 15:50 (KST)답변[답변]
(작성하신 예시들에 각기 1, 2-1, 2-2, 3안이라 번호를 메겼고, 이와 관련하여 제가 제시하는 안은 뒤에 *을 붙였습니다.)
3안은 그에 대한 근거를 그냥 cite web, news 등등으로 달고 인용 부분을 첨가하면 되지 않을까요? 각주를 쓰는 방식과는 별개로 글에 대한 근거가 없다면 그 내용이 사실인지 여부를 알기 힘들어, 이는 곧 해당 문서의 신빙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는 부분이라고 생각이 드네요. 2안은
  • 자극적인 컨텐츠, 가령 선정적이거나 논란을 조장할 수밖에 없는 내용의 컨텐츠 등 ~~~ (2-1안*)
  • 드르흐(네덜란드어: Droog; 뜻: 건조한)는 네덜란드의 디자인 그룹이다. (2-2안*-1) / 드르흐(네덜란드어: Droog)는 네덜란드의 디자인 그룹으로, 이름은 네덜란드어 Droog, 즉 ‘건조한’이란 뜻에서 유래했다. (2-2안*-2)
이런 식으로 써도 충분하지 않을까요? 2-1안은 굳이 풀어서 쓸 수 있는 것을 괄호로 쓰는 것은 위키나 사전에서는 시각적 측면에서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되어 2-2안*처럼 바꾸어보았고, 2-2안은 제가 작성한 2-2안*-1과 같이 wikipedia:ko:template:llang과 비슷한 느낌의 단순하고 명확한 내용의 틀을 적용시켜서 이를 각주 대신으로 대체하여 쓰거나, 아니면 2-2안*-2과 같이 2-2안*-1과 관련해서 언급한 이유와 동일한 관점을 적용한다면 그 내용을 풀어쓸 수도 있을 거 같네요.
(뭐랄까, 새벽에 글을 쓰다 보니까 말이 막 꼬여서 설명이 제대로 안 되는 거 같은데, 일단 미리 양해를 구해봅니다...) --Garam (토론) 2017년 4월 9일 (일) 03:36 (KST)답변[답변]
말씀하신 대로 한다면 현 부연 설명을 주해로 바꾸어도 문제 없겠네요. 그러나 별개로 말씀하신 내용에 대한 토론이 있어야 할 것 같습니다ㅠㅠ --렌즈 (토론) 2017년 4월 9일 (일) 04:00 (KST)답변[답변]
제 의견은, 현재 각주의 쓰임과 이용자 성향을 고려해 보면 2번과 3번을 각주로 남기지 않도록 강제하는 일은 너무 많은 자유도를 가져가, 신생 편집자의 편집 의욕을 깎을 것이 우려된다는 것입니다. 그러므로 2번과 3번을 줄이는 것은 개인의 자유로 남겨두고, 위키차원에서는 1~3을 포괄할 수 있는 단어를 쓰는 것이 어떤가 합니다. --렌즈 (토론) 2017년 4월 14일 (금) 20:49 (KST)답변[답변]
토론 내용 이동과 관련된 대화

이 토론 내용을 페미위키:문서 구조로 옮겨도 될까요 Garam님, 렌즈님? --Viral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02:06 (KST)답변[답변]

괜찮습니다~ --렌즈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02:17 (KST)답변[답변]

상관은 없는데 그냥 링크(사용자토론:Viral#참조와 각주)를 걸어도 되지 않을까요. 문서 역사 유지 차원에서 한 말으로, 만일 옮기고 싶으시다면 옮기셔도 괜찮습니다. --Garam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02:40 (KST)답변[답변]

일단 관련 토론 내용을 이동했습니다. 참조부연 설명에 대해 붙여뒀던 예시(<ref></ref>, 틀:주/틀:각주 목록)는 목차 혼동을 피하기 위해 삭제했습니다. 다른 분들 의견이 어떤지 들어보면 좋겠다는 생각에 내용 이동을 제안했었습니다 :) 제가 내용 이동 제안드린 부분부터 요 부분까지는 추후 글 숨김으로 접어두겠습니다 --Viral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03:44 (KST)답변[답변]

완료된 토론

같이 보기와 바깥 고리 각 항목 통일

현재 페미위키 문서들이 같이 보기 및 바깥 고리에 적히는 내용들이 문서마다 다릅니다. 다른 문서들의 스타일은 대강 다음 중에 하나인 것 같습니다.

하나를 정해 이 도움말 문서에 반영하고 점진적으로 통일을 하면 좋겠습니다. --렌즈 (토론) 2017년 2월 1일 (수) 15:07 (KST)답변[답변]

로 통일하는건 어떨까요? --Viral (토론) 2017년 2월 5일 (일) 00:34 (KST)답변[답변]
@ Viral 바깥고리는 이해가 가는데 같이보기가 잘 모르겠네요
이런 느낌인가요? --렌즈 (토론) 2017년 2월 5일 (일) 01:26 (KST)답변[답변]
제가 링크를 안했었네요(ㅠㅠ)! 단어를 보고 바로 이해가 갈 수 있거나 하는건 다른 문서 이름, 조금 설명이 필요한건 말씀하신 형태대로가 어떨까 싶어요 --Viral (토론) 2017년 2월 5일 (일) 01:29 (KST)답변[답변]
그러면 한 3일? 정도 의견 더 받고 문서에 적용할게요 감사합니다 --렌즈 (토론) 2017년 2월 5일 (일) 01:31 (KST)답변[답변]
문서에 반영하였습니다, 저도 이제부터 저렇게 할게요 --렌즈 (토론) 2017년 2월 7일 (화) 17:26 (KST)답변[답변]

Garam님께서 url과 링크 표식?을 앞뒤로 바꾸신 것(특수:차이/31182)이 혹시 url을 앞쪽으로 몰기위함이었다면, 트위터 틀과 페이스북 틀도 비슷하게 고치는 게 나을 것 같습니다. 혹시 까닭을 알 수 있을까요? --렌즈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10:48 (KST)답변[답변]

@렌즈: 제가 토론 문서를 미처 살펴보지 않고 했던 편집인데, 이렇게 편집한 이유는 인용 틀(가령, 틀:cite web)을 비롯한 일반적인 미디어위키 프로젝트 내에서 보통 링크가 쓰일 때에는 통상적으로 선 url 주소, 후 설명 구조로 사용하고 있어, 바깥 고리 역시 이렇게 정렬하는 편이 지금이나 이후의 사용자들, 더욱이 초보자들에게 헷갈리지 않고 명확할 뿐더러, 더 효율적이라고 판단했기 때문입니다. 이것이 페미위키 내 총의 형성과 대립한다면 되돌려도 상관은 없습니다. --Garam (토론) 2017년 4월 7일 (금) 17:56 (KST)답변[답변]
총의...는 형성이 됐는지는 잘 모르겠으나 위에 토론 보시다시피 특별한 이유 없이 시행?중이기 때문에 의견을 좀 더 편하게 말씀하셔도 괜찮을 것 같습니다. 개인적으로 인용 틀과 맞추자는 생각은 나쁘지 않다고 봅니다. ─이 글을 2017년 4월 8일(토) 11:39(KST)에 작성한 사용자는 렌즈이나, 서명을 하지 않아 Garam이 대신 서명하였습니다.
@Garam 영문 위키백과를 찾아봤는데, 인용을 위해서는 이미 존재하는 여러 포맷 중 적절하다고 생각되는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 같습니다만(wikipedia:WP:CITEVAR), 생각보다 인용에 대해서 엄밀하게 정해진 것들이 많아서 바깥 고리를 단순히 이와 비슷하게 보이는 것을 목표로 변경하기는 어려워 보입니다. 반면 바깥 고리에 대해서는, URL이 노출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기본으로 보입니다(wikipedia:WP:ELCITE). 그러나 저는 예를 들어 URL이 간결해서 외울만한 가치가 있는 경우에는 URL을 노출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그러므로 두 경우 모두 페미위키에서 그대로 따르기에는 무리가 있어 바깥 고리를 어떻게 꾸밀지는 따로 원칙을 몇 개 정해 규정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합니다. --렌즈 (토론) 2017년 4월 10일 (월) 16:06 (KST)답변[답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