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르노그래피에 관한 여성주의의 관점

최근 편집: 2017년 6월 10일 (토) 11:52
낙엽 봇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6월 10일 (토) 11:52 판 (참조→출처 (주제:Trmi5s7sexanlgk7 참고))
번역 중 이 글은 번역 중입니다. 번역을 도와주세요.

포르노그래피에 관한 페미니즘적 관점은 여성에 대한 폭력의 형태로서 포르노그래피를 비난하는 관점부터 페미니즘을 표현하는 매체로서 포르노그래피의 형태를 포용하는 관점까지를 아우른다.

이 문제에 관한 페미니즘 논쟁은 성적(sexuality) 페미니즘적 관점에 관한 큰 우려를 반영하고 있으며, 성 노동, BDSM 및 기타 이슈에 관한 페미니스트 논쟁과 밀접하게 관련되어있다.

포르노그래피는 페미니즘에서 큰 분쟁거리 중의 하나이며, 특히 영어사용국가의 페미니스트들 사이에서 분쟁거리이다. 이러한 페미니스트들 사이의 분쟁으로, 1980년대에 성 긍정론 페미니즘(sex-positive feminism)에 부딪쳐서 싸운 안티포르노그래피 페미니즘에서 발생한 여성주의 성 대립(Feminist sex wars)이 있다.

안티프르노그래피 페미니즘

안드레아 드워킨, 캐서린 맥키넌(Catharine Mackinnon), 로빈 모건(Robin Morgan), 다이아나 E. H. 러셀(Diana Russell), 알리체 슈바르처(Alice Schwarzer), 게일 다인즈(Gail Dines), 로버트 젠슨(Robert Jensen)처럼 포르노그래피에 반대하는 페미니스트들은 포르노그래피가 여성에게 해롭고, 여성에 대한 폭력의 원인이 되거나 여성폭력을 강하게 촉진시킨다고 주장하였다.

캐서린 맥키넌안드레아 드워킨은 개별적으로 포르노그래피가 여성에 대한 착취라는 입장을 명확하게 밝히며, 포르노그래피의 사용, 제작 및 유통으로 인해 발생한 것으로 보이는 해악에 대한 책임을 포르노그래피 제작자에게 제기하는 민법을 요구하였다.

1986년 Meese Report='포르노그래피에 관한 법무부위원회의 최종보고서'가 나오기 이전에, 안드레아 드워킨은 성매매와 하드코어 포르노그래피에 출연하는 여성의 65~75%가 근친상간 또는 아동성폭력의 희생자였다고 증명하였다.[1] 1980년대 안드레아 드워킨의 포르노그래피 반대운동은 국가적으로 관심을 끌었다.

생산 과정에서 여성에게 가해지는 폭력

캐서린 맥키넌과 같은 안티포르노그래피 페미니스트들은 포르노그래피 제작이 포르노그래피에서 출연하는 여성에게 신체적, 정신적, 경제적 강제를 부과한다고 비난하였다. 이러한 강요는 출연여성들이 일을 즐기고 있는 경우에도 나타났다.[2] [3] [4] 이것은 또한 포르노그래피에서 보여지는 것들이 본질적으로 폭력적이라는 것을 입증하고있다. 게일 다인즈는 곤조 포르노그래피(gonzo pornography)[5]처럼 포르노그래피가 점점 폭력적으로 변하고 있으며, 포르노그래피의 출연여성들이 제작과정에서 학대를 당한다고 주장하였다.[6]

The porn that makes most of the money for the industry is actually the gonzo, body-punishing variety that shows women's bodies being physically stretched to the limit, humiliated and degraded. Even porn industry people commented in a recent article in Adult Video News, that gonzo porn is taking its toll on the women, and the turnover is high because they can’t stand the brutal acts on the body for very long.

안티포르노그래피 페미니스트들은 트레이시 로드(Traci Lords)와 린다 러브레이스(Linda Boreman)와 같이 잘 알려진 포르노그래피 출연자들의 증언을 지적하며, 대부분의 여성출연자들이 다른 사람 또는 불행한 환경에 의해 포르노 그라피를 강요당한다고 주장하였다.

안티포르노그래피 페미니스트 영화운동은 특히 '시련(Ordeal. 자서전)'의 출판-"린다 러브레이스"의 이름으로 '딥 스로트(Deep Stroat)'에 출연한 린다 보어먼(Linda Boreman)가 남편 척 트레이너(Chuck Traynor)에 의해 맞고 강간당하고 포주가 되었으며, 척 트레이너가 '딥 스로트'의 씬을 만들어내기위해 린다 보어먼에게 신체적 폭력과 정서적 학대와 폭력적인 위협을 사용하며 총을 들이댔을뿐만 아니라 다른 포르노 영화에 출연하도록 공공연하게 강요했다고 고백한 내용에 의해 촉구되었다. 안드레아 드워킨, 캐서린 맥키넌 및 프로그래피에 반대하는 여성들은 린다 보어먼 지원에 관한 공개성명서를 발표하고, 공개적인 모임과 연설자리에서 린다 보어먼과 함께하였다.

음란물 노출로 인한 사회적 피해

여성의 성적 도구화

여성을 향한 성폭력 조장

아동 성폭행

인간의 신체와 성에 대한 왜곡된 시선

여성혐오(Misogyny)

반포르노 여성주의자 단체와 캠페인

입법 및 사법 활동

반포르노그래피 시민권 법(Antipornography Civil Rights Ordinance)

포르노 피해자 보상법

R.v. Butler

Robinson v. Jacksonville 조선소 사건

섹스 긍정주의와 반검열 여성주의 관점

섹스 긍정주의

검열에 대한 여성주의적 비판

여성주의적 포르노그라피

관련 논쟁

포르노그래피 vs. 에로티카

성노동자

여성주의 포르노 제작자

같이 보기


출처

  1. Dworkin, Andrea (1989). 〈Pornography is a civil rights issue: 1986〉. Dworkin, Andrea. 《Letters from a War Zone: Writings, 1976-1989》. New York: E.P. Dutton. 278, 300–301쪽. ISBN 9780525248248. 
  2. Shrage, Laurie (Fall 2015), "Feminist perspectives on sex markets: pornography", Edward N. Zalta (13 July 2007).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3. MacKinnon, Catharine (1983). “Not a moral issue”. 《Yale Law & Policy Review》 74 (2): 321–345. ISSN 40239168 |issn= 값 확인 필요 (도움말). 
  4. “A Conversation With Catharine MacKinnon (transcript)”. 《PBS》. 
  5. 관람자가 현장에 직접 참여하는, 이벤트성 포르노영화 스타일.
  6. Dines, Gail (2008년 6월 23일). [hhttp://www.counterpunch.org/2008/06/23/penn-porn-and-me/ “Penn, porn and me”]. 《CounterPunch》. 

(이 문서는 영어 위키백과Feminist views on pornography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