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활란

최근 편집: 2018년 2월 12일 (월) 17:52
정사나눔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2월 12일 (월) 17:52 판 (이미 위키백과에 서술되어있을 정도로 공론화 되어 있는 사실이므로 삭제나 수정시 적절한 근거를 부탁드립니다.)

김활란(한문: 金活蘭, 일본식 이름: 아마기 가쓰란(天城活蘭), 자는 기득(己得). 호는 우월(又月). 세례명 헬렌(Hellen), 1899년 1월 18일 ~ 1970년 2월 10일)은 일제 강점기의 일제 여성운동가, 언론인이자 교육자이다.

한국여협 초대회장이었던 김활란을 기리기 위해 사후에 김활란 여성지도자상이 제정되었다. '김활란 여성지도자상'은 여성의 정치·경제·사회적 발전과 양성평등 실현을 위해 리더십을 발휘한 여성 지도자에게 수여된다.

또한 자신의 제자를 전쟁터에 보낸=위안부로 보낸 몇 안돼는 여성 페미니스트이기도 하다.

생애

상훈

  • 교육 부문 대한민국장 - 1963년 8월
  • 일등수교훈장 - 사후인 1970년에 추서되었다.

친일 행적

김활란은 일제강점기 당시 학생들의 징병·징용을 독려하는 등의 친일 행적으로 지난 2002년 친일파 708인 명단에 선정된 바 있으며 2008년 발간된 <친일인명사전>에도 등재되었다.

이화여대 친일청산 기획단

이화여자대학교 친일청산 프로젝트 기획단’(이하 기획단) 소속 학생 10여명은 서울 이화여대 정문에서 ‘김활란 친일행적 알림팻말 세우기 선포식’을 열었다. 기획단 소속 학생들은 기자회견에서 “민족을 배신한 사람은 이화의 ‘큰 스승’이 아니다”라며 “김활란의 친일 행적을 이화인들에게 알리기 위해 친일행적을 적은 알림 팻말을 동상 앞에 세우겠다”고 밝혔다.[4]

출처

  •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김활란 문서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1. 1.0 1.1 1.2 1.3 1.4 1.5 1.6 1.7 “인물사전 / 김활란(金活蘭, 1899. 2. 27~1970. 2. 10)”. 《기독교대한감리회 역사자료 DB》. 2018년 1월 20일에 확인함. 
  2. “역사”. 《한국YMCA연합회》. 2018년 1월 20일에 확인함. 
  3. “주요연혁”. 《한국YMCA연합회》. 2018년 1월 20일에 확인함. 
  4. 이대 학생들, ‘초대 총장’ 김활란 친일행적 알리기 나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