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ㆍ위키 사업 사례 열람

최근 편집: 2022년 12월 16일 (금) 03:55

페미니즘 관련 사업 사례

페미니즘에 관련한 크고 작은 사업과 기획을 다룹니다. 그 중에서도 페미위키와 연관성이 높아보이거나 페미위키가 단체로서 참여할수 있어보이는 것을 선별했습니다.

공동행동

여성주의 공동행동에는 여성주의를 표방하는 시위 혹은 행진을 포함했습니다.

사례

3시STOP여성파업 (바로가기)
3시STOP 공동행동에서는 2017년부터 해마다 성별임금격차 해소를 요구하며 3시STOP 조기퇴근시위를 조직해왔습니다. 이는 2020년을 맞아 3시STOP여성파업으로 전환되어 좁은 의미에서의 여성노동 뿐만 아니라 꾸밈노동, 가사노동 등 더 넓은 의미의 노동을 포함하는 운동으로 변화하였습니다. 오마이뉴스의 기획연재를 통해 채용성차별, 최저임금, 직장문화, 사상검증 문제를 다루기도 했습니다.
Women’s Global Strike (바로가기)
여성국제파업은 ‘If women stop, the world stops(여성이 멈추면, 세계도 멈춘다)’라는 슬로건으로 세계각지의 여성들의 파업을 촉구하는 프로젝트입니다. 선언문에서 여성이 겪는 구조적 가난과 착취, 여성이 겪고 있거나 겪어야하는 기후변화의 여파, 그리고 가사노동돌봄노동의 저평가와 성별임금격차를 지적하며, 억압적인 권력구조에 대항해 사람과 지구를 위한, 인권, 식량주권, 기후정의를 수호하는 대안적 발전 모델을 요구합니다. 여성 파업 촉구 정치선언문은 한글로도 읽을 수 있습니다.
Women’s March (바로가기)
여성행진은 다양한 여성의 힘을 모아 사회변화를 이끌어내기위한 운동입니다. 다양한 문제에대한 교차성 교육을 제공하고, 새로운 풀뿌리 운동가를 양성하기위한, 여성이 주도하는 운동입니다. 여성행진은 비폭력저항 정신을 바탕으로 자결, 존엄, 존중의 가치를 따르는 포용적인 커뮤니티를 건설함으로서 억압의 구조를 해체하고자합니다.

가시화 프로젝트

다양한분야에서 그동안 가려져있었던 여성의 존재와 역할을 재정의하고 재조명하는 가시화 프로젝트들을 다룹니다.

사례

#여성독립운동가가시화프로젝트 (바로가기)
여성위키에서는 300명의 여성독립운동가의 이름을 담은 비디오를 제작하여 배포하였습니다.
세계 여성의 날 - 기억해야 할 이름들 2020 (바로가기)
엠네스티 한국지부에서는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여성인권운동가들을 소개하는 페이지를 만들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소개된 여성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 나스린 소토데 Nasrin Sotoudeh
  • 서지현
  • 마리엘 프랑코 Marielle Franco
  • 야사만 아리아니 Yasaman Aryani
  • 김복동
  • 녹색 물결 7인의 여성
WikiWomen’s History Month (바로가기)
위키여성의 역사의 달은 위키에서 주최한, 글, 이미지의 제작을 촉구하고, 국제적 행사와 에디터톤등을 조직하는 캠페인입니다. 위키여성 역사의 달동안 만들거나 더 확장해야할 문서를 제시하기도 하고 Women in Red, Art+Feminism 2020등의 행사를 조직하기도 하였습니다.
오월여성제 (바로가기)
오월여성제는 1989년부터 시작된 행사로 518민중항쟁에 참여한 여성들의 투쟁과 활동을 발굴, 기억하고 시민들과 공유하기위해 매해 518주간마다 개최되고있습니다. 체험구술집 <광주, 여성>을 기획 발간하기도 하고 2010년 한겨레에 ‘길을 찾아서 - 5월을 지켜온 여성들'이라는 기획연재를 싣기도했습니다.
Wogrammer (바로가기)
워그래머는 편견을 깨부수고 더 많은 여성과 소녀들이 이공계직종에 종사하도록 영감을 주기위한 단체입니다. 소개글에서 워그래머의 이야기는 고유한 시각을 가진 다양한 여성의 이야기이며 그들의 성과를 기념하고 재조명하는 이야기라고 밝히고 있습니다.
#Womaninus (바로가기)
딜리헙은 독립 컨텐츠 크리에이터들이 지속적인 창작활동이 가능할수있도록 독자가 직접 작가를 후원할수있도록 돕기위해 마련된 플랫폼입니다. 딜리헙에서는 2020년 여성의날을 맞이하여 여성서사 가시화 프로젝트인 우머니너스를 개최했습니다. 참여자들이 추천하고 싶은 여성서사의 이미지, 제목, 그리고 간단한 리뷰를 작성하여 여성서사의 가시화를 촉구한다는 내용입니다.

위키 관련 사례

위키 관련한 다양한 사례를 다룹니다.

에디터톤

각기 다른 에디터톤 사례입니다. 페미위키 에디터톤 행사는 내부자료를 참고해주세요.

사례

The Art+Feminism Wikipedia edit-a-thon (바로가기)
Art+Feminism은 위키피디아 내의 페미니즘, 젠더 그리고 예술에대한 지면을 향상시키기위한 함께하기 캠페인입니다. 위키피디아는 2011년에 13% 미만의 기여자만이 여성이라는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이에 2014년 설립되었고 7000명 이상의 사람들이 500회 이상의 행사를 통해 11000개 이상의 문서를 편집하거나 만들었습니다.
위키 갭 에디터톤 (바로가기)
위키 갭은 2018년부터 시작된, WIkimedia Sverige와 스웨덴 외교부가 주최하는 에디터톤입니다. 위키 갭은 뉴델리와 스톡홀름의 스웨덴 외교부가 여성의 날을 기념하여 개최한 사개국어 자매 에디터톤으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세계각국에서 200여명 이상의 편집자들이 390개 이상의 문제를 편집하거나 만들었습니다.
위키 여성의 방 에디터톤 (바로가기)
위키 여성의 방 에디터톤은 여성 편집자 커뮤니티를 지원하기 위한 정기 오프라인 모임입니다. 2018년 위키미디어 재단 보고서의 프로젝트 전체 기여자 중 여성이 참여하는 비율이 9%에 불과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여성의 참여를 촉구하기위해 시작되었습니다.

아카이빙 프로젝트

사례

이공계 내 성차별 아카이빙 프로젝트 (바로가기)
이공계 내 성차별과 성희롱 사례를 수집하고 공유하는 아카이빙 프로젝틥니다. 페미회로라는 5개 과학기술 중점 대학의 구성원이 모여 만든 단체의 소속으로, 이공계 커뮤니티 내부의 다양하고 수많은 성차별과 성희롱 사례를 수집하여 이에관한 인식을 확산시키고자 시작되었습니다. 사례 일부를 과학기술정책읽어주는남자들이라는 팟캐스트에서 소개하기도 합니다.
스쿨미투 아카이빙 프로젝트 (바로가기)
여성위키에서는 민원총공 서포트 웹사이트를 개설하여 뉴스 기사를 수집하고, 각 재단에대한 기사총공과 규탄시위를 아카이빙하였습니다. 여성위키는 교육부, 여성가족부, 보건복지부의 청소년 담당 권한을 회수한 후 근거법을 폐지하고 아동청소년 담당 부처를 신설할 것을 요구하고 전국의 모든 학교를 경찰조사하고 청소년들을 보호할 것, 성폭력가해자의 교원자격정지와 관련업종 재취업 금지를 요구했습니다.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 - 오픈아카이브 (바로가기)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사료관은 한국 민주화운동 사료를 수집, 정리, 보존하는 곳입니다. 사료관은 이를 통해 민주화운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사회로 다시 돌려주어 민주화운동 이후의 민주주의를 공고히하는데 기여하고자 합니다. 프로젝트의 키워드는 발행, 컨텐츠, 연결로, 컨텐트 관리 시스템을 이용해 발행하고, 모바일 중심적 콘텐츠 서비스를 제공하며, 궁극적으로 기록정보와 사람을 연결한다는 내용입니다.
제주4ㆍ3아카이브 (바로가기)
제주4ㆍ3아카이브는 사회 각계의 이용자들에게 4ㆍ3에관한 자료를 제공하고 자료의 소실을 예방하여 영구보존하고자 합니다. 제주4ㆍ3아카이브에는 관련 자료 약 1만 2000여건이 보관되어있고 모두 온라인으로 검색할수 있습니다. 이 자료에는 <May Day in Cheju-do(1948)>의 원본영상, 형무소 및 후유장애 등 주제별 증언영상과 제주MBC에서 제작한 4ㆍ3증언 <나는 말한다(2001)> 등의 미디어 자료등이 보관되어 있습니다.

기타 참고 사례

페미니즘이나 위키와 직접적 연관은 없지만, 페미위키가 앞으로 고려했으면 하는 주제들과 관련한 사례를 다룹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정보의 대중화에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반드시 수반되어야합니다. 정보 권력이 분산되는 만큼 정보의 출처가 불분명해지고, 가짜 정보도 공신력이 있는 매체의 목소리를 빌려서 진짜인것처럼 받아들여지기 쉽습니다. 정보를 비판적으로 수용할줄 아는 것은 위키 편집자와 이용자 모두에게 아주 중요한 일일 것입니다.

사례

Student Reporting Labs (바로가기)
학생 뉴스 연구소는 PBS (미국 공영방송국)에서 주최한 행사로, 학생을 대상으로한 영상 저널리즘 체험학습의 기회를 제공하는 목적으로 기획되었습니다. 학생 뉴스 연구소는 프로젝트를 기반으로 비판적 사고하기, 문제 해결하기, 협업하기, 그리고 소통하기를 배울수있도록 하는것이 목적입니다.
Admongo (바로가기)
미국의 FTC(The Federal Trade Commission)는 소비자를 보호하기 위한 기관으로서 허위, 과장광고나 잘못된 마케팅을 금지하도록 할 의무가 있습니다. 이를 위해 애드몽고라는 게임을 개발, 8세에서 12세 사이의 어린이들이 광고들을 접할 때, 그 광고 안에 어떤 메시지가 있는지, 어떻게 해야 광고를 더 잘 분석하고 이해할수 있는지, 그리고 더 영리한 소비자가 되는것이 어떻게 더 좋은 일인지를 배울수있게 하였습니다.
State of Deception The power of Nazi Propagana (바로가기)
United States Holocaust Memorial Museum (미국 홀로코스트 기념 박물관)에서는 디지털 전시를 이용해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을 배울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이 전시는 무엇이 프로파간다인지, 왜 프로파간다가 위험한지에대해 알리는 한편 나치주의에대한 경각심을 가질수 있도록 역사교육교재를 제공하고있습니다.

관련 단체

시청자미디어센터 (바로가기)
시청자미디어센터는 표현의 자유, 공적 정보에대한 알권리, 민주적 여론형성의 보장과 시민공론장 활성화를 위해 미디어의 건강한 발전을 도모하고 미디어에대한 국민의 주권을 발현하도록하기 위해 설립되었습니다. 시청자미디어센터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자료를 제공하고 방송시설 및 장비를 지원해 모두가 더 쉽게 정보생산권에 접근할수있도록 하고있습니다.
페미니스트 연구 웹진 Fwd (바로가기)
포워드는 페미니스트들의 이야기를 지식으로 엮어내기 위해 고민하고 이야기들을 비판적으로 사유하기 위해 만들어진 연구웹진입니다. 웹툰과 만화부터 연극, 소설, 영화등 다양한 매체에대한 양질의 페미니즘 비평을 무료로 제공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