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서울 지하철 3호선

최근 편집: 2021년 10월 31일 (일) 07:19

틀:수도권 전철 목록 틀:철도 노선 정보

서울 도시철도 3호선(서울 지하철 3호선)은 경기도 고양시 지축역서울특별시 송파구 오금역을 잇는 도시철도 노선이다.

지축역대화역을 잇는 일산선직결운행하는데, 이 운행계통수도권 전철 3호선이라 부르기도 한다. 직결운행 초기에는 노선도에 일산선이 국철로 표기되고 노선색도 3호선과 달랐지만, 2000년 4월 1일부터 모두 합쳐 3호선으로 표기하고, 노선색도 통일하였다.

역사

노선 연장

다음을 참고할 것 일산선 일산선의 건설 목적인 일산신도시가 완공됨에 따라 소기의 건설 목적을 달성한 노선이지만, 2000년대 이후 개발된 운정신도시의 행정구역인 파주시에서는 일산선 종착역인 대화역에서 북쪽으로 연장하여 덕이지구나 가좌지구를 거쳐 운정신도시 중심을 관통하는 노선의 연장을 요구하고 있다. 차량기지 이전 등 조건을 내걸면서 파주 연장을 적극적으로 추진한 결과, 2016년 발표된 제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에 포함되었으며, 계획에 따르면 대화역에서 운정신도시 중심부까지 약 7Km 가량을 연장하며, 2022년에 착공하여 2027년에 완공한다는 내용[1]이다. 연장 계획이 구체화 되면서 해당 지역의 주민들은 반색을 표했으나 완공시기가 너무 늦다면서 빠른 착공을 촉구하는 여론도 형성되는 상황이다.

운영

대화 - 오금, 대화 - 수서, 구파발 - 오금, 구파발 - 수서로 운행한다.

운행차량

특징

직류 전용 노선
당초 일산선은 운영사인 철도청의 운행방식에 따라 좌측통행에 25 kV 교류전원을 도입할 계획이었다. 그러나 감사원에서 이렇게 될 경우 직교류 겸용 전동차를 도입하는 비용[2]과 승객들이 교류에서 직류로 바뀌는 지점에서 갈아타야한다는 점을 지적하여, 일산선은 서울 도시철도와 동일 규격으로 지어지게 되었다.[3]3호선의 평화는 지켜졌다.
한국철도공사 전동차 위탁 검수
일산선 운행 목적으로 도입된 코레일 3000호대 전동차는 일산선에 별도의 철도공사 소속 차량기지를 건설하지않고 대신 서울교통공사의 차량기지인 지축차량사업소에 차적을 등록하여 운행종료 후 해당 기지에 입고하여 서울교통공사의 관리를 받는다. 철도공사 소속 기관사들은 대곡역 (고양)에 설치된 차량승무사업소를 통해 근무교대를 하며, 지축역의 위치는 이런 특성을 감안하여 도시철도 3호선의 마지막역인 구파발역과 철도공사 구간인 삼송역 사이에 건설되었으며, 지축역은 일산선 직결이 확정된 이후 당초 6량 규격으로 건설되었던 지점을 연장하여 10량 규격으로 건설하면서 나머지 4량 규격의 구역은 철도공사가 시공하였기에 현재도 구역구분 경계석이 남아있다.
일산선의 불량한 선형
원래 3호선의 연장은 일산쪽 방향이 아닌 벽제쪽 방향이었다. 따라서 마지막 역인 지축역은 이러한 계획을 염두에 두고 위치를 잡았으나, 이후 일산신도시 건설계획이 발표되고, 정부 주도하에 신도시의 교통편의를 위한 일산선 건설 및 신도시 주민들의 서울 통근 편의성을 위하여 3호선과의 직결이 결정되면서 일산선 구간의 굴곡진 선형이 시작되었다. 일산선은 또한 철도청 광역전철 성격보다 도시철도의 성격이 강했으므로, 일산신도시와 지축역 사이에 건설된 주거지역인 화정지구와 원당지구를 모른체 할 수 없었기에 최종적으로는 일산에서 화정으로 크게 휘어지고, 또다시 원당을 거쳐 지축으로 이어지는 현재의 선형이 완성되었다. 이러한 굴곡진 선형으로 인하여 일산신도시에서 3호선을 이용하여 서울로 진입하는데 시간 소요가 늘어나게 되었으며, 이로인해 일산신도시 주민들은 시간절약 효과가 큰 서울방면 광역버스[4]를 주로 이용하게 되었다.

역 목록

틀:세로 번호 km 역명 연계 노선 소재지
지축 대화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09 -19.2 0.0 대화 틀:세로 일산서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0 -17.8 1.4 주엽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1 -16.2 3.0 정발산 일산동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2 -15.3 3.9 마두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3 -13.9 5.3 백석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4 -7.8 7.8 대곡 경의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서해선
교외선
덕양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5 -9.3 9.9 화정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6 -6.7 12.5 원당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7 -3.8 15.4 원흥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8 -1.7 17.5 삼송
rowspan="2"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19 0.0 19.2 지축 일산선 (연결)
틀:세로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0 1.5 20.7 구파발 틀:세로 은평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1 3.5 22.7 연신내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6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2 4.8 24.0 불광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6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3 5.9 25.1 녹번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4 7.5 26.7 홍제
(서울문화예술대)
서대문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5 8.4 27.6 무악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6 9.5 28.7 독립문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7 11.1 30.3 경복궁(정부서울청사) 종로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8 12.2 31.4 안국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29 13.2 32.4 종로3가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1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5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0 13.8 33.0 을지로3가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2호선 중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1 14.5 33.7 충무로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4호선 (연결)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2 15.4 34.6 동대입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3 16.1 35.3 약수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6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4 16.9 36.1 금호 성동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5 17.7 36.9 옥수 경원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경의·중앙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ITX-청춘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6 19.8 39.0 압구정 강남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7 21.3 40.5 신사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신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8 22.2 41.4 잠원 서초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39 23.4 42.6 고속터미널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7호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9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0 25.0 44.2 교대(법원·검찰청)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2호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1 25.9 45.1 남부터미널(예술의전당)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2 27.7 46.9 양재(서초구청)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신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3 28.9 48.1 매봉 강남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4 29.7 48.9 도곡 분당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5 30.5 49.7 대치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6 31.3 50.5 학여울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7 32.2 51.4 대청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8 33.4 52.6 일원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49 35.2 54.4 수서 수서평택고속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SRT
분당선: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수인·분당선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50 36.6 55.8 가락시장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8호선 송파구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51 37.4 56.6 경찰병원
style="background: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색; color: white;" | 352 38.2 57.4 오금 틀:대한민국 철도 노선 5호선 마천지선
  1. 3차 국가철도망 구축계획 지하철 3호선 파주 운정신도시까지 연장, MBN, 2016년 6월 18일
  2. 직류와 교류를 전환시키는 컨버터의 추가 비용이 발생한다.
  3. 서울시-철도청 건설방식 이견 일산선 전철 완공 지연, 한겨래, 1992년 8월 6일
  4. 대표적으로 일산과 서울역을 이어주는 1000번, 일산에서 당산을 거쳐 영등포를 이어주는 870번 등이 있다.

틀:대한민국의 철도 노선 틀:대한민국의 광역전철 노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