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임

최근 편집: 2016년 11월 20일 (일) 00:53
Tara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11월 20일 (일) 00:53 판 (내용 추가 및 정리, 함께보기 추가)

피임(contraception)이란 임신을 예방하기 위한 모든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현재도 새로운 피임 방법들이 연구되고 있으며, 많은 종류의 피임법이 존재한다.

개요

임신을 원치 않는다면, 즐겁고 건강한 성관계를 위해서는 피임이 필수적이다. 생물학적 자손을 원치 않을 때, 자녀의 터울을 조절할 때 등 다양한 상황과 목적에서 이루어진다.

종류/방법

콘돔

재질은 주로 라텍스이다. 남성 성기에 씌워 삽입 후 사정시에 여성기에 정액이 들어가는 것을 막는다. 잘못된 방법으로 착용하면 찢어지거나 터질 수 있다.

여성 경구피임약

하루에 한 번, 한 달 내내 섭취(25알은 호르몬 제제, 5알은 습관을 위한 위약)함으로써 임신상태로 착각하게 해 배란을 막는 피임약. 흡연여성은 경구피임약을 섭취할 시 혈전이 생겨 위험할 수 있으므로 절대로 섭취해서는 안 된다. 구역질, 어지럼증, 두통, 소화불량, 여드름, 체중증가, 우울증 등의 부작용이 있다.

미레나

경구피임약과 유사한 호르몬 제제. 피하에 삽입해 호르몬을 천천히 방출하도록 함으로써 몸을 임신상태로 착각하게 해 배란을 막는다. 구역질, 구토, 소화불량, 두통, 체중 증가, 여드름, 부정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다.

임플라논

미레나와 유사한 피하삽입 호르몬제제 피임기구. 2~3cm 정도의 캡슐을 피부 밑에 주사로 삽입하게 된다. 구역질, 구토, 소화불량, 두통, 체중 증가, 여드름, 부정출혈 등의 부작용이 있다.

루프

자궁에 우산살 모양의 금속 구조물을 삽입하는 피임기구. 구리 성분이 조금씩 배출되어 자궁 내벽에 약한 염증반응을 일으킴으로써 착상이 불가능케 해 피임 기능을 한다.


응급피임약

피임 없이 성관계을 맺은 이후, 임신을 막기 위해 여성이 섭취하는 사후 피임약. 경구피임약의 수십~수백 배에 해당하는 양의 호르몬이 들어 있어 구토, 어지럼증, 하혈 등을 유발할 수 있다. 성관계 후 12~48시간 내에 섭취해야 하지만 전문의약품이라 처방받기가 까다롭고, 가격도 비싸다. 대중적으로는 사후피임약이라는 이름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는 여성에게 치명적인 약품의 위험성을 축소하는 이름이다. 사후피임약이 아니라 응급피임약이며, 부작용이 아주 빈번히 일어나므로 '그냥 안에 싸고 사후피임약 먹으면 안 돼?'라고 말하는 쓰레기와는 빨리 멀어지시길.

남성경구피임약

곧 상용화된다고 하는 남성용 경구 피임약, 한달에 한번만 섭취해도 되는 형태로 아주 편리하다고 한다. 그러나 남성용 피임약 개발은 기술적인 문제보다 심리적 요인 때문에 지연되어왔다. 1960, 70년대 각각 남성용 피임약 발매 계획이 있었으나 성공하지 못했다. 남성용경구피임약 또한 여성용과 마찬가지로 두통, 메스꺼움, 체중 증가 등의 부작용을 일으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어, 피임약을 쓰겠다고 나서는 남성의 수가 적다.

참고

  • 질외사정은 피임방법이 아니다.
  • 고양이 피임약 - 중성화 수술 대체

여담이지만 고양이 구호 단체에서도 중성화 수술을 대신해 사용할 목적으로 수컷 경구피임약을 무척 기다리고 있다.

함께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