루인

최근 편집: 2019년 8월 13일 (화) 23:57
루치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8월 13일 (화) 23:57 판 (언론 및 기고글 추가)

루인한국젠더학자, 퀴어학자, 트랜스페미니스트이다.

이력

한국 최초의 트랜스젠더 인권단체 성전환자인권연대 지렁이에서 활동했다.

트랜스/젠더/퀴어연구소와 한국퀴어아카이브 퀴어락에서 공부하고 있다. 트랜스젠더퀴어 인식론을 모색하고 그 정치학으로 역사와 문화를 다시 쓰고 있다.[1]

학력

  • 서강대학교 2006년 2월 졸업 (학사)
  • 서강대학교 대학원 여성학협동과정 석사 2009년 2월 졸업(졸업논문: 젠더 범주의 다중성 연구)
  • 연세대학교 문화학협동과정 박사과정 2012년 3월 입학, 재학중

저서

논문

  • 젠더를 둘러싼 경합들 gender dysphoria - 트랜스/젠더 정치학을 모색하며, 2006, 여/성 이론 통권 제15호
  • 콜린스의 “흑인 페미니즘”을 봉합사 삼아 트랜스페미니즘을 모색하기 위한 메모, 2009, 여/성 이론 통권 제 21호
  • 수잔 스트라이커 - 트랜스젠더 페미니즘, 역사, 그리고 동성애규범성, 2012, 여/성 이론 통권 제26호
  • 캠프 트랜스 1960 ~ 1989, 2012, 문화연구 통권 제1호
  • 포착 불/가능한 몸, 2013, 문화연구 통권 제2호
  • 젠더, 인식, 그리고 젠더 폭력 - 트랜스(젠더)페미니즘을 모색하기 위한 메모, 네번째, 2013, 여성학논집 통권 제30호
  • 남성/성 연구는 젠더 연구인가?, 2013, 한국여성문학학회 학술대회 자료집 2013
  • 퀴어문화축제와 LGBT/퀴어를 향한 기독교 근본주의 집단의 언설을 다시 생각하기, 2015, 실천문학 통권 119호
  • 괴물을 보호하라 - 김수창 사건을 퀴어 정치학으로 다시 읽기, 2015, 인물과사상 통권 212호
  • 퀴어와 공간의 관계 재구성 - 영화 <불온한 당신> (이영, 2015)의 바지씨 이묵을 통해 한국이라는 공간의 이성애 규범성과 도시-촌락 이분법 탐문하기, 2015, 공간과사회 통권 제28호
  • "Discussing Transnormativities through Transfeminism: Fifth Note, 2016, Transgender Studies Quarterly(TSQ)
  • 젠더로 경합/불화하는 정치학 - 트랜스젠더퀴어, 페미니즘, 그리고 퀴어 연구의 이론사를 개괄하기, 2018, 여/성 이론 통권 제38호

공저

  • <젠더의 채널을 돌려라> 사람생각, 2008년, ISBN 9788988686492(8988686497)
  • <남성성과 젠더> 자음과모음, 2011년, ISBN 9788957075517
  • <성의 정치 성의 권리> 자음과 모음, 2012, ISBN 9788956066139(8957077138)
  • <여성 혐오가 어쨌다구?> 현실문화연구가, 2015, ISBN 9788965641704(8965641705)
  •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교양인, 2017년, ISBN 979-11-87064-08-4, [세트] ISBN 979-11-87064-07-7
  •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2017년, ISBN 979-11-87064-13-8, [세트] ISBN 979-11-87064-07-7
  • <퀴어 페미니스트, 교차성을 사유하다> 도서출판 여이연, 2018년, ISBN 978-89-91729-37-7
  • <미투의 정치학> 교양인, 2019년, ISBN 979-11-87064-34-3

역서

  • <트랜스젠더의 역사: 미국 트랜스젠더 운동의 이론, 역사, 정치> 이매진, 2016년, ISBN 9791155310724(1155310721)

아카이빙

  • 트랜스젠더퀴어 연대기 [1]

링크

언론

2006년

  • 2006. 09. 06. 나를 증명할 길은 수술뿐인가 [2]

2008년

  • 2008. 01. 16. 남녀 화장실을 차별이라 따져야 하나 [3]

2013년

  • 2013. 10. 08. 그런즉 외모로 젠더를 예단 말지니 [4] [5]


기타

2008년

  • 2008. 09. 26. 외면을 통해 조우하기 [6]
  • 2008. 11. 10. “당신의 젠더를 어떻게 부르면 될까요?” [7]

2010년

  • 2010. 06. 12. 불안과 명명의 정체성, 논쟁: 범주, 트랜스/젠더, 남성성 [8]

2011년

  • 2011. 02. 22. 젠더포비아: 어느 트랜스젠더/’복장도착자’의 죽음 [9]

출처

  1. 도란스 (26 May 2017). 《한국 남성을 분석한다》. 교양인. ISBN 979-11-87064-13-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