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계성 인격장애

최근 편집: 2022년 8월 19일 (금) 00:29
열심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8월 19일 (금) 00:29 판 (→‎감정과 정서)

경계성 인격 장애(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는 불안정한 관계, 왜곡된 자기 감각 및 강한 정서적 반응의 장기적인 패턴을 특징으로하는 성격 장애로 정신 장애의 일종이다.[1] [2] [3]부르기에 따라 경계성 대신 경계선이라는 말이 쓰이기도 하며, 인격장애라는 말 대신 성격장애라는 말도 쓰인다. 병명으로 인한 낙인과 기타 문제 때문에 병명을 바꿔야 한다고 주장하는 사람이 있었고, 현재에는 정서적 불안정 성격 장애 (EUPD)라고도 부른다.[4]드라마나 영화를 통해 편견이나 잘못된 인식이 많은 병 중 하나이다. 급격한 기분전환으로 인해 일반인들은 이 장애를 흔히 조울증으로 착각하기도 한다. 이 장애를 앓는 사람들은 자해 및 기타 위험한 행동을 종종 한다.[5] 이들은 또한 만성적 공허감 , 유기에 대한 강한 두려움(흔히 유기불안으로 표현됨), 해리 증상(이인증)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다. BPD의 증상은 다른 사람에게 아무렇지 않은 것으로 간주되는 사소한 사건에 의해서도 유발된다. BPD는 일반적으로 성인 초기에 시작되며, 다양한 상황에 의해 발생한다. 약물 중독, 우울증, 섭식 장애는 일반적으로 BPD와 관련이 있다. 이 장애를 앓는 사람의 약 10 %가 자살로 사망하며, 다른 정신 질환과 겹칠 경우 사망률은 더 높아진다. 이 장애는 미디어와 정신과 임상 현장에서 모두 강하게 낙인찍혀 있으며, 그로 인해 환자들은 곤란을 겪는다. [6] 특히, 한국의 의사들은 환자들에게 경계성 인격장애라고 진단하기를 매우 꺼려하는 편이며, 이는 경계성 인격장애 환자들이 정확한 의료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을 더 어렵게 한다.

BPD의 원인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지만 유전적, 신경학적, 환경적, 사회적 요인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1] [7] 이 장애는 자살유가족에게서 약 5 배 더 자주 발생하며, [1] 과거의 해로운 사건도 역할을 하는 것으로 보인다. [8] 기본 메커니즘은 뉴런전두엽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다. [8] BPD는 정신 장애 진단 및 통계 매뉴얼(DSM)에 의해 성격 장애와 함께 다른 9 가지 장애로 인식된다. [2] 이 장애로 진단받기 위해서는 다른 질환 중에서도 정체성 문제 또는 물질 사용 장애와 구분되어야 한다. [2]

BPD는 일반적으로 인지 행동 치료(CBT) 또는 변증법적 행동 치료(DBT)와 같은 심리 요법으로 치료한다. 인지 행동 치료는, 왜곡된 자기 평가로 인한 정서적 고통을 완화할 수 있으며, 변증법적 행동 치료는 이 장애에서 자살 위험을 줄일 수 있다. [1] 이 장애의 치료는 일대일 또는 그룹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약물로 이 장애를 완치할 수는 없지만 관련 증상을 완화할 수는 있다. 효능에 대한 뚜렷한 증거는 없지만 SSRI 계열 항우울제와 쿠에타핀(Quetapine)이 이 장애에 널리 처방된다.[9] 중증의 경우 입원 치료가 필요하다. 만약 극단적인 정서적 스트레스로 인해 일시적으로 정신증적 증상을 보일 경우, 조현병 치료에 사용되는 약물도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정신 장애에 대한 전국적인 설문 조사 참가자의 일부 표본 데이터에 따르면, 미국 성인의 약 1.6 %가 해당 연도에 BPD를 앓고 있었다.[10][1]여성은 남성보다 약 3배 더 많이 진단받으며, 노인들 사이에서 이 장애는 점점 줄어드는 경향을 보인다.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 실제로든 상상으로든 유기되는 것을 피하기 위한 끊임없는 노력
  • 불안정하고 혼란스러운 대인 관계, 사람에 대해 극단적인 이상화와 평가 절하를 번갈아 가며 이는 분열(splitting)이라고도 칭해진다.
  • 현저하게 혼란스러운 정체감과 왜곡된 자아상[11]
  • 충동적이거나 무모한 행동 (예: 충동적이거나 통제하지 못하는 소비, 안전하지 않은 무분별한 성관계, 알코올이나 약물 중독, 폭주적인 운전, 폭식)
  • 반복되는 자살 행위 또는 자해
  • 강렬하거나 통제하기 어려운 정서적 반응과 서로 엄청나게 빠른 정서 변화
  • 만성적인 공허감
  • 객관적으로 이유를 설명하기 어려운 격렬한 분노 또는 분노 조절의 어려움
  • 일시적인 스트레스로 인해 생기는 편집증 또는 심각한 해리성 증상

이런 진단 기준 때문에 BPD 환자들에게는 다음과 같은 모습이 나타날 수 있다.

  • 끊임없는 애정에 대한 갈구
  • 기분의 불안정함
  • 너무 빠르고 크게 변하는 사람간의 거리(주로 급속도로 친밀해졌다가 급속도로 멀어지는 모습 혹은 아예 사람과 교류하는 것을 꺼리는 모습)
  • 대인관계의 문제(인간관계에 큰 변화가 있으며, 친밀하게 교류하며 지내는 사람이 많지 않음)
  • 증상이 심해질 경우 조현병과 유사한 환청, 환각, 이인증 등의 기능 이상 증상


전반적으로, BPD의 가장 두드러진 증상은 대인 관계 및 자아상이 불안정한 것으로, 타인에 대한 극단적인 이상화와 평가 절하, 다양한 기분과 강한 정서적 반응 조절의 어려움이 돌아가면서 나타난다. 위험하거나 충동적인 행동도 장애와 관련이 있다.

다른 증상은 자신의 정체성, 도덕 및 가치에 대한 확신이 없는 것이다. 스트레스를 받을 때 편집증적인(피해망상적인) 생각을 하고, 해리감(이인증)을 겪으며, 중등도이거나 고도의 증상을 가진 경우, 스트레스로 인해 현실붕괴나 정신증적인 증상을 겪기도 한다. BPD는 자주 다른 질환을 동반하는데, 우울증양극성 장애, 물질 사용 장애, 섭식 장애, 외상 후 스트레스 장애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등이 있다.[11]


감정과 정서

BPD를 가진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더 작은 자극에 의해 오랜 시간 강렬한 감정을 갖는다. [12] [13] BPD의 핵심 특징은 정서적 불안정성으로, 일반적으로 유발 요인이 있으면 비정상적으로 강렬한 정서적 반응이 나타나며 일반적인 정서 상태로의 복귀 속도가 느리다.[14][15] Marsha Linehan 에 따르면 BPD 환자가 감정을 느끼는 민감도, 강도, 지속 시간은 긍정적이기도 하고, 부정적이기도 하다. BPD를 가진 사람들은 어떤 때에는 유난히 열정적이고, 이상주의적이며, 즐거워하고, 사랑이 많은 사람이지만,[16] 어떤 때에는 부정적인 감정에 유난히 압도된다. 그들은 슬픈 기분이 아니라 누군가가 죽은 것과 같은 정도의 슬픔을 느끼며, 약간의 부끄러움 대신에 모욕감과 참을 수 없는 수치심을 느끼고, 짜증이 아니라 격노하고, 긴장을 하는 게 아니라 극도의 공포감 혹은 공황을 느낀다. BPD는 이런 상태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는 아주 심각한 정신적 고통과 스트레스를 일으키는 하나의 정신 장애로 여겨진다. 여러 연구들이 BPD 환자들은 만성적이고 심각한 감정적, 정신적 고통을 경험한다는 것을 밝혀냈다. [17]

BPD를 가진 사람들은 또한 특히 거절당하는 것, 비판받는 느낌, 소외되는 것, (이들만이 실패라고 생각하는) 실패에 민감하다.[18] 다른 대처 메커니즘을 배우기 전에 매우 부정적인 감정을 관리하거나 벗어나려는 노력은 정서적 고립, 자해 또는 자살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다.[19] 그들은 종종 부정적인 감정 반응의 강도를 알고 있으며, 그것을 조절할 수 없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인지하는 것 자체가 더한 괴로움만을 유발하므로 아예 차단하고 외면해버린다. 그러나 부정적인 감정을 표현하는 것은 주변 사람들에게 문제적인 상황을 알리고 대처하도록 하기 때문에 이런 행동은 더 나쁜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 [15]

BPD가 있는 사람들은 행복감(euphoria, 아주 짧거나 때로는 강렬한 즐거움)을 느끼기도 하지만 특히 불쾌감(dysphoria, 깊은 불안 혹은 불만족의 상태), 우울감, 정신적, 정서적 고통을 느끼는 경향이 있다. 이는 한 두 종류만 느낄 수도, 여러 가지를 동시에 함께 느낄 수도 있다. Zanarini와 그 외의 학자들은 연구에 의해 BPD 환자들이 극단적인 감정, 자기(타인)파괴적 감정, 분열된 느낌 혹은 자아의 결핍감, 피해자가 된 것 같은 기분 등의 4가지 범주의 불쾌감(dysphoria)을 느낀다는 것을 알아냈다.[20] 이 4가지 범주 내에서 BPD 장애의 진단은 다음과 같은 세 가지 구체적 지표의 결합과 관련이 있다. 1. 배신당했다고 느끼는 것. 2. 통제불능하다고 느끼는 것. 3. 자기자신을 해친다고 느끼는 것.인용 오류: <ref> 태그를 닫는 </ref> 태그가 없습니다

부연 설명


  1. 1.0 1.1 1.2 1.3 1.4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IMH》. 2016년 3월 22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6년 3월 16일에 확인함. 
  2. 2.0 2.1 2.2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 645, 663–6
  3.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d emotion dysregulation”. 《Development and Psychopathology》 (영어) (Cambridge, England: Cambridge University Press) 31 (3): 1143–1156. August 2019. doi:10.1017/S0954579419000658. ISSN 0954-5794. PMID 31169118. 2020년 12월 4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20년 4월 5일에 확인함. 
  4.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NICE Clinical Guidelines, No. 78》. British Psychological Society. 2009. 12 November 2020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11 September 2017에 확인함. 
  5.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The National Institute of Mental Health. December 2017. 2021년 2월 25일에 확인함. Other signs or symptoms may include: [...] Impulsive and often dangerous behaviors [...] Self-harming behavior [...].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is also associated with a significantly higher rate of self-harm and suicidal behavior than the general public. 
  6.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tigma, and treatment implications”.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14 (5): 249–56. 2006. doi:10.1080/10673220600975121. PMID 16990170. 
  7. 《Clinical Practice Guideline for the Management of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Melbourne: National Health and Medical Research Council. 2013. 40–41쪽. ISBN 978-1-86496-564-3. In addition to the evidence identified by the systematic review, the Committee also considered a recent narrative review of studies that have evaluated biological and environmental factors as potential risk factors for BPD (including prospective studies of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studies of young people with BPD) 
  8. 8.0 8.1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Lancet377 (9759): 74–84. January 2011. doi:10.1016/s0140-6736(10)61422-5. PMID 21195251. 
  9. “Pharmacotherapy for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n Update of Published, Unpublished and Ongoing Studies” (PDF). 《Current Psychiatry Reports》 22 (37). 2020. 
  10. “NIMH » Personality Disorders”. 2021년 10월 29일에 확인함. 
  11. 11.0 11.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12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12. Linehan 1993
  13. Manning 2011
  14. 《Abnormal Psychology》 17판. Pearson Education, Inc. 2017. 359쪽. ISBN 978-0-13-385205-9. 
  15. 15.0 15.1 Linehan 1993
  16. Linehan 1993
  17. “Enhanced 'Reading the Mind in the Eyes' in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compared to healthy controls”. 《Psychological Medicine》 39 (12): 1979–88. December 2009. doi:10.1017/S003329170900600X. PMC 3427787. PMID 19460187. 
  18. “Aversive tension in patients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a computer-based controlled field study”. 《Acta Psychiatrica Scandinavica》 111 (5): 372–9. May 2005. doi:10.1111/j.1600-0447.2004.00466.x. PMID 15819731. 
  19. “Reasons for suicide attempts and nonsuicidal self-injury in women with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Journal of Abnormal Psychology》 111 (1): 198–202. February 2002. doi:10.1037/0021-843X.111.1.198. PMID 11866174. 
  20. “The pain of being borderline: dysphoric states specific to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Harvard Review of Psychiatry》 6 (4): 201–7. 1998. doi:10.3109/10673229809000330. PMID 10370445.